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케일업] 리하베스트 [1] 리너지 가루 앞세워 업사이클링 대표주자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07 13:56:48
조회 153 추천 0 댓글 0
[스케일업 x SBA] 스케일업코리아는 서울경제진흥원(SBA)과 함께 ‘2023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스케일업코리아는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각각의 스타트업이 지금 진행 중인 사업 전반을 소개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도전 중인 문제를 조명합니다. 이를 해결하도록 여러 전문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를 연결해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IT동아 차주경 기자] 업사이클링(Upcycling)은 재활용(Recycling)에서 더욱 발전한 개념이다. 재활용은 기존에 있던 것을 관리해서 '다시 쓰는' 개념이다. 그래서 소재도, 결과물도 일정하다. 반면, 업사이클링은 소재에 기술을 더해 성질을 바꾸고, 아이디어를 반영해 '새로운 가치를 가진 결과물을 만드는' 개념이다. 그래서 활용 가능한 소재도, 만드는 결과물의 범위도 아주 넓다. 무에서 유를 만드는, 지금까지 버리거나 낭비하던 자원을 슬기롭게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점에서 업사이클링은 주목 받는다.

업사이클링이 만든 가치와 효용이 알려지자 세계 곳곳에서 이 기술을 다루는 스타트업이 등장했다. 저마다 다른 아이디어와 기술도 선보인 수많은 업사이클링 기업 가운데에서도, 민명준 대표가 이끄는 스타트업 ‘리하베스트’가 거둔 성과는 유독 돋보인다. 인류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식품 부산물의 업사이클링’의 성공 사례를 여러 개 만든 덕분이다.


C-Lab 전시회에서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는 민명준 대표(가장 오른쪽). 출처 = 리하베스트



식재료를 가공할 때, 식품을 만들 때 생기는 식품 부산물의 양은 매년 기하급수처럼 늘어난다.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식품 부산물을 매일 572kg씩 만들고, 이를 연간 집계하면 3,000만 톤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식품 부산물은 대부분 쓰레기로 처리되기에 환경부담금을 내고 폐기한다. 식품과 자원 낭비, 환경 오염과 비용까지. 인류에게 사중고를 안기는 셈이다.

민명준 대표는 식품 부산물을 업사이클링해서 이 악순환을 무너뜨릴 생각을 하고, 2019년 리하베스트를 세웠다. 그가 주목한 것은 맥주·식혜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이었다.

보리부산물 업사이클링, 대체 식품 원료 ‘리너지 가루’ 선보여

곡물로 맥주나 식혜를 만들고 나면 부산물로 '보리부산물(이하 BSG, Barley Saved Grain)'이 남는다. BSG에는 곡물의 풍부한 영양 성분이 상당 부분 남는다. 그럼에도 식품 부산물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는 BSG를 비용을 들여 폐기했다. 리하베스트는 BSG의 수거와 전처리, 건조와 살균, 대량 생산화 등 업사이클링 기술을 고도화한 끝에 대체 분말 식품 ‘리너지 가루’를 완성한다.


브루어리에서 BSG를 수거하는 모습. 출처 = 리하베스트



리너지 가루는 밀가루뿐만 아니라, 제분 가루 전반을 대체 가능할 정도로 쓰임새가 다양하다. 빵과 과자, 시리얼과 음료 등 어떤 식품으로든 만든다. 기존 제분 가루와 맛이 거의 같고 영양 성분은 더 많이 가졌다. 리하베스트는 최근 세운 공장에 새로운 공정과 설비를 도입, 리너지 가루를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할 준비도 마쳤다.

같은 양의 리너지 가루와 밀가루를 비교하면, 리너지 가루가 단백질은 평균 2.5배, 식이섬유는 20배 이상 많다. 그럼에도 칼로리는 10% 적다. 퀴노아 가루, 귀리 분말 등 다른 기능성 식품의 원료와 비교해도 리너지 가루의 장점은 두드러진다. 재료가 식품 부산물, 그냥 버리던 BSG이기에 싼 값에 가져오면 되므로 원가 경쟁력도 탁월하다. 리하베스트는 2025년까지 리너지 가루의 생산 비용을 고급 밀가루의 70% 수준으로 낮출 예정이다. 그러면 제분 업계에 비용 절감과 업사이클링이라는 장점을 가져다줄 것이다.


리너지 가루. 출처 = 리하베스트



민명준 대표는 리너지 가루를 가장 탁월한 ‘넷 제로(Net Zero, 탄소 배출량 저감 활동) 만족 수단’으로 소개한다. 예를 들어, 식품 기업이 리너지 가루를 1kg 활용하면 탄소 배출량을 11kg, 물 사용량을 3.7톤, 식품 부산물을 3kg 각각 저감 가능하다. 넷 제로를 만족하려고 식품 원료를 다시 고르고 제품의 생산 설비와 유통 구조를 개량하느라 비용을 쓰지 않아도 된다. 리너지 가루를 쓰는 것만으로 훌륭하게 넷 제로를 만족한다.

