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QR코드, 공식 앱 사용해도 피싱 주의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24 22:52:57
조회 2678 추천 5 댓글 8
[IT동아 정연호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크게 유행한 것 중 하나가 QR코드다. 국내에선 정부가 빠른 역학조사를 위해 QR코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QR코드를 쓰는 사람들도 급속도로 늘었다.


출처=질병관리청



QR코드는 ‘Quick Response(빠른 응답)’의 약자로, 1994년 일본의 덴소사 (Denso)가 개발한 2차원 바코드다. 기존의 바코드가 가로 배열에 최대 20여 자 숫자 정보만 넣는 1차원적 구성이라면, QR코드는 가로 세로를 활용해 기존 바코드 보다 수십~수백 배는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2차원적 구성이다. 특정 상품명이나 제조사 정보만 기록할 수 있던 기존 1차원 바코드의 정보량 제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QR코드에는 긴 문장의 인터넷 주소(URL)나 사진 및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명함 정보 등을 모두 담을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QR코드 인식 앱으로 QR코드를 스캔해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전자출입명부 방식처럼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쇼핑과 결제 과정에서 QR코드를 인식하면 주문과 결제도 한 번에 끝낼 수 있다. 최근엔 서울의 공유 자전거도 QR코드로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 업체 주니퍼 리서치는 QR 코드 결제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QR코드 결제 유저가 2020년 15억 명에서 2025년 22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로 세계 각국의 정부는 비접촉식 결제를 적극적으로 장려했고, QR코드 등의 비접촉식 결제는 편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빠르게 받아들이는 추세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의 ‘세계 전역에서 확산하는 QR 코드 결제’에 따르면, QR결제는 중국을 포함한 많은 경제권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도는 국민의 40%가량이 QR코드 솔루션을 지원하는 통합결제 인터페이스(Unified Payment Interface, UPI)와 ‘바라트QR(Bharat QR) 코드’ 결제 방식을 사용할 정도로 QR 코드 결제의 주요 활용 국가다. 싱가포르는 2018년 9월 표준 QR 코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선보이며 높은 수준의 활용을 이끌고 있다. ‘싱가포르 QR 코드(SGQR)’는 16만 곳 이상의 가맹점에서 채택했다.

미국에선 소매 시장에서 QR코드 결제가 증가하고 있다. 2015년에 출시된 월마트 페이(Walmart Pay)는 월 이용자 수가 2200만 명을 상회한다. 영국에선 QR코드가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와 결합해 소비자 경험을 높이고 있다. 체인 레스토랑인 와가마마(Wagamama)가 2018년 마스터카드와 협력해 내놓은 ‘Qkr!플랫폼(Qrk!Platform)’은 코로나19의 대유행 동안 소매점이 다시 문을 열기 시작한 2020년부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보고서는 “QR 코드 결제를 이용한 전 세계의 지출 금액은 2022년 2조 4,000억 달러(약 3,094조 원)에서 25% 성장해 2025년에는 3조 달러(약 3,867조 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주된 성장 배경은 개발도상국에서의 금융포용 향상과 선진국에서의 기존 결제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금융감독원



