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타트업in과기대] 헌 신발로 지구를 살린다, 김승재연구소의 ‘새활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19 16:04:10
조회 177 추천 0 댓글 0
[스타트업in과기대] 올해 4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은 국내 제조 창업 촉진과 메이커 문화 확산을 선도하는 ‘2022년도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운영사업’의 전문 랩에 선정되었습니다. 전문랩은 연 면적 1,000㎡ 이상의 규모와 시설을 갖춘 메이커 스페이스에 부여되는 자격으로, 국내 제조 창업 생태계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과학기술대의 메이커 스페이스 역시 수도권 동북부 지역을 대표하는 메이커 스페이스로 선도를 준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2022년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운영 사업’을 통해 제조 창업에 도전하는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 산업 생태계를 위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의 노력을 집중 조명해봅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면 소재 의류는 시간이 지나면 분해가 되지만 신발은 다르다. 신발은 고무나 나일론, 플라스틱, 인조가죽 등등이 복합적으로 조합돼 있어서 썩지 않는다. 소재를 모두 뜯어내서 분류한다면 처리를 할 순 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소각하거나 제 3세계로 보내 처분한다. 제 3세계에서도 단순 매립하는 만큼 결국은 답이 없는 문제다"


김승재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김승재 연구소장. 출처=IT동아



김승재연구소의 김승재 연구소장에게 왜 사업 아이템이 신발인가에 대해 묻자 돌아온 대답이다. 김 연구소장은 카이스트 공학 석사를 거쳐 SK텔레콤과 KBS미디어에서 약 10년 간 ICT 프로젝트 매니저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그러나 하고 싶은 일을 찾겠다는 일념으로 창업 투자와 솔루션 제공 등의 업계에 뛰어들어 현재는 행정안전부 다시인 창업컨설턴트, 한국장학재단 사회리더 멘토, 과기부 장관 위촉 IT 멘토 등 창업의 가도를 걷고 있다. 그런 그가 새활용 시장에 뛰어든 이유, 그리고 왜 하필 신발인가에 대해 얘기를 나눠봤다.

“필수재인 신발, 새활용하면 가치있을거라 판단”


김승재연구소는 현재 ‘데드플래닛’이라는 브랜드를 바탕으로 버려지는 운동화를 새로 가공해 되살리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지구가 위험하다는 경각심에서 만든 데드플래닛은 이미 신발 새활용 사업을 통해 세종대학교 제4회 창업아이템 공모전 최우수상, 2022년 서울시 제로 웨이스트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신발 관련 3D 스캐너 기술로 카이스트 스타트업 부트캠프에서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체계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물어봤다.


데드플래닛 브랜드로 여러 채널을 통해 운동화나 새활용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출처=IT동아



김 연구소장은 “데드플래닛은 현재 원자재 수급부터 생산, 판매 및 마케팅 계획까지 모두 수립한 상황이다. 일단 재활용 센터나 시장 등을 통해 새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신발을 수급한다. 수집된 신발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세탁소에 위탁해 세탁 과정을 거치고, 이후 재생 소재로 만든 신발끈과 생분해성 소재인 코르크로 만든 깔창을 사용해 새 단장한다. 그다음 네이버 스토어나 인스타그램 등 자체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하게 된다”며 유통 과정을 간단히 설명했다. 제품은 이미 7월부터 판매를 시작했으며, 조만간 일반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받아 재생해서 돌려주는 서비스도 시행할 예정이다.

신발을 소재로 한 친환경 사업은 이미 리어나도 디캐프리오가 투자하기로 유명한 올버즈, 친환경 소재 기반의 엘에이알(LAR) 등 주목할만한 사업자가 많다. 이와 사업 아이템이 중복되진 않는가에 대해서는 명쾌한 해답을 내놨다. 김 연구소장은 “올버즈는 재생 가능한 자연 유래 소재로 만들며, 엘에이알은 재활용 소재 및 생분해성 소재 등으로 제조하는 게 핵심이다. 두 방식 모두 친환경적이지만 제조 과정 자체에서 필연적으로 탄소가 배출될 수 밖에 없다. 반면 데드플래닛의 새활용은 기존에 제조된 신발을 재단장하기 때문에 생산과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크게 절감한다. 근본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답했다.


김승재 연구소장이 새활용된 신발과 생분해성 소재로 만든 깔창, 신발끈을 선보이고 있다.



