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사이버렉카 "또 떴다!".. 유튜브만 믿으면 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2.17 17:28:15
조회 2065 추천 7 댓글 28
[IT동아 정연호 기자]


출처=셔터스톡



렉카(견인차)는 교통사고가 났을 때 현장에 가장 먼저 달려간다. 이러한 렉카의 신속함과 닮았다는 이유로, 사회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관련된 자료를 빠르게 만드는 이들을 ‘사이버렉카’라고 부른다. 차이점은 한쪽은 문제 해결 절차에 속해 있다면, 다른 쪽은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이버렉카는 언론의 기사 내용을 짜깁기해 영상을 만들고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사실처럼 전달한다. 더 많은 조회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내용은 자극적으로 편집된다. 영상은 인터넷 커뮤니티 등 거쳐 빠르게 전파되고 내용은 마치 진실처럼 굳혀진다.

문제는 사이버렉카에 대응하는 것이 오히려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는 점이다. 연예인이나 공인이 사이버렉카 영상에 해명을 하면, 사이버렉카는 그들의 반응을 콘텐츠로 만든다. 문제를 또다시 키우고 싶지 않은 사람들은 대응을 포기하게 된다. 지난 주말 프로 배구선수 김인혁 씨(27)와 1인 방송 진행자 BJ잼미(27)의 사망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이버렉카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됐다. 사이버렉카가 두 사람과 관련된 내용을 영상으로 만들었기 때문. 두 사람은 평소에도 악플과 루머에 시달렸다고 전해진다.

처벌 수위 낮아 실효성 떨어져.. ”다만, 같은 혐의 중첩되면 상황 달라져”


정보통신망법 제70조에 따르면,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에서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 명예를 훼손할 때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비방의 목적으로 ‘거짓’을 드러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할 시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출처=셔터스톡



다만, 사이버렉카가 첫 고소부터 징역을 선고받을 가능성은 높진 않다고 한다. 대부분 벌금형에 그치고 평균 벌금액도 크지 않다. 섬네일과 제목은 자극적으로 만들면서 사실 보도를 교묘하게 짜깁기하는 경우엔 처벌이 어렵기 때문이다. 처벌이 약한 벌금으로 끝나는 일이 많아서, 이들은 처벌을 받은 후에도 새로운 채널을 개설해 계속 활동한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가능하면 고소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같은 혐의가 중첩되면 징역형 선고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유튜브와 같은 인터넷 정보통신 콘텐츠는 법원에 영상물 게재금지 가처분을 신청해서, 영상 게재를 막을 수도 있다. 인터넷 특성상 영상이 게재되면 빠르게 전파된다. 영상이 더 퍼지기 전에 이를 막는 것이다. 사실인정엔 원칙적으로 증명(법관이 확신을 얻게 하는 증명행위)을 요하나, 가압류와 가처분은 소명으로도 충분하다. 소명은 증명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개연성을 요구한다. 대개 그럴 것이란 추측 정도의 심증을 얻게 하는 입증행위이기 때문에 입증 부담이 덜하다. 동영상이 침해한 명예권과 인격권, 영상 전파에 따른 손해와 위험 등을 소명하면 된다. 법원이 가처분 결정을 내렸음에도 이러한 의무를 위반할 경우, 시간마다 돈을 지급하도록 간접강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유튜브 자율규제 신뢰할 수 있나?


유튜브는 현행법상 방송으로 분류되지 않아 방송법으로 규제를 받지 않는다. 방송통신 심의위원회가 심의를 해 삭제, 접속차단 등의 시정요구만 할 수 있다. 방송통신 심의위원회 관계자는 “국내 사이트는 삭제를 하도록 의무화를 할 수 있다. 하지만, 해외사업자는 국내법 적용을 받지 않아 심의 내용을 보내고, 자율적인 차원에서 삭제를 하도록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정요구를 받더라도 유튜브 가이드라인에 맞춰서 알아서 해결할 부분인 셈이다. 또한, 영상도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이용자가 해당 영상을 보지 못하도록 하는 금지 조치다. 시정요구를 위한 심의절차는 명예훼손 판결이 전제될 필요가 없다고 한다.

