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LG 식물재배기는 정말 싹을 틔울까 - LG 틔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23 20:57:00
조회 1587 추천 6 댓글 22
[IT동아]

독특하면서도 제법 쓸모 있는 생활가전을 '신가전'이라는 제품군으로 선보이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LG전자가, 올 10월 경 가정용/실내용 식물재배기인 '틔운'을 출시했다. LG전자는 이를 '식물생활가전'으로 새롭게 이름 짓고 시장 확장에 나섰다. 출시 초반 시장 반응도 제법 괜찮다.


LG전자 생활식물



식물재배기 제품은 이전에도 여러 제조/유통사를 통해 부분적으로 판매/공급되고 있었지만, LG 틔운은 LG 고유의 기술력을 한데 모아 상품성과 대중성을 한층 강화한 제품이다. 즉 LG 가전의 기술적 특징, 이를 테면 디오스 냉장고의 온도 제어 기술, 휘센 에어컨의 공조 기술, 트롬 건조기의 인버터 컴프레서 기술, 퓨리케어 정수기의 급수 제어 기술 등이 모두 적용됐다. 식물 재배에 필요한 빛(LED)도 LG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LG 디스플레이 기술의 LED가 태양 역할을 한다



이에 식물생활가전으로서 얼마나 사용/관리하기 편하고 식물은 어떻게, 얼마나 잘 자라는지 한달 동안 틔운을 사용하고 지켜봤다. 한달 남짓 동안 기자가 한 일은, 물 채우기 6번, 영양제 넣기 6번 뿐이다. 나머지는 틔운이 다했다.

크기와 생김새는 소형 냉장고 또는 와이너리 같다. LG 오브제컬렉션 라인업이라 디자인이나 컬러는 단순하면서도 깔끔하다. 어찌 보면 왠지 투박한 듯도 하지만, 가정 내 실내 인테리어와 무난히 어울릴 듯하다. (색상은 베이지와 그린, 두 모델이다.)


숙박업소의 소형 냉장고 만한 크기다 (출처=LG전자 홈페이지)



단문형 냉장고처럼 문을 당겨 여닫을 수 있고, 문의 전면은 통유리를 부착해 식물이 자라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생활가전답게 본체 뒷면에 전원 케이블만 하나 있고, 본체 외부는 깨끗하다. LG전자에 따르면, 틔운 1년 간 소비전력은 42.5kWh이며, 이는 비슷한 크기의 소형 냉장고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틔운의 내부는 2개 선반으로 상칸, 하칸으로 나뉘며, 각 칸마다 씨앗키트 3개씩, 총 6개를 장착할 수 있다. 씨앗키트는 10개 구멍에 특정 식물 씨앗이 대여섯개 정도 들어있다. (씨앗키트를 거꾸로 뒤집으면 씨앗이 쏟아질 수 있으니 주의!)


씨앗키트는 3개가 한 묶음으로 판매된다



씨앗키드는 종류별 3개 묶음으로 판매되며, 현재(21.12월 기준)는 허브류 2종, 엽채류 4종, 화훼류 1종이 나와있다. 엽채류는 상추, 쌈추, 비타민 등 재배, 수확해 바로 먹을 수 있고, 허브류와 화훼류는 어느 정도 자라면 화분 등으로 옮겨 심으면 된다. 씨앗키트 한 묶음(3개)은 3 ~ 4만 원대로, 키우는 재미와 나름의 흥미는 유발하지만 그리 저렴한 가격대는 아니다. 참고로 틔운 본체는 160만 원대다.

씨앗키트 3개 한 묶음에는 스틱형 포장의 영양제가 A, B로 구분돼 함께 들어 있다. 이게 양분이다.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흙(또는 흙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씨앗키트 내부에, 양분은 스틱형 영양제로, 빛은 LED 불빛으로 공급된다.


영양제 A+B는 물통에 물과 함께 넣으면 된다



자, 틔운의 전원 케이블을 콘센트에 꽂으면 바로 동작한다. 내부 상칸, 하칸에 엽채류 씨앗키트 3개, 허브류 씨앗키트 3개를 장착했다. 씨앗키트가 단단히 고정, 부착되는 건 아니지만, 흔들리거나 불안정하진 않다.


상칸에는 엽채류, 하칸에는 화웨류 씨앗키트를 장착했다(11월 19일)



하칸 아래에 있는 물통에 물(수돗물)을 채우고, 영양제 A와 B를 함께 짜넣으면 된다. 영양제 A, B는 물을 채울 때마다 넣는다. 더 넣는다고 잘 자라는 것도 아니며, 틔운 외에 일반 화초/화분에는 넣어도 성장에 큰 도움은 안된다(고 한다).


