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농업+IT=스마트팜] 7. 나만의 스마트팜 본격 구축하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10 15:31:58
조회 97 추천 0 댓글 0
[IT동아]

스마트팜 (smart farm): 농림축수산물의 생산 및 가공, 유통 단계에서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 지능화 농업 시스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IT기술을 통해 농작물, 가축 및 수산물 등의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하고,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 자동 관리할 수 있어 생산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네이버 용어사전)

[연재순서]

지금 스마트팜에 대해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 - https://it.donga.com/103234/

스마트팜과 사물인터넷 알아보기 - https://it.donga.com/103310/

스마트팜 구현 솔루션 이해하기 - https://it.donga.com/103462/

환경 데이터 수집용 센서 구축하기 (1) - https://it.donga.com/103660/

환경 데이터 수집용 센서 구축하기 (2) - https://it.donga.com/103752/

나만의 스마트팜, 실제 구축하기 (1) - https://it.donga.com/103871/

나만의 스마트팜, 실제 구축하기 (2)

연재를 마치며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많은 걸 처리한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엔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 정도다. 최근엔 PC용 프로그램보다 스마트폰용 앱이 먼저 나오는 경우도 많다.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쉽고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 일상의 모든 시간, 모든 곳에 스마트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만드려는 스마트팜도 결국 스마트폰에서 가지고 놀 수 있어야 한다. 농작물의 환경 데이터, 촬영 사진, 기타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도 가능해야 된다는 뜻이다. 내가 만드는 스마트팜은 내가 직접 관리할 수 있어야 내게 맞는 스마트팜이 된다.

도전해보자. 내 손안에 스마트팜이 되도록!


내 손안의 스마트팜 / 출처=타이니파머


스마트팜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서버'라는 인터넷상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이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 가공하는 기능을 넣을 수 있는데, 이를 '클라우드 서버'라고 한다. 이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려면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 편이다.

하지만, 세상에는 비싼 게 있다면 싼 것도 있고, 당연히 공짜인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중 대표적인 것이 구글의 '스프레드 시트'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독자들도 많을 것이다. 이 스프레드 시트는 따로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MS 엑셀과 비슷한 서비스다.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면 아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도 접속해 내가 작업하던 파일을 다룰 수 있다. 개인 사용은 무료다.


구글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외에도 상당히 좋은 게 많다. 대부분 기본적인 기능만을 쓰고 있을 뿐, 자세히 둘러보면 무료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지 않다. 이 스프레드 시트도 그 중 하나인데, 이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대신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정형화해 수집하고 이를 재가공하여 활용하게 해주는 기본 시스템 요소이다. 작물의 생육 환경은 모두 데이터인데, 그 데이터를 모아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하는 것이다.


아두이노의 온습도 데이터를 스트레드 시트에 저장 / 출처=인터넷



실제 해외에서는 아두이노(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구글 스프레드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많이 활용한다. 우리도 이렇게 해보자.

⓵ 구글 이메일 아이디 등록 (이미 있다면 등록하지 않아도 됨)⓶ 구글 스프레드 시트 작성 (어떤 메뉴에 있는지 한번 확인)⓷ 프로그램 활용 능력 (사전 학습이 다소 필요)

일단 ⓵ 번만 준비해본다. 구글 이메일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이메일 페이지로 들어간다. 이메일에 보면 아이디 옆으로 점 9개 표시가 있는데, 그게 메뉴다. 이를 터치하면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나타난다. 그중에서 'Sheets'를 선택한다.


구글 로그인 후 메뉴 구성.



스프레드 시트를 한번도 사용한 적 없다면, 우선 가장 좌측에 있는 '내용없음'을 눌러 하나 시트 문서를 만들어 보면, MS n엑셀과 거의 똑같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러니 그냥 엑셀처럼 사용하면 된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MS 액셀과 거의 동일하다 / 출처=장선연


데이터 모아보기

지난 연재에서 만든 스마트팜 장치에는 온습도 센서가 달려있다. 여기서 측정된 온습도 값을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하려 한다. 사실 여기에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App Script'라는 기능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이후 따로 전달할 예정이다. 새 스프레드 시트에서 '확장프로그램' 메뉴를 눌러 그 위치를 확인해보자.