데드플래닛의 사업은 단순히 신발 재생으로 끝나지 않고, 중고 신발 시장 전체가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로 ‘3D 운동화 스캐너’를 통해서다. 김 연구소장은 “의류와 다르게 신발은 물건마다 사이즈가 다르다. 게다가 중고 신발은 새 제품과 비교해서도 사이즈가 다르기도 하다. 중고 신발 시장이 유난히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개발 중인 3D 운동화 스캐너를 활용하면 기기가 자동으로 제품 사진을 촬영하고, 운동화 사이즈를 상세 측정해 소비자가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라면서, “중고 신발 시장이 활성화되면 그만큼 폐기율도 줄어들어 궁극적으로 탄소 배출 저감과 환경오염 방지를 모두 달성할 것”이라고 답했다.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의 기술 지원, 큰 보탬”


이 과정에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이 힘을 보태는 중이다. 김승재연구소는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의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사업의 양산PM(Product Manage) 대상으로 선정돼 시제품 제작부터 추후 양산에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해 도움을 받고 있다. 김 연구소장은 “3D 스캐너는 아직 기획 단계라서 기술력이나 인력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때 SNS(사회관계망 서비스)를 통해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접하게 됐고, 일정이나 위치 등이 좋아 참여하게 됐다. 현재는 3D 스캐너 제작에 필요한 기술에 자금 지원까지 받고 있다”고 답했다.

3D 스캐너의 필요성, 그리고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어봤다. 그는 “현재 사업은 신발과 3D 스캐너 두 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매출 자체는 신발에 집중해야 발생하는데, 3D 스캐너가 있으면 이익을 더 극대화할 수 있다. 시제품만 만든다면 매출도 자연스레 늘어 3D 스캐너를 양산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될 것이다”라며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이 다방면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출처=IT동아