리너지 가루는 제분, 식품 업계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새로운 가치를 전달한다. 먹어도 속이 더부룩하지 않은, 영양소가 많으면서 맛도 좋은 새로운 식품 영역을 개척한 덕분이다. 물론, 기존의 식품 영역에서도 활약한다. 이미 우리나라의 한 유명 김치 기업이 제품의 식이섬유 함유량을 늘릴 목적으로 리너지 가루를 활용 중이다. 리하베스트가 리너지 가루로 만든 식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반응을 살핀 결과 긍정 반응은 90% 이상, 재구매 의사는 94% 이상 나왔다.

리너지 가루 고도화, 해외 진출 성과 차근차근

리하베스트의 이름을 식품 업계에 알린 것은 리너지 가루로 만든 에너지 바 ‘리너지 바’였다. 이 제품은 간식으로, 단백질 보충원으로 젊은 소비자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크라우드펀딩에서 목표 모금액을 3,140% 이상 초과 달성하는 성과도 냈다. 제품으로 이름을 알린 민명준 대표는 기능성 식품 원료인 리너지 가루를 국내외 여러 기업에 보급해서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전달하려고 한다.


리너지 가루로 만든 업사이클링 제품군. 출처 = 리하베스트



리하베스트는 2022년 11월, 경기도 화성에 리너지 가루 생산 공장을 세웠다. 생산 규모는 월 80톤으로, 업사이클링 소재 업계에서 가장 큰 수준이라고 한다. 세계 업사이클링 소재 기업들은 소량의 소재로 한정된 수량의 제품을 만든다. 반면, 리하베스트는 공장을 준공한 덕분에 국내외 대기업에 업사이클링 원재료를 원활히 납품 가능할 정도의 생산 역량을 갖췄다.

오비맥주와 서정쿠킹, 바네하임브루어리와 플래티넘크래프트, 칼리가리 브루어리 등 우리나라 기업과 맥주·식혜 부산물의 공급 계약도 맺었다. 이들 기업은 식품 부산물의 처리 비용을, 리하베스트는 업사이클링 원재료 구매 비용을 각각 줄인다. 나아가 리하베스트는 밀기울, 홍삼과 생약박(부산물), 파인애플 등 다양한 업사이클링 소재의 공급 계약을 타진 중이다.


업사이클링하려고 수거한 BSG. 출처 = 리하베스트



업사이클링 소재를 확보하고 가공 기술의 연구 개발을 마치면, 리하베스트는 리너지 가루를 포함한 업사이클링 제품 전반의 생산 규모를 더욱 늘릴 예정이다. 2,000평 규모의 제 2 공장을 2024년에 세우고, 리너지 가루뿐만 아니라 새로운 업사이클링 제품이자 고부가가치 제품 ‘대체 지방’을 만들 예정이다. 참기름 부산물, 맥주박 등에서 지방을 뽑아내 만드는 제품이다.

이 공장을 토대로 리하베스트는 우리나라 제분 시장을 먼저 공략하고, 나아가 세계의 대체 식품 시장에 도전한다. 이미 동남아시아 맥주 제조사들과 업무 협약을 맺고 여러 사업 모델을 실험 중이다.


베트남 호찌민 경제대학교 업사이클 세미나에서 강연 중인 민명준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 출처 = 리하베스트



인도네시아에서 규모가 가장 큰 맥주 회사와 손 잡고, 현지에 최초의 업사이클링 기업을 세울 계획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베트남 하노이 맥주(HABECO), 빈펫(Vinh Phat)도 리하베스트의 파트너 대열에 합류했다. 푸드업사이클 협회, 오비맥주의 모회사 에이비인베브(AB InBev)의 도움을 받아 미국과 유럽 진출도 시도 중이다.

도전 과제는 ‘소비자 인식 개선’과 ‘업사이클링 시장 주도 전략’ 확보

리너지 바와 리너지 가루. 식품 부산물 업사이클링의 모범 사례를 만든 리하베스트지만, 민명준 대표는 아직 기업을 개선할 여지가 많이 남았다고 말한다. 더 큰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풀어야 할 도전 과제도 찾았다고 말한다.


베트남 기업과 업사이클링 기술을 논의하는 민명준 대표(왼쪽). 출처 = 리하베스트



그가 밝힌 리하베스트의 도전 과제는 업사이클링을 보는 ‘소비자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다. 업사이클링은 환경 문제를 완화하고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아주 큰 가치를 발휘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 소비자들은 업사이클링과 재활용의 차이를 잘 모른다. 업사이클링의 장점을 잘 모른다. 게다가, 리하베스트가 활동하는 식품 산업은 기존의 기술이나 인식을 바꾸기 어려운 보수적인 시장이다. 스타트업이 가치를 증명, 인정 받고 수익을 내기에 아주 어려운 부문으로 꼽힌다.