물통 주입구에 넘치지 않을 정도로 물을 넣으면 된다



준비는 다 됐다. 이후로는 식물을 자라는 모습을 간간이 지켜보며, 필요할 때 물과 영양분을 채워주면 된다. 물이 부족하면 틔운 본체는 알림 멜로디(동요 '옹달샘')로 알려준다. LG 가전제품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하는 'LG ThinQ(씽큐)' 앱을 설치해 틔운과 연결하면(와이파이), 틔운의 재배 상황이나 알림 등을 스마트폰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씽큐 앱으로는 상칸, 하칸의 동작 상태, 재배 환경 설정, 조명 시간 조정, 바람 세기 조정 등 본체 조작이 가능하고, 각 식물에 대한 기본 정보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틔운의 공식 카페(네이버)로도 연결돼 여러 틔운 사용자들과 소통할 수도 있다(카페 가입 필요). LG의 다른 제품은 몰라도, 틔운을 사용한다면 씽큐 앱을 설치하는 게 무조건 유용하다.


LG ThinQ 앱으로 틔운을 원격으로 관리, 제어할 수 있다



이제 기다림의 시간이다. 오가며 식물 재배 상황을 유리문으로 확인하면 된다.

재배 시작 3일이 지나니 쌈추의 싹이 트기 시작했고, 하루하루 지나며 특히 엽채류는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허브류는 성장 속도가 느린데, 틔운은 이처럼 성장 속도가 다른 식물도 알아서 잘 키워준다.


엽채류는 사흘 뒤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11월 23일)



재배 시작 열흘 정도 되니 상칸의 엽채류는 현저한 성장을 보일 만큼 자랐다. 한 씨앗키트의 10개 구멍 모두 문제 없이 싹을 틔웠고, 줄기/잎 대부분 건강히 자라고 있었다. 식물에 따라서는 중간에 쏙아주기 작업이 필요한데, 엽채류의 경우 자잘한 잎은 간단히 쏙아냈다.


재배 열흘차, 본격적인 성장이 시작된다(11월 29일)




수확기가 근접한 엽채류(12월 10일)



재배 한 달 가까이 되자, 상칸의 엽채류는 거의 완전히 성장해 수확해 먹어도 좋을 만큼 자랐다. 농부가 매일 아침 논, 밭을 돌아보며 작물 상태를 확인하듯, 틔운 역시 매일매일 자라는 식물을 들여다 보는 재미가 나름대로 쏠쏠하다. 하칸의 화홰류 씨앗키트도 제법 성장해서 이후에 외부 화분으로 옮겨 심어도 될 듯하다.


재배 한달된 상칸 엽채류(12월 20일)




하칸의 화훼류는 다음 달 수확 예정이다(12월 20일)



외부의 영향이나 해충의 공격 등이 아예 없으니, 엽채든 화홰든 줄기와 잎이 대부분 건강하고 깨끗하다. 당연히 농약 같은 유해물질도 없으니 그냥 바로 따서 먹을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역시 물에 한번 씻어 먹는 게 좋다.


수확 위해 분리한 엽채류 씨앗키트 3개. 왼쪽부터 쌈추, 비타민, 청치마상추(12월 21일)



수확기를 맞은 엽채류(청치마상추, 쌈추, 비타민)는 정말 신기할 정도로 완전하게 잘 자랐다. 엽채류 씨앗키트 3개는 본체에서 분리해 모두 뽑아 수확했다. 신선한 풀내음이 퍼지는 가운데 제법 많은 양의 갓 딴 채소를 얻었다.


수확한 채소는 씻어서 곧바로 먹을 수 있다



수확이 완료된 씨앗키트는 뚜껑(커버)을 분리하고, 잔식물(뿌리)은 음식물 쓰레기로, 나머지 종이/플라스틱 등은 각각 분리수거하면 된다. 이후 LG전자는 패씨앗키트를 수거 후 재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


수확한 씨앗키트는 분리수거해야 한다



재배 첫 날부터 한달 동안 물과 영양제는 6번 보충했고, 엽체류 쏙아내기 한번 외에 딱히 신경 쓸 게 없었다. 작동 소음도 거의 없다. 빛은 설정 시간에 따라 오전부터 오후/저녁까지 자동으로 켜지고 꺼진다. 재배 환경 설정도 딱히 건드릴 게 없고, 기본값인 '표준'으로 설정하면 식물에 맞춰 틔운이 알아서 키운다. (물론 재배 환경은 상칸, 하칸 별로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LG ThinQ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동작/재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냉장고 같은 저 작은 공간에서 식물이 과연 잘 자랄까'하는 의구심은 엽채류 수확 결과물을 보니 말끔히 해소됐다. 제조사가 이런 결과를 얻어 상품화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지 상상이 된다.

