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7.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두 번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27 22:09:55
조회 179 추천 0 댓글 0
[편집자주] 본 연재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코인, NFT 등으로 대변되는 가상자산 시장과 기반 기술에 관한 올바른 정보 전달과 긍정적인 인식 정착을 목적으로, 누구라도 쉽게 이해하도록 눈높이를 낮춰 진행됩니다. 암호화폐 등에 과도한 투자나 몰입은 금융시장과 가정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문 내 의견과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도대체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 https://it.donga.com/102521/

블록체인의 데이터 '검증'이 중요한 이유 - https://it.donga.com/102569/

NFT가 중요한 미래 트렌드인 이유 - https://it.donga.com/102605/

NFT의 실재 - PFP, P2E, P2M - https://it.donga.com/102633/

NFT 입문 전 꼭 알아야 할 것 - https://it.donga.com/102659/

디파이(DeFI)는 무엇인가 - https://it.donga.com/102693/

'웹 3.0'은 또 무엇인가 - https://it.donga.com/102723/

프로그램 코드로 운영되는 탈중앙화 조직, DAO - https://it.donga.com/102763/

'이더리움 2.0'의 첫걸음, '더 머지(The Merge)' - https://it.donga.com/102805/

유틸리티 토큰과 STO 토큰 - https://it.donga.com/102892/

근미래의 인터넷 생태계, 웹 3.0과 메타버스 - https://it.donga.com/102941/

NFT 구매 전 알아야 할 필수 지식 - https://it.donga.com/102979/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이란? - https://it.donga.com/103029/

블록체인 생태계인 '메인넷'이란? - https://it.donga.com/103085/

안전한 블록체인 투자 전 준비해아 할 것 - https://it.donga.com/103134/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첫 번째 - https://it.donga.com/103252/

블록체인 기술과 가상자산 관련 프로젝트는 앞으로도 많은 주목을 받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하려는 사람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자체적으로 생태계를 구성한다. 그 생태계를 유지하고 지속되게 만드는 건 '토큰 이코노미'와 '토큰 매트릭스'다. 여기서는 백서에서 이 두 가지를 보는 방법과 그 외에 살펴볼 것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토큰 이코노미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면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특정 행동을 유발하고 그 과정에서 플랫폼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법이다. 토큰 이코노미가 이렇게 생태계를 유지하며 지속되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때문에 참여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지급한 뒤, 참여자들이 그 보상을 각자가 원하는 것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하여 지속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든다.

일례로, M2E(Move to Earn) 서비스가 있다. M2E 서비스를 진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들은 '운동'이라는 특정 행동을 하고 그 보상으로 토큰을 얻는다. 사용자들은 이 토큰을 모아서 현금로 바꾸든가, M2E 서비스에 사용되는 NFT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비트코인 백서 (출처=www.bitcoin.org)



한편 토큰 매트릭스는 토큰 배분표다. 세일, 마케팅, 재단 등 토큰이 나눠져 있는 것과 가격 안정성의 정책으로 락업을 포함한 모든 것이라고 보면 된다. 보통 세일 토큰 물량은 프로젝트가 여러 사용처에 따라 유동성을 제공하는 물량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토큰을 펀딩 받거나 거래소 상장시 유동성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

예외적으로, 기관투자를 받은 프로젝트는 따로 표기하기도 한다. 세일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은 보통 락업을 통해 일정 기간동안 시장에 나오지 않게 한다. 여기서 락업 토큰이란 서서히 물량을 풀기 위해 가지고 있는 토큰이다. 디파이(DeFi) 모델이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토큰 릴리즈(Token release)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분한다. 초기 프로젝트라면 토큰을 구매하려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유통량을 많이 풀면 토큰 가치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마케팅 물량은 마케팅 용도로 따로 배분한 물량이라고 보면 된다. 백서를 볼 때 마케팅 물량이 없다면 세일 물량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 여기면 된다. 재단 물량에는 재단에 기여한 팀원에게 주는 물량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팀원 물량'이라 부르기도 한다.




토큰배분표 (출저= 샌드박스 백서)



락업이란 물량이 잠겨져 있는 것을 뜻한다. 락업의 경우도 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스마트 계약서(smart contract)를 통해 발행된 토큰을 거래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특정 기간이나 조건에 맞춰 정해진 물량을 배출하는 기능이다. 발행 때부터 스마트 계약서를 이용한 락업이기 때문에, 사전 설정한 기간이 지나지 않으면 판매가 절대로 불가하다.

