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비대면 교육의 사각지대 '소통', 협업 툴로 채우는 사례 늘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15 17:06:44
조회 45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코로나 19로 시작된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전 세계 교육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지금까지 모든 교육 현장은 대면을 원칙으로 하며, 비대면은 예외적이고 보조 수단에 불과했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대면 수업이 불가능해지면서 한순간에 비대면 교육이 주축으로 떠올랐다. 다행히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은 일찍부터 디지털 교육 환경을 조성해 왔고, 이를 위한 인프라도 준비해오 고 있어서 자연스럽게 비대면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인프라나 교육 콘텐츠 상황은 나쁘지 않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집계한 2020년 기준 학생용 디지털 기기의 보급 현황은 2018년 51.06%에서 2020년 53.44%로 증가했으며, 전체 교육용 디지털 기기의 수는 2018년 177만 대에서 2020년 202만 대로 증가했다. 개인용 디지털 기기까지 포함하면 실제 디지털 기기 보급률은 이보다 훨씬 높다. 여기에 인터넷 교육, 교육 콘텐츠, 인프라 제공 업체 등이 포함된 ‘에듀 테크’(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어서 비대면 교육 시장의 입지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하지만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간과되어 온 것이 바로 소통의 부재였다. 교과 과정이나 학습 체계 등 대면 교육의 구성 요소는 디지털로 구현할 수 있지만, 대면에서 비롯되는 대화와 의사소통은 디지털로 대체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최근 국내 교육 기관들에서 사이에서 ‘협업 툴’로 이 부분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관측되고 있다. 협업 툴은 일반 메신저와 비슷하지만, 업무에 기반한 기능과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기업용 메신저다.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업무와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의견을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협업 툴을 도입하고 있을까?

교육 현장과 협업 툴의 만남, 접목 배경은?



협업 툴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게 된 이유는 효율성과 접근성 때문이다. 대다수 협업 툴은 다양한 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버전까지 지원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이어서 데이터나 일정 공유, 대화 전달 등 부가적인 내용도 나눌 수 있다. 덕분에 협업 툴은 데스크톱과 노트북은 물론,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접속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에도 용이하다.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면 학생들이 활용하는 어떤 기기에서든 메신저를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콘텐츠나 화상 회의 등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효율적인 대화를 위한 협업 툴만의 특성도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좋다. 토스랩의 협업 툴 ‘잔디’의 경우, ‘주제별 대화방’을 통해 구성원 간의 소통을 돕는다. 일반 메신저는 일대일 혹은 일대다가 하나의 채팅방에서 대화를 진행하므로 여러 가지 대화나 주제가 뒤섞여서 전달된다. 반면 잔디의 대화 방식인 주제별 대화방은 특정 주제에 맞춰 대화를 생성하므로 주제가 섞일 일이 없다. 따라서 공지는 공지대로, 수업은 수업별로 대화를 진행할 수 있어서 좋고, 대화방의 성격에 맞춰 자료를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비대면 회의를 위한 기능인 화상 회의나 저장 공간 등도 협업 툴에서만 접할 수 있다. 일반 메신저에 있는 화상 기능은 화상 통화 기능에 가까워서 통화 이외에 자료 공유나 프레젠테이션, 단방향 소통 등의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반면 협업 툴의 화상 회의는 업무 환경에 맞는 다양한 활용 조건을 고려하고 있어서, 한 번에 수십 명이 화상으로 교육하고, 프레젠테이션이나 화면 공유 등도 쓸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이 제공되므로 수업 중 공유한 자료 역시 시일이 지나도 학생들이 찾아 볼 수 있다. 일반 메신저는 시간이 지나면 자료가 사라지는 것과 상반된다.

이처럼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협업 툴은 이제 교육 환경으로도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와 소명중고등학교, 그리고 세종사이버대학교의 활용 사례를 통해 실제 사례를 살펴보자.

교수와 학생 팀 프로젝트에 협업 툴 도입한 ‘성균관대’



성균관대학교 대학혁신과공유센터는 창의·융합에 기반을 둔 다양한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 인성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 학내 기관이다. 센터에서는 대규모의 학생들이 팀을 형성해 장기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융합 기초 프로젝트, 그리고 교수와 학부생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코딥러닝 프로젝트(Co-Deep Leaning Project)와 융합 기초 프로젝트에 협업 툴 ‘잔디’를 도입하고 있다. 원래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며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진행했으나, 코로나 19 이후 전체 공지나 대화의 혼선을 막기 위해 2020년 1학기부터 ‘잔디’를 도입했다.