수확한 청치마상추, 쌈추, 비타민을 고기쌈이나 야채비밤밥 등으로 먹어보니, 야들야들, 부들부들, 아삭아삭한 식감은 분명히 있다. 무엇보다 '직접 재배해 바로 딴 신선한 채소'라는 점이 식감보다 더 나은 만족감을 주는 듯하다. 수확량은 2~3인 식구라면 한끼 식사에 적합할 정도다.

LG 틔운으로 한달 넘게 재배하며 주변인에게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씨앗키트 가격을 고려해 '그 돈이면 그냥 사서 먹겠다'는 소리였다. 3~4만 원대의 씨앗키트와 재배기간을 감안하면 틀린 소리는 아니지만, 한달 간 식물이 자라는 걸 눈으로 확인하며 직접 재배/수확해 보니, 먹는 것 이상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듯했다.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자녀와 함께 재배하는 것도 좋겠다.

그저 채소를 먹기 위함이라면, 그들 말대로 마트에서 사서 먹는 게 여러 모로 낫다. 다만 틔운은 식용 채소를 비롯해, 일반 화초나 꽃, 허브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다. 씨앗에서 발아해 싹을 틔우고 줄기로 올곧이 성장하는 식물을 지켜보는 목적이 더 크다. 매운탕을 먹기 위해 어항과 물고기를 두는 건 아니잖는가.


LG 틔운은 먹기 위함 보다는 관상/관리 위함의 식물재배기다



하칸의 화훼류 씨앗키트는 좀더 재배 후에 외부 화분으로 옮겨 심을 예정이다. 상칸은 다른 씨앗키트로 채우거나, 비워두고 상칸 전원만 꺼둘 수 있다. 씽큐 앱에 따르면, 촛불맨드라미와 비올라, 메리골드의 수확 예상 시기는 다음 달 초 즈음이다.


어느 정도 자란 화훼 씨앗키트는 스마트화분인 틔운미니로 옮길 수 있다(틔운미니는 출시 예정)



추가로, 물통 내 물이 1.3리터 이하일 때 물 보충 알림이 뜨는데, 알림 후 12시간 이후에는 급수/배수 중단되니 주의해야 한다. 이에 오랫동안 자리를 비울 예정이라면, 재배를 잠깐 중단하거나 수확 이후로 일정을 변경해야 하겠다.

앞서 언급한 대로, 수확이 완료된 씨앗키트는 분리 수거로 버려야 하는데, 씨앗키트를 여러 개 재배한다면 향후 배출되는 쓰레기도 적지 않을 테니 이에 대한 LG 측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출처=LG전자 홈페이지



현재 LG 틔운은 140~150만 원대에 판매되고 있으며, 5년 또는 6년 의무사용 단위 렌탈 구매(유지/관리 서비스 포함)도 가능하다. 씨앗키트는 패키지별로 총 21개 종으로 구성됐으며, 이후 추가될 예정이다.