스프레드 시트의 메뉴에서



잠깐 설명하자면, 아두이노에서 보내는 데이터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바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서, 하나의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구분되어 저장되는 기능을 사전에 넣어줘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조와 동일한데, 해당 프로그램을 'AppScript' 기능을 통해 구현하면, 아두이노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원하는 스프레드 시트에 차곡차곡 쌓아갈 수 있다.


아두이노 데이터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되는 과장 / 출처=인터넷



먼저 아두이노 프로그램에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특정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크게보면, 센서와 LCD 연결, 센서값 LCD에 표시, 센서값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전송,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부터 온 명령 데이터 수신으로 이뤄진다.


아두이노에 기증을 추가할 스태커 프로그램 / 출처=장선연



'구글시트 설정 xxx' 블럭에 보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무선랜) 공유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SSID에는 공유기 이름을, password에는 와이파이 접속 암호를 넣으면 된다.

GAS_ID는 인터넷을 통해 구글 AppScript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때, 내가 작성한 AppScript가 설치된 고유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값이다. 이 값은 AppScript 작성 후 배포 시에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온습도 센서 값을 반복으로 읽으며 LCD에 표시하고, 온습도 센서 값을 30초에 한번씩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전송한다.

이렇게 프로그래밍하고 아두이노에 업로드하면, 현재 읽은 온습도 센서값을 인터넷을 통해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온습도 데이터가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되는 모습 / 출처=장선연



AppScript 프로그래밍을 적절히 수행하면, 아두이노의 온습도 데이터는 위 사진으로 보듯 하나씩 저장되기 시작한다. 수신된 날짜와 시간, 온소, 습도, 장치ID 등이 30초마다 차곡차곡 쌓인다.

물론 나만의 전용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이 있으면 좋겠지만, 흔히 사용하는 구글 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데이터를 쌓아도 큰 부족함은 없다. 더구나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언제어디서나 저장된 데이터를 열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매번 스프레드 시트 형식으로 보는 건 불편할 수도 있다. 더구나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기에는 화면이 작아 화면을 아래위로 오르내리며 봐야 하니 가독성도 떨어진다. 해결책은 있다. 조그만 학습한다면, 전문지식이 없어도 나만의 스마트팜 앱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나만의 스마트팜 앱 개발

'내가 앱을 개발하다니!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자도 모르는데...!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 요즘에는 전문 프로그래머가 아니어도 앱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널려(?)있다. 그 대표적인 게 바로, 또 구글이다. (참고로 필자는 구글과 아무 상관 없다. 그저 구글에 유용한 무료 기능이 많을 뿐이다.)

구글에는 스프레드 시트 외에도 구글 앱 시트 (App Sheet)라는 것도 있다. 최근 들어 로우코드/노코드(Low Code, No Code)라는 단어가 유행이다. 이는 전문 프로그래머처럼 코드를 기입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게 아니라, 코드를 적게 쓰거나(Low Code) 아예 쓰지않고도(No Code) 프로그램을 만드는 플렛폼을 의미한다.

이런 플렛폼이 최근 전 세게에 걸쳐 다양하게 공개되고 있는데, 우리에게 익숙한 마이크로소프트도 '파워앱스(Power Apps)'라는 플렛폼을 제공한다.


구글 앱 시트로 개발한 스마트폰 앱 / 출처=인터넷



아마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데이터 저장소 관련 서비스를 손쉽게 개발하게끔 하여 좀더 많은 자사 클라우드 사용자를 확보하려는 듯하다. 어쨌든 우리는 그냥 사용하면 된다. 이 앱 시트도 스프레드 시트 메뉴에서 시작할 수 있는데, 앱 스크립트를 확인했던 메뉴 바로 밑에 있다.


구글 앱 시트 매뉴 / 출처=장선연



제아무리 쉽다해도 배워야 제대로 쓸 수 있다. 자세한 활용법은 이후 따로 다루기로 하고, 우선 한번 둘러본다.