2월 3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김언경 뭉클미디어연구소 소장은 “언론인이 만든 ‘통합형 자율규제기구’ 설립에 동참을 하든,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KISO에서 함께 국내 자율규제 시스템의 활성화 노력을 기울이든, 구글 코리아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ISO는 네이버와 카카오 등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참여하고 있는 자율정책기구이다. KISO 정책규정을 통해 게시물, 댓글, 검색어 등에 대한 내용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다만, 정부 규제에 비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김 소장은 “문제 콘텐츠의 판별을 어떤 주체가 어떤 기준으로 어느 기간에 할 것인지, 이들 콘텐츠의 광고 수익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지 등에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고 그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 이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처리가 된 데이터를 연구용으로 공개하거나, 백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해 이용자와 유튜버가 진행 상황을 알게 해줘야 한다”고 했다.


출처=구글코리아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신고한 콘텐츠를 담당 팀이 리뷰해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다고 판단된 콘텐츠를 삭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을 반복적으로 위반하는 사용자 계정은 해지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가이드라인을 위반한 콘텐츠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고 했다.

구글코리아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은 스팸 및 현혹 행위(허위참여, 명의도용, 외부링크), 민감한 콘텐츠(아동보호, 섬네일, 과도한 노출 및 성적인 콘텐츠 등),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콘텐츠, 규제상품(총기류 등), 잘못된 정보(잘못된 선거정보, 코로나19 관련 잘못된 의료 정보) 등과 관련돼 허용되는 콘텐츠를 밝히고 있다.


가이드라인은 특정 콘텐츠가 불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유튜브는 2021년 3분기에 620만 개 이상의 동영상을 삭제했으며, 그중 95% 이상이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탐지돼 신고됐다. 같은 기간에 한국에선 5만 5702개의 영상이 삭제됐다. 이어, 유튜브는 14세 미만 아동 콘텐츠의 댓글과 타깃 광고 폐지하고, 가이드라인 위반 가능성이 있는 콘텐츠에 ‘노란딱지’를 붙여 광고 수익을 제한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콘텐츠 심의 내역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유튜브는 국가별로 전체 콘텐츠 삭제 수만 공개한다. 국가별 심의 인력 수도 알 수 없다. 언론인권센터는 논평을 통해 “유튜브는 비영어권 콘텐츠의 유해성 심의 문제로 인해 꾸준히 지적 받았다. 이용자의 신고 후 진행되는 내부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알릴 필요가 있다. 이용자의 신고가 콘텐츠와 채널 삭제로 이어지는 것인지, 삭제되지 않는다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타당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희사이버대 심영섭 겸임교수는 “(권리침해 구제를 위해서)방통위 심의위원회가 운영하는 명예훼손 분쟁 조정부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유튜브를 통해 사이버렉카와 같은 혐오 및 차별, 성착취 범죄가 발생한다면 온라인분쟁조정위원회(명예훼손분쟁조정부를 확대 개편한 위원회)에서 신속하게 ASP, ISP사업자에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자체처리를 통보하고, 이행되지 않았을 때 사안의 경중을 따져서 '임시조치'를 명령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분쟁당사자를 불러서 정보통신망법에 따라서 분쟁조정을 시도하고,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직권중재나 직권조정을 하도록 권한을 부여하자는 이야기다”고 말했다. 현재는 명예훼손 분쟁조정부가 실질적인 조정 권한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SNS 플랫폼의 혐오표현을 제재하려면 ‘독일의 네트워크집행법(Netzwerkdurchgesetz)’처럼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법은 SNS 사업자가 플랫폼의 게시글이 신고를 받으면 위법 여부가 확실할 때 24시간 내에 해당 글을 삭제하도록 한다.

한국외대의 김민정 교수가 쓴 ‘소셜미디어 플랫폼상의 혐오표현 규제’ 논문은 “우리나라 정보통신망법은 불법정보와 인격권 침해 정보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게 일정의 역할을 행하도록 강제하는 조항을 보유한다. 방통심의위의 심의를 거쳐 방송통신위원회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또는 게시판 관리 운영자에게 해당 정보의 처리를 거부 정지 또는 제한하도록 명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정보통신망법이 규정하는 9가지 유형의 불법정보에는 혐오표현이 포함돼 있지 않다.

