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웨덴 볼보 ‘EX90’ 공개 현장…첨단 기술과 전동화에 담은 미래 청사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10 20:26:07
조회 825 추천 0 댓글 3
[IT동아 스톡홀름(스웨덴)=김동진 기자] "자동차의 핵심은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바뀌고 있습니다. 볼보 EX90에 담은 첨단 기술로 ‘충돌 제로’에 도전, 운전자 안전을 확보하겠습니다."

짐 로완(Jim Rowan) 볼보자동차 CEO의 말이다. 볼보는 9일(현지시각), 스웨덴 스톡홀름 쿵스트래고덴(왕의 정원)에서 순수 전기 7인승 SUV, 볼보 EX90을 최초 공개했다. 이날 볼보는 운전자 안전을 지킬 ‘첨단 기술 확보’와 ‘2030년까지 모든 라인업 전동화’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스웨덴 스톡홀름 쿵스트래고덴(왕의 정원)에서 진행된 볼보 EX90 공개 행사 현장. 출처=IT동아



볼보가 이날 공개한 EX90은 볼보 전동화 여정의 선봉장 격인 모델이다. 이 차의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는 최대 600km다.



짐 로완 볼보 CEO는 “자사는 전기를 동력으로 삼는 자동차 생산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운전자 안전을 담보할 자체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많은 파트너와 협력 중”이라며 “볼보 EX90에는 안전을 위한 각종 첨단 기술이 차량 내·외부에 적용됐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바퀴 달린 컴퓨터’를 만들겠다는 원대한 목표의 시작점이 볼보 EX90인 셈이다.


볼보 EX90을 소개하는 짐 로완 볼보 CEO. 출처=IT동아



라이다(LiDAR) 기본 탑재, 고성능 코어 컴퓨터 연동으로 탑승자 보호

볼보는 EX90을 공개하며, 향후 자동차 경쟁 구도를 가를 핵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자신감은 라이다(LiDAR)를 기반으로 운전자 안전을 지킬 기술력에서 나온다.

라이다는 빛 탐지 및 거리 측정(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 차량의 자율주행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이다. 스캔 레이저의 빛을 발사해 그 빛이 물체와 부딪혀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한다. 이후 주변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자율주행 수준이 높아질수록, 주변 사물과 사람을 인식하는 센서(카메라, 라이다 등) 탑재 수도 늘어난다.


볼보 EX90 측면부. 출처=IT동아



볼보 EX90에는 8개의 카메라와 5개의 레이더, 16개의 초음파 센서 및 라이다 등 최첨단 센서 세트가 차량 내·외부에 탑재됐다. 이 중 2개의 카메라는 실내에서 운전자 시선과 자세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자의 시선 집중도를 측정해 주의산만이나 음주 여부 등을 분석,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사고를 미리 막도록 경고하는 방식이다. 경고 후에도 반응이 없으면 도로 옆에 차를 스스로 정차시키고, 비상등을 켜 주위에 도움을 요청한다.

볼보 EX90에 탑재된 카메라와 라이다 등 센서 세트는 고성능 코어 컴퓨터와 연동, 360도로 차를 모니터링하며 탑승자를 보호한다.


볼보 EX90 후면부. 출처=IT동아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한 파트너십 구축 ‘박차’

볼보는 기술 기업 여러 곳과 협업해 자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꾀했다.


볼보자동차 테크 펀드(Tech Fund) 투자 포트폴리오. 출처=볼보코리아



볼보는 라이다 기술을 EX90에 적용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기업, 루미나(Luminar) 테크놀로지와 협력했다. 두 기업은 2018년 LA 오토쇼에서 라이더를 탑재한 콘셉트 카 ‘볼보 360c’를 선보인 바 있다.

볼보는 자체 연구를 통해 라이더를 활용할 경우 심각한 자동차 사고를 최대 20% 줄일 수 있고, 전반적인 충돌 회피는 최대 9%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볼보 EX90을 소개하는 짐 로완 볼보 CEO. 출처=IT동아



짐 로완 볼보 CEO는 “심각한 사고는 밤에 일어날 확률이 높다. 사물이 잘 보이지 않거나, 피로가 몰려오는 시간이기 때문”이라며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시야 확보와 미처 보지 못한 주변의 사물을 차가 스스로 감지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로에 있는 물체의 크기와 모양, 과속 방지턱까지 파악하고 지도화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볼보 EX90 윈드실드 상단에 탑재된 라이다. 출처=IT동아, 볼보