두번째는 자체 락업이다. 예를 들어, 재단에 '마케팅 토큰 상장 후 1년 락업' 정책이 있다면, 상장 후 1년까지 마케팅 물량을 유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체 지갑이 개발돼 있다면, 지갑 내에서 전산 상으로 락업을 거는 것이다. 즉 지갑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자체적으로 토큰을 이동하지 못하게 막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나 제3자에게 락업 조건으로 배분할 때 이용된다.

토큰 물량은 재단마다 각각 다르기 때문에, 토큰 릴리스(토큰 유통 계획표)를 잘 살펴봐야 한다. 또한 락업은 언제 풀리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백서를 보면 대략 언제까지 토큰을 풀지 않을 것인지, 풀게 된다면 언제부터 얼마나 풀 것인지 나와있다. 락업에 대해 좀더 정확히 알기 위해 백서를 참고해도 좋지만, 코인마켓캡(Coin Market Cap) 같은 공시 홈페이지도 함께 참고하길 권한다.

백서에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이 몇 가지 더 있다. 첫째로 투자사와 파트너사다. 어떤 기업 혹은 어떤 사람이 함께 하는지 보는 것이다. 이를 테면, '삼성이 어디에 투자했다'라는 소식을 듣고 삼성이 투자한 분야에 투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블록체인 기업도 마찬가지다.

두번째는 회사가 자금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고, 회사 운영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게 좋다. 투자로만 운영되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이다. 갑자기 투자를 철회하더라도 크게 타격이 입지 않을 수준의 자금을 보유한 재단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세번째는 기관 투자자들의 펀딩 규모다. 기관 투자자들(일반적으로 벤처캐피탈/VC다)에게 얼마나 펀딩을 받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펀딩을 많이 받을수록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며, 그만큼 기대감과 믿음도 높다는 걸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은 기술력이 실현가능한, 지속가능한 프로젝트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펀딩은 많이 받았지만 향후 이 기술력이 실현이 가능한지, 실현된 후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 확인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향후 실현은 가능하지만 지속성이 약한 프로젝트도 얼마든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백서는 프로젝트를 확인할 때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 이 글 내용을 참고해 백서를 훑어본다면 원하는 프로젝트를 찾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글 / 클레버파트너스 박진성 대표