다만, QR코드는 누구나 자유롭게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위험 요소도 잠재한 기술이다. QR코드는 컴퓨터/인터넷 악성코드나 유해 웹사이트 주소 등도 전파할 수 있다. 육안으로는 정상적인 QR코드인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검증된 기업이나 기관에서 제공하는 QR코드가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이용자에게 정상적인 홈페이지라고 속인 다음 그들이 중요한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 정보를 탈취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무료 쿠폰을 주겠다면서 미끼를 던져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강남대학교의 양형규 교수는 ‘QR 코드의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연구’에서 “오프라인 인쇄 매체는 물론이고 온라인 사이트에서도 QR 코드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QR 코드가 해킹 등으로 인해 다른 QR 코드로 변조될 경우 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 피싱 메일의 경우처럼 전혀 다른 사이트로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오프라인 출력물인 경우 변조된 QR 코드를 덧붙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더욱더 손쉽게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피해 사례를 보면 정상적인 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QR코드로 피싱을 당한 피해자도 있다. 피해자는 스마트뱅킹으로 자금을 이체하던 중 추가인증 QR코드의 지시대로 앱을 설치했지만, 보안카드를 비추라는 요구를 받고 금융사고를 의심해 행동을 멈췄다. 하지만, 통신사에 확인해보니 게임머니 등으로 소액결제가 처리됐단 걸 알게 됐다. 스마트폰을 악성코드로 감염시켜 사용자가 정상 금융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가짜 금융사이트에 연결되게 하고, 가짜 금융사이트에서 추가인증이 필요한 것처럼 QR코드를 보여주며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QR코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선 어디서 보냈는지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QR코드는 스캔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공식 앱마켓에서도 위험한 앱이 유포될 수 있기 때문에 앱을 다운 받기 전 사용자 리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보안기업 안랩은 “악성 앱은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 QR코드, SNS, 사설 앱 마켓 등을 통해 정상 앱을 사칭해 유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식 마켓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곳에서 다운로드받지 않도록 주의하고,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로 설정해야 한다. 공식 마켓에서도 악성 앱이 유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 전에는 평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바일 전용 보안 앱이나 스미싱 탐지 앱을 설치하고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했다.