민명준 대표는 오비맥주, CJ 등 국내외 대기업과 협업하며 소비자에게 다가가 인식을 개선하려 한다. 이미 이들 대기업과 쿠킹 클래스 개최, 캐릭터와 신제품 공동 연구 개발 등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알릴 여러 사업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보리와 BSG, 리너지 가루(왼쪽부터). 출처 = 리하베스트



그는 ‘업사이클링 시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주도할 책임’도 느낀다고 한다. 업사이클링은 수 년 전만 해도 소비지와 시장 모두에게 생소한 개념이었다. 그러다 리하베스트와 오비맥주의 CV 사례를 포함, 세계 각국의 업사이클링 기업들의 성공 사례가 알려지면서 주목 받았다.

하지만, 일부 기업은 업사이클링의 인지도를 악용해서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만 쓰려고 한다. 업사이클링 소재와 기술의 연구 개발에는 소홀하고, 재활용 기술을 조금 개량만 해서 상품을 판매하는데 집중한다. 민명준 대표는 무에서 유를 만드는, 버리던 것에서 고부가가치를 만드는 업사이클링의 효용을 제대로 알리려 한다. 책임감을 갖고 이 시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주도하려 한다.


베트남의 한 베이커리에서 리너지 가루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민명준 대표(오른쪽). 출처 = 리하베스트



그렇기에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는 함께 성장할 ‘인재 모집’이다. 리하베스트는 업사이클링 시장을 만들고 일굴 인재에게 줄 보상안을 튼튼히 마련했다며, 관심과 능력을 가진 인재들의 지원을 당부했다. 함께 도전 과제를 해결하고 매출 증대와 스케일업의 과실을 나누자고도 덧붙였다.

업사이클링 소재의 활용 범위 넓혀 새로운 가치를 세계로

리하베스트는 사업의 범위와 활동 영역·국가를 넓히는 가운데, 새로운 업사이클링 소재와 활용 방안을 꾸준히 궁리한다. 최근 민명준 대표는 업사이클링 소재가 가진 풍부한 식이섬유를 활용해 건강 식품을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업사이클링 제품 신제품 Ver.B 몰트초코볼. 출처 = 리하베스트



우리나라 한 대기업이 이를 눈여겨보고 과립형 식이섬유, 숙취해소제 등을 함께 만들자고 손을 내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대형 병원도 노년층의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도울 식이섬유 상품을 공동 연구 개발하자는 제안을 줬다고 한다. 세계 규모 식약 기업과도 이 주제를 논의 중이다.

리하베스트는 자신들의 가치를 인정하고 성장하도록 도운 일반 소비자에게 보답할 제품도 곧 선보인다. ‘Ver.B’라는 서브 브랜드를 만들고 7월부터 건강 기능성 간식을 판매한다. 업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해 칼로리는 낮추고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유량은 높인 간식이다. 우리나라 전통 간식에 업사이클링 소재의 건강 요소를 더한 신제품을 꾸준히 개발, 선보일 예정이다.