블록체인/암호화폐 컨설팅 전략 자문기관인 클레버파트너스를 운영 중이다. 크립토 펀드 운영 및 프로젝트 컨설팅을 총괄하고 있다. 블록체인 시장 초기 ICO 전문 분석가로 활동, 거래소 엔터프라이징부터 50여개 이상의 프로젝트 컨설팅 및 엑셀러레이팅을 진행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1. 메타버스 관련 연재를 시작하며...▶ 북한 핵무기의 새로운 돈줄은 '사이버공격'.."한국도 국가적 대응 체계 마련해야"▶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5. 자녀의 디지털미디어 통제 능력을 길러주는 소통법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4902 [신차공개] ‘기아 EV4’ 외장 공개·’로터스 25년형 에미라’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28 0
4901 비행기에 리튬이온 배터리 갖고 탈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1910 1
4900 당근으로 집 산다?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22 0
4899 [투자를IT다] 2025년 2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46 0
4898 [생성 AI 길라잡이] 영상 생성 인공지능 서비스 '소라(Sora)'의 스토리보드를 활용해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24 0
4897 [뉴스줌인] 최근 급증한 온라인 사기 기법, ‘돼지 도살 스캠’은 무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26 0
4896 [리뷰] 성능과 완성도 벼려낸 AI 스마트폰, '갤럭시 S25 울트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26 0
4895 전자결재·ERP 동시 도입한 ‘인천문화재단’, 배경에 NHN두레이 조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11 0
4894 동대문구 소상공인연합회 “스넥스, 활기찬 분위기 조성 및 정책 홍보에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11 0
4893 [2024 고려대 초창패] 일렉트로워터 “전기차 패러다임 바꾼 테슬라처럼 수처리 분야 혁신 주도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10 0
4892 애플 통신칩 독립 여정, 10년 끝맺음 지을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682 3
4891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앱·동영상 생성형AI 출시로 전문가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18 0
4890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 ‘단계적 허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00 0
4889 [2024 고려대 초창패] 값비싼 보행 분석 ‘AI 기술’로 일상화…‘에이트스튜디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518 0
4888 [리뷰] 기본기와 신뢰성, 넷기어 GS516 16포트 기가비트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2 0
4887 [2024 고려대 초창패] 에이코트 “입자 코팅 기술로 배터리 산업 힘 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7 0
4886 겨울철 월동장구별 자동차 제동거리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13 0
4885 [생활 속 IT] 공항철도 혼잡도 카카오맵으로 확인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10 0
4884 유니메오 “원스톱 돌봄 서비스 ‘좋은케어’, 투명한 간병인 매칭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06 0
4883 [주간스타트업동향] 위밋모빌리티, 2025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54 0
4882 [생활 속 IT] 아이폰 기본 메모에서 문서 스캔·PDF 저장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52 0
4881 [월간자동차] 25년 1월, 전년 동기 대비 신차 판매 14.3% 감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588 1
4880 [리뷰] 고음질은 기본, 멋진 디자인까지 갖춘 PC 스피커 ‘크리에이티브 페블 노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42 0
4879 가상자산 거래소, 전산장애 방지 위해 IT 인프라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32 0
4878 [IT기획자의 탄생] 4. 신사업 기획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36 0
4877 시장점유율·격차 크게 줄어··· '희비 엇갈린 인텔·AMD'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900 1
4876 오라클, “클라우드 탑4 등극, AI도 우리가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82 0
4875 포티넷코리아 “AI 보안 통합 플랫폼으로 비방화벽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65 0
4874 [생활 속 IT] 우리 동네 ‘위법 식당’ 확인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64 0
4873 [IT신상공개] 가성비 좋은 노이즈캔슬링 이어폰 ‘JBL 튠·웨이브 4종’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4862 0
4872 [생활 속 IT] 윈도 운영체제 관리 도우미 ‘MS PC 매니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88 0
4871 국내 최초 3칸 굴절버스 대전 달린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58 2
4870 [리뷰] 재질부터 두뇌까지 새롭다, 에이수스 젠북 A14(UX340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58 0
4869 폰 연결 없이 갤럭시워치로 음악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06 0
4868 [주간투자동향] 시나몬, 1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266 1
4867 ‘인공지능에 기회 있다’ 글로벌 테크 기업,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경쟁에 속도 붙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6166 1
4866 [생성 AI 길라잡이] 커지는 보안 우려에 딥시크 차단 조치 확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301 0
4865 [투자를IT다] 2025년 2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89 0
4864 알약M iOS, 스마트폰 보안보다 관리에 초점 뒀지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68 0
4863 [2024 고려대 초창패] 세컨드팀 “서비스 확장, AI 인터뷰어로 글로벌 인재 채용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78 0
4862 [생활 속 IT] 최신 GPT 모델을 누구나 무료로, 'MS 코파일럿 씽크 디퍼'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4347 0
4861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앱 기반 초중고 밀착 학습 케어 서비스 제공 ‘비욘드날리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38 0
4860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빅링크 “AI 활용한 초개인화 글쓰기ㆍ콘텐츠 생성 서비스로 크리에이터의 고민을 해결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76 0
4859 [리뷰] 내공 탄탄한 기술력으로 일상 모발 관리 돕는 ‘파나소닉 헤어 드라이어 EH-NA0J’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5055 1
4858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다컴스, 스포츠 전문 채용 플랫폼 '드래프트온'으로 새 시장 개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47 0
4857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카메라·레이더센서 일체형 기기로 건강 모니터링…‘다민테크놀로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58 0
4856 [IT애정남] 유튜브 프리미엄, 가족끼리 공유할 방법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529 0
4855 [생활 속 IT] 이직 후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월별 조회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28 0
4854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블루앤워터 “모듈화ㆍ자동화 수처리 솔루션으로 혁신 지속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248 0
4853 팔릿(PALIT) 그래픽카드 ODM으로 장사하던 이엠텍, 이제 와서 ‘공식 유통’ 한다고?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2205 0
뉴스 ‘빌보드 루키’ 누에라, 데뷔곡 MV 티저... 에너지 폭발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