코딥러닝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진행하는 순서는 잔디 가입 후, 각 팀별로 주제별 대화방을 생성하는 것이다. 프로젝트와 관련된 연락과 소통, 파일 공유, 회의는 모두 잔디로 진행되며, 중요한 사항은 ‘보드뷰 게시판’을 통해 공지한다. 이렇게 주고받은 대화와 게시물은 대면으로 회의를 진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용자가 직접 의견을 남기고 소통할 수 있다. 이처럼 협업 툴은 다수가 동시에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일반 메신저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기록으로 남기고 공유하는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

교과 과정부터 방역까지 대응하는 ‘소명중고등학교’

‘좋은 교사가 좋은 교육 과정’이라는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안 학교, 소명중고등학교에서도 잔디를 활용하고 있다. 대안 학교는 교육청이나 교과 정책이 아닌 교사가 교육 지침을 만들기 때문에 선생과 학생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30여 명의 소속 교사들은 소명중고등학교만의 교육 과정을 만들기 위해 잔디로 소통하고 있다. 학교에서 잔디를 선택한 이유는 인증받은 교육 기관에게 60%의 할인을 적용해 주는 이유도 있지만, 국내 서비스이기 때문에 대처가 빠르고 사용하기 쉽다는 점도 있다.



소명중고등학교 역시 잔디 도입 이전에는 카카오톡을 활용했다. 하지만 워낙 많은 대화가 소수의 대화방에서 오가다 보니 내용을 다 숙지하기 어려웠고, 대화 내용이 사라지거나 이전의 기록을 확인할 수 없는 등 문제가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잔디를 도입하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일단 ‘할 일 관리’를 통해 다섯 단계로 구분되는 업무 진척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됐고, 서로 대화를 확인했는가도 구분할 수 있게 됐다. 교내의 발열 체크 및 안면 인식 기술과 잔디를 연동해 학생들의 출석 체크와 코로나 19 방역 상태도 디지털로 관리하고 있다.

전체 강의부터 실시간 대화까지 다루는 ‘세종사이버대학교’

디지털 기반의 세종사이버대학교도 잔디를 대폭 활용하고 있다. 세종사이버대학교는 현재 9천여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지만, 이전까지 문자 메시지를 활용해 의사소통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2017년부터 잔디를 도입해 실시간 소통과 화상 회의를 통한 의사소통은 물론, 온라인 강의실까지 연결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사전에 설치된 잔디를 활용해 교수가 진행하는 실시간 강의를 수강한다. 여기서 교수는 강의를 진행하면서 채팅으로도 대화를 나누며, 퀴즈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활용해 수업을 진행한다. 특히, 강의 주제에 맞춰 전용 대화방이 개설되기 때문에 특정 수업에 대해서만 대화를 진행할 수 있고, 강의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도 이후 대화방에 참여하면 지난 강의 대화와 수업 내용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는 8학기 이상을 잔디 기반의 실시간 강의로 진행하고 있으며, 교수와 학생 모두 나름의 노하우를 갖고 비대면 강의를 수강하고 있다. 아울러 우수한 실시간 강의 운영법을 선별하여 사례집을 만들고, 이를 교수들 간에 공유하고 개선하는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교육의 효율성을 갈수록 끌어올리고 있다.