리하베스트 임직원들. 출처 = 리하베스트



민명준 대표는 “국내외의 다른 업사이클링 스타트업과 교류하고 협업 범위를 넓히면서 동반 성장하겠다. 이들 파트너와 함께 무에서 유를 만드는 업사이클링의 긍정 효과를 우리나라에, 나아가 세계에 전파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케일업] 지엠씨랩스 [1] “쉽고 편한 가상자산 자동매매 시스템”▶ [스케일업] 니어브레인 [1] AI·VR 뇌혈류 예측, 뇌혈관질환 극복 선봉▶ [주간투자동향] 팀블랙버드, 8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타고난 드립력으로 사석에서 만나도 웃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0 - -
3148 中 “2024 최고 카메라폰 지위 내 것”...점유율 확대 과제도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600 3
3147 개조부터 구독까지…전기차 활용 범위 확대의 배경 ‘버츄얼 트윈·클라우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338 0
3146 정부 주도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현황 공유 ‘블록체인 진흥주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127 0
3145 [리뷰] 전문가용 GPU 시장에 경종을 울리다, AMD 라데온 프로 W7700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1036 2
3144 구글 클라우드 “생성형 AI 통한 비즈니스 혁신 도울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256 0
3143 그림·사진에 영화, 음악까지…인공지능 예술계 강타 [9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4598 9
3142 에스티어스 "학교 굿즈 통해 브랜딩·애교심 강화에 기여"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149 0
3141 가상자산 산업 “세부적이고 정확한 규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455 0
3140 외국어 문장 번역이 필요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221 0
3139 [스텝포넷제로] 대구경북능금농협, “사과 포장박스를 친환경 포장재로 바꾸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56 0
3138 [주간투자동향] 클래스101, 16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브릿지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68 0
3137 [뉴스줌인] 요즘 인기라는 ‘2230’ 규격 SSD, 씨게이트도 신제품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201 0
3136 [리뷰] 현장 비즈니스 특화 초소형 노트북+태블릿, MS 서피스 고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416 0
3135 '빅스비 시대 저물고, 가우스 온다'··· 삼성도 생성형 AI에 도전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586 1
3134 스타트업 생태계 '여전히 혹한기'···생태계 활성화 위한 정부 정책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323 1
3133 [이제는 전북 콘텐츠] 루트쓰리게임즈, “전북에서 시작해 해외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26 0
3132 [스타트업-ing] 뉴로서킷 “탈모 관리 앱 바야바즈, 세계인 고민 나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41 0
3131 [스케일업] 반프 [3] 이유건 책임 “반프 사내 문화 핵심은 업무 효율·유대감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37 0
3130 스타트업 글로벌 개방성 강화 위한 3가지 정책 제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147 0
3129 [서울형 R&D] 머니스테이션 이정일 대표 “요즘 투자자들은 머니스테이션을 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160 0
3128 [IT애정남] 해외 유심 구매, 내 폰 호환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702 1
3127 [IT강의실] 소니 a9 III가 가진 ‘글로벌 셔터’의 장점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899 4
3126 방대한 AI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발한 ‘바스트 데이터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503 0
3125 에이수스코리아 잭 황 지사장 “에이수스의 혁신 제품, 한국 반응 뜨거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254 2
3124 [리뷰] 활용도, 상품성 개선에 초점 맞춘 삼성 '더 프리스타일 2' 프로젝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86 0
3123 센서·인공지능 업은 2024 스마트폰, 더 좋은 사진 찍는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878 0
3122 [스케일업] 호반건설·팀워크 “건설 현장에서 디지털 도면을 테스트할 수 있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199 0
3121 [리뷰] 손쉬운 조립과 다양한 기능이 매력, 카멜 핏쳐 오피스 체어 FOC1·FOC2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235 1
3120 [IT신상공개] 미디어텍, 스냅드래곤과 겨룰 ‘디멘시티 9300’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566 0
3119 [IT 신상공개] 샤오미 TV 국내 출시, 기존 ‘가성비’ TV와의 차별화 요소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60 0
3118 [이제는 전북 콘텐츠] 전북 CKL을 통해 창업을 꿈꿀 수 있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34 0
3117 내 은행계좌, 신용카드 정보를 한번에 알고 싶을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779 0
3116 [IT애정남] 터치 한번에 전화 잘못 거는 아이폰, 방법이 없을까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278 4
3115 [스타트업人] 정밀 의료 선봉, 메디플렉서스 ‘의료데이터 분석·개발자 이야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450 0
3114 사우디 법무부 대표단이 韓 리걸테크 기업을 방문한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201 0
3113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을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행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47 0
3112 시흥창업센터 김준희 센터장, “스타트업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만들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61 0
3111 [이제는 전북 콘텐츠] 전북 콘텐츠 기업 및 청년 구인구직난 해소를 위한 ‘일자리 박람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46 0
3110 [리뷰] 프리미엄 폴더블 노트북의 시작, LG 그램 폴드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1368 3
3109 지향성 스피커, 발전소·공장 안전 지킨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3 949 0
3108 중고차 시장 경쟁 격화…업력 20년 이상 플랫폼 기업의 대응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138 0
3107 가상자산 주요 쟁점 뒷전, 아쉬운 국정감사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1409 2
3106 고급 소재의 대명사 '티타늄', 프리미엄 IT 기기의 표준 될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437 1
3105 CPU 도전하는 엔비디아, GPU 대체나선 인텔··· 격랑에 빠진 AI 반도체 시장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1 473 1
3104 [KIDP 울산] 한컴유비마이크로 “산업 현장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1 145 0
3103 [스케일업] 아일로 [3] “브랜딩과 마케팅, 결국 우리를 알린다는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1 167 0
3102 학생들이 교실에서 직접 만든 게임…교육의 도구로 활용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1 817 2
3101 잇따른 거래소 수수료 무료 정책, ‘수익보다 이용자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45 0
3100 [스케일업] 팀워크 [2] 웍스메이트 “건설 디지털화, 요구 만족·불편 해소부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36 0
3099 애플, M3 기반 맥북 프로·아이맥 공개··· '3nm로 격차 굳힐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079 3
뉴스 “동성 키스, 클럽 흡연”…혜리, 파격적인 변신 화제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