구글 앱 시트 환경 / 출처=장선연



사진으로 보듯, 스프레드 시트에 있는 항목이 그대로 데이터 항목과 같게 보인다.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해진 룰에 따라 내가 원하는 앱을 만들 수 있다. 우측에는 내가 만들고 있는 앱 화면이 실시간으로 보인다. 실제 데이터를 가져와 보여주기에 스마트폰에 나타나는 내용과 일치한다.

이렇게 화면을 보며 데이터를 확인하기 쉽게 구성하면, 각자가 원하는 스마트폰 앱이 만들 수 있다. 물론 상업용 앱만큼 완벽하진 않겠지만, 개발 관련 전문지식 없이, 그것도 무료로 자신만의 앱을 만들 수 있다는 건 정말 큰 매력이다.

다만 구글 정책 상 이렇게 개발된 앱은 9명까지만 공유,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상이 되면 사용자당 비용을 내야 한다. 자신 혼자 쓰거나, 가족 또는 소그룹 정도가 공유 사용하기에는 적절한 시스템이다.

이렇게 만든 앱을 한번 보자.


구글 앱 시트로 만든 스마트팜 앱 / 출처=장선연



우선 데이터가 먼저 보인다. 30초마다 한번씩 쌓이는 온도와 습도 데이터, 그리고 하루의 온도 그래프와 습도 그래프,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값 입력 화면으로 구성돼 있다. 저자가 사용하기에는 아주 적절한 기능이다. 그날의 온도와 습도의 흐름을 볼 수 있고, 원하면 LED를 켤 수 있으니 기본 기능은 다갖춘 셈이다. 여기에 몇 가지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하면 데이터 분석도 가능해진다.

이렇게 자신만의 앱을 만들어 가족이나 동료와 함께, 내가 관리하는 농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것도 언제 어디서나.
마무리

내 농장을 관리하는 센서 시스템과 센서값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 그리고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앱까지, 세상에 있는 오픈소스와 무료 플렛폼으로 나만의 스마트팜 개발이 완성되고 있다. 다만 제아무리 쉽다해도 아예 모르면 접근 자체가 불가하긴 하다. 당연히 공부가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는 시대다. 관심이 있다면, 시간 내어 관련 강좌를 듣는 것도 좋을 방법이다. 이제 도전할 용기가 생기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한번 시도해보면 나도 모르게 재미도 붙고 그러다 보면 전문가도 될 수 있다.