협업 툴, 비대면 교육의 사각 지대 채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2018~2020년 전국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정보 기술(ICT) 활용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많은 교사들이 인터넷을 활용해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비율이 늘어났다고 답했다. 또한 교사들은 ICT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지속적으로 습득하고, 관련 연수나 교육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ICT를 활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부정 응답이 늘었다. 많은 교사들이 정보 기술 기반의 교육은 발전해야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는 결국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고, 또 소통을 위한 매체도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의사소통에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활용하겠다는 항목과 디지털 자료를 수업에 활용하고, 재가공한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2018년보다 2020년에 긍정 응답이 많았다. 그런 의미에서 협업 툴은 디지털 교육 현장의 사각 지대인 의사 소통 문제를 해소하고, 더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앞으로 대면 교육이 다시 시작되더라도, 비대면 교육도 그대로 병행될 가능성이 크다.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교육 기관의 협업 툴 도입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시기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카카오톡VS라인, 검색 기능은 어떻게 다를까?▶ [하이서울 V.C 탐방] 토스랩 "잔디로 아시아 최고의 협업 툴을 꿈꿉니다"▶ "23개의 나이키 매장, 네이버웍스로 소통하고 업무 혁신 이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406 인천청년창업사관학교 “인천 특유의 끈끈한 협력관계, 창업에 최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8 42 0
405 [스케일업] 스트릭 (4) 전문가 마케팅 날개 달고 오프라인·해외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8 45 0
404 [스케일업] 스트릭 (4) 전문가 마케팅 날개 달고 오프라인·해외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8 40 0
403 [리뷰] FHD 게이밍에는 충분, 파워컬러 라데온 RX 6600 파이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60 0
402 [주간투자동향] 와디즈, 1,0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98 0
401 한국폴리텍II대학 산학협력단 "현장과 학교는 더 많이 연결돼야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60 0
400 송파ICT청년창업지원센터, 2022년 신규 청년창업가 입주 모집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488 0
399 [리뷰] 게임 플레이든 문서 작업이든 '타다닥', 마이크로닉스 '모프' MK-1 기계식 키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65 0
398 디지털 원유 '데이터'를 통한 비즈니스, 장밋빛 전망만 있을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535 2
397 메타버스 인재 기른 2021 실감형 콘텐츠 창작자 양성사업, 성황리 마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6 53 0
396 [S-스타트업] 스트릭, 투자자를 설득하려면 '소구점'을 찾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6 55 0
395 세상의 중심에서 콘텐츠를 외치다, 2021 콘텐츠임팩트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6 48 0
394 베일 벗은 발뮤다 폰, 日 현지 반응은 ‘예쁜데 너무 비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6 88 0
393 세상의 중심에서 콘텐츠를 외치다, 2021 콘텐츠임팩트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5 47 0
392 유튜브 프리미엄, ‘본전’ 뽑으려면?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5 2197 1
391 [스타트업-ing] 리얼위드 황영진 대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타버스 확대는 불가역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56 0
390 [송대리의 잇(IT)트렌드] 이제 세상에 '페이스북'이란 회사는 없다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86 0
389 2021 S-스타트업 왕중왕전·성남창업경연대회, "성남과 함께 도약할 스타트업 육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52 0
388 [트위터 활용하기] 대세를 따라가야 대세가 된다, 트위터의 동영상 광고 'Amplify'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78 0
387 인천중장년기술창업센터 "중장년의 경험, 노하우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54 0
386 [스케일업] “수천대 PC 운영관리,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746 3
385 [농업이 IT(잇)다] 정혁 대성 “스마트하이브 탈봉 로봇으로 벌·양봉업 가치 높인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518 0
384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2 57 0
383 [리뷰] 하이파이 감각 프리미엄 스피커, 브리츠 Air Pulse A3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61 0
382 세상의 중심에서 콘텐츠를 외치다, 2021 콘텐츠임팩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73 0
381 [S-스타트업] 어썸랩, "브랜드 마케팅보다 브랜딩이 먼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74 0
380 [S-스타트업] 페스타, "좋은 제품도 적극적인 홍보가 먼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6 0
379 [모빌리티 인사이트] 우주쓰레기를 걱정해야 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64 0
378 [스케일업] 모든 카트를 전동화하는 그날까지, 세이프웨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08 0
377 치매는 비대면 진단, 치료는 VR로··· 기술로 새 시장 연 '세븐포인트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49 0
376 AWS, 개발자를 위한 현대적 앱 개발 사례 및 강연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68 0
375 인천대 창업지원단 채진석 단장 "값진 창업의 경험, 누구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40 0
374 산적한 난제, 스타트업들의 고민을 공유합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46 0
373 인하대 창업지원단 이기안 교수 “우리의 창업 지원 노하우, 독보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45 0
372 엔비디아 "기술력 집대성해, 지구의 디지털 쌍둥이 만들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44 0
371 [스타트업-ing] 이엑스 주식회사 “XR 산업 문턱, 우리가 낮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42 0
370 성동 4차산업혁명체험센터 ‘청소년 연구원’ IT 꿈나무 필수 코스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429 0
369 팽글 “체계적인 인앱 광고 전략을 위한 토털 솔루션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41 0
368 [IT신상공개] 삼성전자, 모바일용 LPDDR5X 메모리 선보여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617 3
367 새싹 기업 지원으로 미래를 그리다,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45 0
366 [리뷰] "가격이 곧 음질이다", 고음질에 노이즈 캔슬링을 더한 완전 무선 이어폰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68 0
365 성동구, 혁신 기술 체험의 장 ‘성동 메타버스 페스티벌’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63 0
364 '안전vs성장' 갈림길에 놓인 전동 킥보드, 어디로 가야 하나? [3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2087 5
363 [BIT 인사이트 저널] '화해', 베트남 뷰티를 해석하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1172 0
362 세상의 중심에서 콘텐츠를 외치다, 2021 콘텐츠임팩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48 0
361 [농업이 IT(잇)다] 김경환 휴밀 “물 한 잔과 가루선생으로 콩의 영양 고스란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49 0
360 [S-스타트업] 스트릭 오환경 대표 "물리치료사의 노하우,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50 0
359 산적한 난제, 스타트업들의 고민을 공유합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602 0
358 "카카오페이의 개발 역량, 신뢰성과 안정성이 우선이죠"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5 651 1
357 [리뷰] 게이밍 프로세서의 새로운 지평 열다, 12세대 인텔 코어 i9-12900K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4 5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