보안기업 이스트시큐리티는 “공공장소나 보안성이 검증되지 않는 공간 및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QR코드는 신중하게 확인한 뒤 스캔하고, 이메일의 경우엔 대부분 QR코드 인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메일로 전달된 QR코드는 가급적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QR코드 피싱으로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면 동일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마다 비밀번호를 다르게 설정할 것”을 권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구글·애플 해킹 피해 막으려 ‘해묵은 앱’ 정리한다▶ [주간투자동향] 버킷플레이스, 2,3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 금융보안원 “데이터 주권 확보의 핵심은 보안…안전한 마이데이터 사업 정착 돕겠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746 삼성서울병원 이풍렬 단장, "의료 기관의 디지털 혁신은 선순환 구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4 1728 2
1745 띵당 "부동산이 품은 이야기·정보 알려 상권 부흥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4 124 0
1744 [리뷰] 최신기술로 더 강해진 전통강호, 레노버 씽크패드 Z16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4 1765 1
1743 정부, 미래차 규제 혁신…주유기 옆 전기차 충전기 설치 등 허용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3 1721 0
1742 '애케플' 무제한 됐다…애플 발표에 없었지만 눈여겨볼 내용들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3 4408 2
1741 [모빌리티 인사이트]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짐을 싣는 자동차, '토잉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3 119 0
1740 [주간투자동향] 메가존클라우드, 4,5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3 139 0
1739 [스케일업] 텐도 [2] 제품 디테일 토대로 비즈니스 디테일 높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3 1148 0
1738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6. 인공지능이 만든 딥페이크의 명과 암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0 7443 6
1737 "전체 문자사기의 44%가 명절에 발생한다"... 추석연휴 문자사기 피하려면?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9 6424 12
1736 [IT 신상공개] 5.7K 가상현실·액션 캠 넘나드는 ‘인스타360 X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9 184 0
1735 갤러리엑스 "웹 3.0의 성장, 다양한 도전이 나올 수 있는 커뮤니티 필요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224 0
1734 '맛도 식감도 기대 이상'…대체육으로 만든 함박스테이크 4종 먹어보니 [17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8263 9
1733 사람 태울 드론의 더딘 안전 진단, 기술로 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178 0
1732 애플워치 시리즈 8·SE 출시, 극한 상황용 애플워치 울트라도 첫 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238 0
1731 [농업이 IT(잇)다] 카카오패밀리 “카카오·바닐라빈, 제주도를 상생과 기회의 섬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185 0
1730 LAP 디지털 “키오스크 두려운 어르신들, ‘아키’와 함께 극복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186 0
1729 노치, 없애지 않고 녹였다··· 애플 아이폰 14 및 14 프로 공개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1577 2
1728 애플 아이폰 14 시리즈, 아이폰 13 시리즈보다 좋아진 점 한 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373 0
1727 [스케일업] 나인브릿지 [1] “2분에 1대 판매했던 제품 제조 경험을 갖췄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8 120 0
1726 [IT애정남] 화면/키패드 없는 프린터, 와이파이 접속 어떻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601 0
1725 뮤렉스파트너스 강동민 부사장, "투자는 시장의 심리 파악이 중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27 0
1724 [스타트업 in KB] 깃플 조영민 대표 “당신을 위한 자산관리사, 스마트폰 속에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34 0
1723 국토부, 전세 사기 줄일 '자가진단 안심전세 앱' 23년 1월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42 0
1722 한글과 워드 모두 쓰는 교육 현장, '폴라리스 오피스'가 해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53 0
1721 광고에서 답 찾는 글로벌 OTT…"연내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나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23 0
1720 [리뷰] 성능과 활용성으로 꽉 찬 미니 PC, HP 엘리트데스크 805 G8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941 3
1719 선진 농업·그린 바이오 기대주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에 모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7 157 0
1718 가맹택시 배차 콜 몰아주기? 투명성 위원회 “존재하지 않는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6 961 0
1717 추석 장거리 운전 전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6 2794 2
1716 [스케일업] 텐도 [1] 테이프 커터·디스펜서 국내외 시장 전략 알고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6 145 0
1715 [먹거리+IT] 바운드리스크루 "돼지 특수부위, 먹기 쉽게 만들어야 접근성도 높아진다"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6 2411 2
1714 [뉴스줌인] 클라우드 통해 어디서나 동일한 데스크톱 환경 유지하는 DaaS, 관건은 ‘보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132 0
1713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7. '웹 3.0'은 또 무엇인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153 0
1712 [IT애정남] 관성으로 설치하는 무료 백신, 정말 꼭 필요할까?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2224 1
1711 은행·보험·증권·카드...’통합 앱’으로 한 번에 이용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128 0
1710 독이 될 수 있는 '영양제 과다섭취'...영양제 원료 중복섭취 피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399 0
1709 [주간투자동향] 케어링,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5 118 0
1708 [뉴스줌인] 라이젠 7000 시리즈를 위한 'AMD 엑스포' 지원 DDR5 메모리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158 0
1707 통화 내용, 문자로 정리해주는 AI 앱 '비토' 이용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207 0
1706 [리뷰] 4K·144Hz 주사율의 강력한 연대, 벤큐 모비우스 EX3210U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169 0
1705 ‘티머니GO' 앱으로 추석 고속버스 예매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138 0
1704 매일 15분씩 영어 회화 공부한다... 가벼운 언어의 '회화 학습지' 체험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147 0
1703 [농업이 IT(잇)다] 월류원 “충북 영동 캠벨로 만든 우리나라 와인을 세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134 0
1702 주택형 사무실에 '스마트' 더하는 IoT 아이템, 뭐가 있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156 0
1701 이용자 1600만 명 백신 ‘알약’ 오류, 원인과 전망은?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5476 4
1700 [IT하는법] 인터넷 없이도 길을 찾다, 구글 맵 '오프라인 지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177 0
1699 폴더블 PC부터, AR 모니터까지…레노버, IFA 앞두고 신제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1908 0
1698 주춤하는 국내외 스타트업 투자 시장, 수익성 증명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110 0
1697 소니의 ‘사진 위조 방지 기술’은 해킹에서 자유로울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1 2247 3
뉴스 진영♥다현 극장 출격…‘그 시절, 우리가’ 1·2주 차 무대인사 확정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