글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트라드비젼, LG전자 ADAS 카메라 시스템에 기술 공급한다▶ 디즈니+, 애플 TV+, HBO 맥스까지··· 해외 OTT 일제 상륙▶ [IT신상공개] 집안으로 들어온 디지털 정원, LG전자 식물생활'신'가전 - 'LG틔운'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706 [리뷰] "어디서든 소음 없이 일하세요", 로지텍 존와이어리스 헤드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99 1
705 [먹거리+IT] 프레쉬벨 “한약 뱉는 아이도 마시는 건강 음료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02 1
704 [리뷰] 기본기·편의 갖춘 무선 이어폰의 정석 ‘JBL 투어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48 1
703 레인포컴퍼니 “고급 브랜드 구축, 섬세한 디자인업무 가능한 노트북 필요”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8 1131 3
702 [리뷰] ‘왕의 귀환’ 외친 인텔, 노트북용 12세대 코어 i9-12900HK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400 3
701 세기의 빅딜 터뜨린 마이크로소프트, 전례없는 게임 공룡 탄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97 1
700 [IT운영관리] 1. 디지털전환 성공 키워드는?.. "철저한 분석", "IT 인프라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06 1
699 소상공인 생존 필수 ‘스마트 상점’, 도입에 앞서 알아야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97 1
6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89 0
697 [리뷰] 성능과 휴대성 모두 잡은 초경량 고효율 노트북, 레노버 요가 슬림 7 카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27 0
696 [먹거리+IT] 풍기농장 김보형 대표, “홍삼에 타겟을 담았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1324 0
695 [앱으리띵] 피가 되고 살이 된다! 정보 콘텐츠 구독 서비스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26 0
694 [BIT 인사이트저널] 우리 일상으로 한발 더 들어온 '가상 인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86 0
693 보라웨어 “세계 최초 검색 광고 AI 성과 관리로 광고주 고민 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79 0
692 와이어바알리 "엔드포인트 보안, PC이용의 모든 단계 '강력보안' 노트북이 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98 0
691 2월 9일 등장할 삼성 갤럭시S22 시리즈, 눈여겨볼 점 세 가지는?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649 3
690 [리뷰] 스마트홈 조명 간단히 꾸미기, 나이트버드와 고선드 IoT 제품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6 1284 2
689 LG 가전은 진화(UP)한다.. "UP가전으로 맞춤형 고객경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64 0
688 미디어텍의 Wi-Fi 7 청사진 ‘속도·안정성↑, 메타버스와 자율차 마중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47 0
687 마이크로소프트, 윈도11 기반 '서피스' 신제품 국내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33 0
686 [IT애정남] 8년 지난 '빅시아 미니'가 아직도 인기, 사도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848 0
685 단순 보존 넘어 해킹까지 대처하는 NAS 기반 데이터 백업 이모저모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2051 3
684 [주간투자동향] 로앤컴퍼니, 23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4 222 0
683 [리뷰] 6천만 화소로 그려낸 모든 순간, 라이카 M11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4 1278 1
682 [리뷰] 와이파이6와 PoE+ 지원하는 AX3600급 무선 AP, 넷기어 WAX2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01 0
681 '팩트체크넷'으로 등장한 시민팩트체커 , "팩트체크 제안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02 0
680 [IT강의실] 드디어 시작된 웹 3.0의 시대.."근데 웹 3.0이 뭐지?"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4960 1
679 네이버 '윈쁠딜', 올해 이커머스 시장 활약이 기대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28 0
678 [BIT 인사이트저널] 인공지능이 관리하는 내 자산, '로보 어드바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142 0
677 잡플래닛 "맞춤형 채용 서비스·IPO 토대로 HR 플랫폼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97 0
676 성균관대 캠퍼스타운 김경환 단장, "인문·사회 창업에도 기회··· 작년 투자만 80억"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1 690 0
675 2021년 중급형 스마트폰 시장 이끈 갤럭시 A52s, 후속 모델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99 1
674 [리뷰] 깐깐한 실내 공기질을 원한다면, 다이슨 쿨 포름알데히드 공기청정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95 0
673 '디지털 혁신' 열쇠 쥔 RPA, IT 운영 관리 분야에도 도입 급물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80 0
672 [모빌리티 인사이트 ] CES2022에서 찾은 미래 모빌리티 키워드 : 전동화, 스마트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102 0
671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1: 펀더멘탈 분석이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642 0
670 [IT신상공개] 삼성전자, '그래픽 성능' 약점 극복한 엑시노스2200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90 0
669 디지포레 “시제품 검증, 시연까지 메타버스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92 0
668 [앱으리띵] 넘치는 OTT 서비스, 알뜰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OTT 5종 비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380 2
667 한국과 넷플릭스의 '전략적 파트너십', "K콘텐츠 노하우가 곧 경쟁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67 0
666 [리뷰] 화장실의 공기질도 잡는다, 이누스 에어 새니타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72 0
665 애플·삼성 스마트폰 양강 구도, 부품 수급난 속에 2022년에도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96 0
664 삼성전자도 나섰다··· 2022년, 폴더블 노트북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500 0
663 구글 안드로이드 13, 어떤 기능 개선·추가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157 1
662 [뉴스줌인] 칩 하나로 저장에서 연산까지, ‘인메모리 컴퓨팅’에서 성과 낸 삼성전자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257 14
661 [IT신상공개] 12세대 인텔 P 시리즈 출시된다, 델 XPS 13 플러스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06 2
660 [뉴스줌인] '즉석 사진기'처럼 아날로그 감성 채워줄 스마트폰 프린터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80 0
659 [주간투자동향] 그린랩스, 1,7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88 0
658 눈 피로 줄이는 ‘아이케어’ 모니터, 무슨 원리?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475 4
657 오퍼스엠 “블록체인이 열 신뢰의 시대, 대들보 되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9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