볼보는 EX90 루프에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 루미나의 아이리스 라이다(Iris LiDAR)를 탑재했다. 아이리스 라이다는 낮뿐만 아니라 어두운 밤에도 최대 250m 거리를 측정하고, 반경 120m의 작은 물체를 감지할 정도로 높은 탐지 능력과 정밀도를 자랑한다.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동차와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볼보는 워셔액으로 루프에 있는 라이다를 닦을 수 있도록 특수 와이퍼를 고안했다. 출처=IT동아



볼보는 코어 컴퓨팅 기술 활용과 정밀한 지도화 작업을 위해 미국 그래픽 처리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설계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 엔비디아(NVIDIA)와도 협력 중이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자동차의 두뇌 역할을 하는 엔비디아 드라이브(NVIDIA DRIVE) AI 플랫폼 자비에(Xavier)와 오린(Orin), 퀄컴 테크놀로지(Qualcomm Technologies)의 스냅 드래곤 콕핏 플랫폼(Snapdragon® Cockpit Platforms)에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각 기능을 구동한다.

자체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 확대..자체 OS 도입 추진

볼보는 자체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확대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처럼 차량 소프트웨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언제 어디서나 차량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볼보는 차기작에 ‘볼보 카스 OS((VolvoCars.OS)’라는 명칭의 자체 운영 체제(OS)를 도입할 계획이다.


볼보 EX90 후면부. 출처=IT동아



헨릭 그린(Henrik Green) 볼보 최고 기술 책임자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여러 전자 제어 장치에 의존하는 대신,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중앙 제어로의 전환을 꾀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핵심 시스템은 엔비디아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구글과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볼보 EX90 실내. 출처=IT동아


볼보 EX90 실내. 출처=볼보



이 같은 협업의 결과로 볼보는 EX90의 14.5인치 센터 스크린을 통해 구글의 지도, 음성인식, 앱 서비스, 애플 카플레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가족이나 친구와 손쉽게 자동차 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디지털 키(Key)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가능 거리 약 600km…2023년 생산 시작

볼보 EX90의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가능 거리는 약 600km다. 볼보는 이 차량에 양방향 충전 기술을 적용, 잔여 전력을 되팔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볼보는 ‘지속 가능성’이라는 또 다른 자사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재활용 소재로 만든 직물, 우드 패널을 EX90에 적용했으며, 울 혼방 시트 옵션도 추가할 계획이다.

볼보 EX90의 생산은 2023년 미국 찰스턴 공장에서 시작될 예정이며, 111kWh 배터리와 2개의 전기 모터로 구동하는 트윈 모터 사륜구동 버전이 먼저 출시될 계획이다.