글 / 장선연

신기하고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걸 좋아해서, 대학원 석사과정 때 연구실 창업을 했다가 결국 자퇴해고 현재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기술과 예술을 접목한 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대학원생 대상 강의를 진행하고 있고, 작은 메이커 스페이스도 운영 중이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IT신상공개] 에어컨, 제습기 자동 ON/OFF, 텐플 스마트 온습도 만능리모컨▶ [스타트업-ing] 퍼밋 "월드 퍼밋 센터, 농산업·스마트팜 상생 터전"▶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5. 메타버스 세상에서의 '소통'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916 모토롤라 레이저 40 울트라 vs 삼성전자 갤럭시Z 플립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174 0
2915 [리뷰] 성능은 높이고 크기는 줄이고, 소니 WF-1000XM5 [2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4348 14
2914 코로나19 뒷받침했던 ‘비대면 진료’, 이대로 사라지나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4078 3
2913 뜨거운 여름철, 스마트폰 관리는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264 0
2912 다가오는 블록체인 빅이벤트 ‘글로벌 리더 한자리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62 0
2911 [뉴스줌인] 더함에서 선보인 TV+스탠드 조합, 어디서 봤더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127 0
2910 [스타트업-ing] 피플스헬스, “의료관광 첫 걸음은 외국인 환자와의 소통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90 0
2909 갤러리아 명품관에서 만나는 홈오디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112 0
2908 '알아서 장력 잡고, 벽면에 밀착도 돼'··· 알면 편리한 모니터암 기술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1453 2
2907 글로벌 스타트업 붐 주춤? 그래도 될 곳은 된다[K비즈니스 가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83 0
2906 [농업이 IT(잇)다] 아이오크롭스 “자동화 인공지능·로봇, 선진 스마트팜 토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83 0
2905 음질·입체음향으로 차별화, 젠하이저 앰비오 사운드바 플러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83 0
2904 글로벌 IT 리더 절반이 'AI 인프라 부족' 지적··· 노트북부터 AI 탑재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1090 0
2903 부침 딛고 서비스 다듬은 ‘본디’, 메타버스의 ‘봄’ 다시 올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133 0
2902 [스텝포넷제로]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669 0
2901 [스케일업] 지엠씨랩스 [2] 빅뱅엔젤스 “기술기업 자리매김하고, 확장성 고려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91 0
2900 숭실대 캠퍼스타운 “동작구 AI+X 클러스터, 청년 창업 요람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85 0
2899 [리뷰] 브리츠 BR-NT93BT, 다양하게 즐기는 PC/블루투스 스피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2 878 1
2898 [그때 그 IT] 블록체인 판례 (1) 비트코인 몰수에 관한 판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2 862 2
2897 [스케일업] 옐토 [3] 아이코닉스 “캐릭터 개성 토대로 사업화·협업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2 78 0
2896 의료데이터, 분석·활용 애플리케이션이 성패 가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84 0
2895 [주간투자동향] 에이비일팔공, 12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132 0
2894 [스케일업] 내일의쓰임 [3] 더커머스 “신뢰성·편의성·성공사례로 입소문 나는 것이 효과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73 0
2893 이런 것도 가능? 확산되는 AI 기반 업무 자동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1433 1
2892 [스케일업] 니어브레인 [2] 분당서울대병원 “메타버스로 의료진·환자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8 115 0
2891 [IT애정남] 2023년 8월 기준, ‘가성비’ 업무용 노트북 골라주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8 127 0
2890 [리뷰] 상위 1%급 게이밍 노트북, 레이저 블레이드 18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7 503 1
2889 [리뷰] 블루투스 오디오와 FM라디오의 결합, 브리츠 BZ-GX4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7 257 2
2888 [스케일업] 케어포유 [3] “상표, 특허 등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7 82 0
2887 SaaS, IaaS, PaaS··· 'as a Service'가 붙은 용어들은 무슨 뜻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6 94 0
2886 [스케일업] 챕터서울 [3] 클래스101 “온라인 강의, 소비자·강사 함께 만족하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6 94 0
2885 브레인유 “뇌파 측정 기술로 정신건강 관리에 기여”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6 142 0
2884 스마트폰으로 긴급 구조 요청할 때는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4 675 2
2883 ‘ESG’ 향해 달리는 글로벌 시장, 어째서?[K비즈니스 가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18 0
2882 [과기대 S-Run] 예비창업자를 위한 검증 절차 ‘상품성 진단 프로그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59 0
2881 [농업이 IT(잇)다] 제노사이언스 “재조합 균주로 홍삼 고부가가치 원료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70 1
2880 "퓨리오사AI의 하드웨어는 완성형··· 전세계 소비자 위한 디자인 준비할 것"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084 2
2879 [리뷰] 오픈형 이어폰 장점 잘 살린 무선 이어폰, 브리츠 어쿠스틱스냅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1 1203 2
2878 Arm, 이달 말에 美 나스닥 상장 돌입··· '올해 최대 규모 IPO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151 0
2877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빅웨이브가 선택한 유망 스타트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95 0
2876 느려터진 PC 부팅 속도 높이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1299 2
2875 [스케일업] 아일로 [2]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한 키워드 ‘재구매율’과 ‘인접시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9 159 0
2874 랜섬웨어에 걸리면 ‘외부 장치·네트워크 제거, PC 전원 켜둘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9 548 7
2873 가상자산 투자사기, 주의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114 0
2872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사실이라면, IT업계에 미칠 영향은?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1360 4
2871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헬리큐어 “예진(Yejin), 정밀 의료·디지털 한의학 전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8 102 0
2870 [주간투자동향] 라포랩스, 34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추가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7 158 0
2869 [IT애정남] 그래픽 카드 교체 후 화면이 이상한데, 해결 방법 없나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7 657 2
2868 [IT애정남] 어린이용 헤드폰, 일반 헤드폰과 무엇이 다른가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952 1
2867 ‘제1회 글로벌 게임잼 in 전북’을 만든 사람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18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