그러면서 “당초 계획은 카메라 4개를 활용해 신발을 스캔하는 구조였는데, 컨설팅을 거치며 카메라를 두고 신발을 회전해 신발을 스캔하자는 제안을 받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3D 프린팅 및 스캔 기술을 활용해 장애인의 필기 보조 도구를 제작하는 그립플레이가 멘토 기업으로서 도와주고 있다. 서울과기대의 도움이 아니었다면 시행 착오는 물론 사업 전반의 효율성이 달랐을 것”이라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서울과기대의 창업지원을 통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에 대해 물어봤다. 김 연구소장은 “3D 스캐너를 활용하게 된다면 일단 일본 시장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일본은 구제류 사업이 활성화돼있고 또 가품 논란도 거의 없어서 신발과 3D 스캐너 모두를 활용하기 좋다. 이를 통해 사업이 안정화된다면 더 많은 신발을 새활용하게 됨으로써 지구나 환경을 꾸준히 개선하는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다”라며 향후 전망을 밝혔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먹거리+IT] 버틀 이창언 대표 “채식주의자를 위한 소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케일업] 프롬차일드 [2] 강재상 대표 “장점 앞세워 단백질 상품 마니아 모아라”▶ 서울산업진흥원, 오비맥주와 함께 스타트업 성장 지원 나서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968 [스케일업] 아시안푸드컨넥트 [3]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아이템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37 1
1967 어도비, 팬톤 색상 지원 중단 논란…"색상을 인질로 잡았다" [10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5149 55
1966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2. NFT 구매 전 알아 할 필수 지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4 120 1
1965 글로벌 농축산업 ‘탄소중립’ 활발…우리 농가는 ‘걸음마’ 단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121 0
1964 AI 판사는 정말로 '공정한 판결'을 내릴 수 있을까? [2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9415 20
1963 2022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 후속 데모데이 “미래 농업 이끌 스타트업 오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203 0
1962 [스타트업in과기대] 심퓨 서근혁 대표 "성장하는 식물등 시장에서 주역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136 0
1961 실적 먹구름 낀 카카오 "사고 수습과 신뢰 회복이 우선"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7400 2
1960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2. 지식착각과 디지털콘텐츠의 갈등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187 1
1959 [스케일업] 휴로틱스 [1] “더 멀리 더 빠르게 걷고 뛸 수 있는 옷이 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998 2
1958 엔카닷컴, "인공지능으로 차량 진단해 신뢰와 효율 모두 잡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3 152 1
1957 [시승기] ‘제로백 4초’ 스포츠카 수준 SUV…’재규어 뉴 F-페이스 SVR’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2 255 0
1956 [리뷰] 3D 아바타·원격 제어가 강점인 화상회의, 알서포트 '리모트미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2 133 0
1955 일본·중국·이스라엘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2 120 0
1954 코로나 19로 성장한 헬스케어 산업, 그 배경에 기술기업 협력 있었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1941 1
1953 초기 창업자의 동반자,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148 0
1952 '이태원 참사' 소식과 영상..."과하게 접하면 트라우마 위험있어" [9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5832 15
1951 [스케일업] 프롬차일드 [3] 구자근 한양대 에리카 교수 “자사몰 활성화 비법, 데이터 속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119 0
195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4. 가상자산 거래에 관한 이해와 사용 실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149 1
1949 [IT강의실] 전기장판과 온수매트, 그리고 카본매트의 차이점은?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2383 3
1948 [모빌리티 인사이트] 청정에너지로 가는 길, '수소경제'가 시작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118 0
1947 5년간 문닫은 은행지점만 1112개... "은행과 함께 해결책 마련해야" [3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3179 3
1946 진일보한 시뮬레이션 기술로 자율주행 안정성 검증한 '모라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2202 5
1945 [스타트업-ing] 타고 김수빈 대표 “스피닝을 통해 새로운 운동 문화를 알리고 싶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111 0
1944 [주간투자동향] 지냄, 55억 원 규모의 신규 자금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31 111 0
1943 전통 상권과 온택트 전략의 만남, 춘천 원도심의 ‘르네상스’ 본격화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9 2518 1
1942 [농업이 IT(잇)다] 에이아이프로 “휴대폰 카메라 활용해 가을꽃 정보 확인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173 0
1941 GS네오텍 "기업의 디지털전환, IT인프라부터 탄탄하게 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145 0
1940 갑작스러운 응급상황... 당황하지 말고 119신고 앱으로 접수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236 0
1939 스마트 상점 기술, 서비스 장애와 해킹에 어떻게 대비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127 0
1938 카카오 먹통 '불씨' 된 배터리…스마트폰 등 소비자 제품도 안심은 금물 [2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4791 9
1937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1. 근미래의 인터넷 생태계, 웹 3.0과 메타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131 0
1936 메타버스, 산업용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 찾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156 0
1935 강아지 ‘코주름’ 등록 허용…반려동물 등록률 제고 기대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380 0
1934 전문랩과 일반랩의 연계, 제조문화 활성화에 필수로 떠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121 0
1933 AI 칩 자체 개발한 LG전자, “더 똑똑해진 LG 가전 기대할 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312 0
1932 반값도 안 되는 채굴용 그래픽 카드··· 혹해서 사면 '낭패' [3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3113 17
1931 10·20대 난청 환자도 증가세... "주요 원인은 너무 큰 이어폰 볼륨" [8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5519 10
1930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6) 채권투자 포트폴리오에 ESG를 반영하는 6가지 방법 Part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123 0
1929 [IT신상공개] 8K 동영상·인공지능 AF 미러리스 카메라 소니 a7R V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7 1436 6
1928 오라클의 신규 분산형 클라우드, 모든 기업 위한 ‘맞춤형’ 클라우드 실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145 1
1927 트레저데이터 “빅데이터, 데이터를 고객 단위로 연결하는 게 가장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115 0
1926 '그래서 메타버스가 뭔데?'…메타가 대답으로 준비한 '체험 공간'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2001 5
1925 [고려대 스타트업 2022] 셀라바이오텍 “세포 기술로 DNA 스토리지 시대 견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195 0
1924 [시승기] 폭스바겐이 만든 첫 번째 전기차, ‘ID.4’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694 1
1923 [리뷰] 제대로 만든 9.1.5채널 사운드바, LG S95QR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230 1
1922 [IT애정남] 오동작하는 안드로이드 오토, 문제는 '케이블' 탓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6 224 0
1921 [먹거리+IT] 오픈소스랩 박진수 대표 “한식을 현지화하고 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5 174 0
1920 오라클, 디지털 혁신 리더들과 탄탄한 파트너십 재확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5 107 0
1919 유럽도, 한국도 USB-C 표준화 움직임…겉으로 반대한 애플도 전환 준비 '착착' [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5 4718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