짐 로완 볼보 CEO는 “2030년까지 전 라인업 전동화 전환을 목표로, 자사는 매년 한 대의 새로운 순수 전기차를 공개할 예정”이라며 “안전과 지속 가능성, 사람을 위한 기술 활용이라는 비전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글 / IT동아 김동진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진일보한 시뮬레이션 기술로 자율주행 안정성 검증한 '모라이'▶ [시승기] 볼보 전동화 신호탄, ‘XC40 리차지’ 타보니▶ [CES2022] 전기차 혁신에 시동 건다··· '미래 모빌리티 쇼'로 떠오른 CES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063 13세대 인텔 코어, PC 시장 약세 속에서도 인기몰이 [2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3785 1
2062 [리뷰] 100W 충전에 4K 60p 전송까지, 벨킨 C타입 7-in-1 허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252 0
2061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규제에는 '소극적'... 화두로 올라온 표현의자유와 민주주의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861 2
2060 [스케일업] 카파바이오사이언스 [2] BM 분석 “화장품·원료의약품, 고객 범위별로 접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91 0
2059 [기고] "가열되는 MSP시장 경쟁, 경쟁력은 '인공지능 RPA'가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4 440 0
2058 20:20으로 만난 스타트업과 투자사들, ‘2022 넥시드 원투원 데모데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4 115 0
2057 [2022 창구] “통증 방치 말고 앱으로 치료하세요”…물리치료사 매칭 플랫폼 ‘힐니스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4 126 0
2056 '먼저 접해보는 일상 속 미래 경험' ··· 디지털퓨처쇼 2022 가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4 565 0
2055 [홍기훈의 ESG 금융] 도시와 기후변화 (1) 도시가 탄소배출 감축을 주도해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4 100 0
2054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7. 이더리움에 관한 기본 지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3 132 0
2053 디지털 미디어 테크쇼 · 디지털퓨처쇼 2022 동시 개막··· '미래 기술과 콘텐츠 모두 즐긴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3 2054 1
2052 [스케일업] 코스모블라썸 [2] BM 분석 "비건·기능 앞세워 '화이트 스페이스' 찾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3 121 0
2051 '다이슨 어워드 2022'에서 수상한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3 122 0
2050 [고려대 스타트업 2022] 이코노바이저 “경제학 날개 단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대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3 125 0
2049 [2022 창구] 마인드로직 “외로운 현대인들, AI 기반 메타버스 ‘오픈타운’으로 치유할 것”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2125 3
2048 [리뷰] 게이밍 PC와 콘솔을 위한 SSD, WD 블랙 SN850X · P40 게임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1601 2
2047 포스코 “IMP 벌써 24회, 스타트업 창업 돕고 미래 산업 성장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180 0
2046 [IT애정남] 깨져버린 스마트폰 액정... 계속 써도 괜찮을까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4043 1
204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 “조직 재생치료·인공장기 선두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119 0
2044 [주간투자동향] 하이퍼라운지, 106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163 0
2043 성균관대 K-디지털 플랫폼 개소, 공유와 개방 통해 메타버스 시대 인재 육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27 0
2042 [IT하는법] 게이밍 모니터, 최초 한 번은 주사율 직접 바꿔줘야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3196 6
2041 제2의 카카오 먹통 막을 ‘전고체 배터리’…日선두·韓 맹추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219 1
2040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2] BM분석 “작고 강한 벤처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82 0
2039 스마트시티 꿈나무 자란다, 성동 퓨처포밍 코딩 경진대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813 0
2038 참사 앞에 등장한 '누칼협'... 더는 가벼운 농담으로 보기 어려운 '밈(Meme)'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355 0
2037 [모빌리티 인사이트] 1인 1비서의 시대가 열린다, 자동차에 탑승하는 AI비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9 0
2036 늘어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개인은 환경을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0 0
2035 [농업이 IT(잇)다] 에이엠알랩스 “AI와 로봇 기반의 첨단 농업, 확장성 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00 0
2034 [리뷰] 백색 인테리어에 제격, 카멜마운트 고든 GDA2 디자인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311 0
2033 [지스타 2022] 게임쇼에서 조연으로 존재감 뽐낸 하드웨어 업체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46 0
2032 [2022 창구] 내일 입을 옷 고민 'AI 코디'가 해결…손 안의 옷장 ’스타일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0 0
2031 [지스타 2022] 불쑥 커진 회의론에도…메타버스, XR, NFT 존재감 여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35 0
2030 [스케일업] 엘포박스 [2] 톡톡박스, 디바이스가 아니라 ‘Playground’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56 0
2029 [시승기] 가솔린 엔진 얹고, 공간을 더하다…’신형 티구안 올스페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32 0
2028 [지스타 2022] 인텔, 레노버, 스틸시리즈까지…게이밍 기기 모인 인벤 전시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42 0
2027 [지스타 2022] 역대 최대 전시관 마련한 삼성…SSD, 게이밍 모니터 앞세워 관람객 맞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77 0
2026 경기도일자리재단, 협업 툴 '두레이'로 업무 혁신·보안 달성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14 0
2025 [스타트업in과기대] 홀린 김창경 대표, "온라인 합주용 플랫폼 만들 것"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2123 2
2024 에이수스, 13세대 코어를 위한 최상위급 메인보드, Z790 시리즈 다수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8 0
2023 [2022 창구] 로플리 “막막한 미국 이민, 앱 하나로 맞춤형 서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7 0
2022 '전기 먹는 하마' 오명 붙은 데이터센터... 친환경 전환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35 0
2021 [스케일업] 휴로틱스 [2] BM 분석 “웨어러블 로봇, 성장의 열쇠는 파트너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39 0
202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6. 비트코인에 관한 기본 지식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57 3
2019 퀄컴 스냅드래곤 8 2세대는 스마트폰을 어떻게 바꿀까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575 4
2018 에이비씨써클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스타트업 성장의 디딤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01 0
2017 [리뷰] 레이저 넘은 기업용 잉크젯, 엡손 워크포스 프로 WF-C879R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02 0
2016 올해의 농식품 혁신 주역들을 만나다…’2022 A-벤처스’ 시상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38 0
2015 [스케일업] 엣지케어 [1] “초음파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13 0
2014 ASML 피터 베닝크 CEO, "반도체 시장 앞으로 10년 간 두 배 성장"··· 한국에 2천400억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5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