논문은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은 온라인 혐오표현을 규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규정들을 포함하고, 방통심의위는 해당 규정을 적용하여 온라인 서비스 사업자에게 온라인 혐오표현에 대한 시정요구를 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혐오표현 관련 시정 요구비율은 2014년의 경우 0.2%에 불과했고, 2016년과 2017년에도 전체 건수의 1.0%와 1.26% 였다.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상 ‘불건전정보’의 유형 중의 하나로 온라인 혐오표현을 규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혐오표현을 규제하는 법률을 마련할 때, 혐오표현을 불법정보 혹은 인격권침해 정보로 규정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 혐오표현 규제에서 정부 규제가 담당할 부분을 획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국가가 혐오표현을 규제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우선이다. 혐오표현을 처벌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우려를 낳는다. 자율규제를 강화하는 방식도 고려해봄 직하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KISO 등과 같은) 자율규제에 정부와 이용자가 규제의 주체로 참여한다면 자율규제에 따른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양한 사업자들에게 자율규제가 확대되도록 국가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자율규제 집행 현황과 방식을 점검하는 등 자율규제가 공적 책임을 지게끔 하는 것이다. 또한, 시민사회단체 전문가와 협력하여 혐오표현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고지하거나, 시민사회단체가 신뢰받는 신고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등의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사이버렉카를 막기 위해선, 이용자가 정보를 올바르게 소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이버렉카는 사람들의 욕구를 건드리며 조회수를 올리고 광고료를 받는다. 사이버렉카가 흥할 수밖에 없는 인터넷 문화를 성찰하고, 사이버렉카에 대한 소비를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를 통해서 뉴스를 접하지만, 이들이 정말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제공자인지 고민해야 한다. 또한, 뉴스 이용자들이 뉴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활용해 공부할 수 있도록 미디어리터러시 교육도 사회적으로 마련돼야 할 것이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IT강의실] 드디어 시작된 웹 3.0의 시대.."근데 웹 3.0이 뭐지?"▶ "소득 파악도 어렵다", 유튜버 탈세 해결책은?▶ 유튜브 프리미엄, ‘본전’ 뽑으려면?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1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902 와이파이6 지원 넷기어 무선 AP 3종(WAX214, WAX218, WAX620)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8 88 1
901 [IT강의실] NFT 입문 3부..NFT 투기논란 해소 어려울까? "가치검증 불가능하지 않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7 88 1
900 [리뷰] 5채널 스피커가 함축된 사운드바, JBL 바 5.0 멀티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7 229 1
899 밴스드 서비스 중단, 광고 차단 앱 단속 나선 구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7 105 1
898 [모빌리티 인사이트] 하반신 마비환자의 걸음, 기적 아닌 기술로 이루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7 852 2
897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5: 아폴로 병원의 거시경제적 경쟁 우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7 79 1
896 [스타트업 in 과기대] 쓰레기마켓 “쓰레기로 돈 버는 시대, ‘모아요’ 플랫폼으로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103 0
895 초유의 관심 쏠린 삼성전자 주총, 이변은 없었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1421 4
894 [스타트업 in 과기대] 어디가든, “도농간 상생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65 0
893 [스타트업 in 과기대] LRHR "명품 수선 시장에도 시대에 맞는 변화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76 0
892 소상공인·자영업자 "스마트 상점 기술 지원, 차기 정권이 계승 바라’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961 0
891 [스타트업 in 과기대] 프라세비, "디지털 향 플랫폼, 틈새 시장에 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62 0
890 [리뷰] 집안 공기 관리도 스마트하게, 텐플 멀티 공기질 센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52 0
889 AMD, '새 프로세서 및 칩셋 업데이트'로 소비자 선택권 늘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6 98 0
888 "AI도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 돌아온 이루다2.0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2288 11
887 [스타트업 in 과기대] 스튜디오이색, "업사이클링 도자기 인테리어로 지구에 이바지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52 0
886 [스타트업 in 과기대] 탄소중립원, “모든 탄소를 찾아내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48 0
885 [스타트업 in 과기대] 데코에어 "개인용 냉난방, 공기청정, 항균? 하나로 해결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56 1
884 [IT애정남] 치솟는 기름값, '오피넷'으로 최저가 확인하자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82 0
883 토스랩 '잔디'에게 묻다, '협업 툴에게 보안이 더 중요한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125 0
882 ‘러시아 규탄’ IT·게임 업계 성명 줄이어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5 1015 5
881 [뉴스줌인] 가비아X홍익대에서 선보인 무료 글꼴, 상업적 이용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4 76 0
880 [주간투자동향] 클릭브랜즈, 1,2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4 53 0
879 한 손에 쏙, 실속·성능 갖춘 ‘소형 스마트폰’에 주목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4 2764 5
878 [리뷰] 노트북 활용도를 극적으로↑ 벨킨 커넥트 프로 썬더볼트 4 독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4 1977 0
877 전통주 기업 국순당, 가비아 하이웍스 통해 업무 디지털화 ‘성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76 0
876 "관광지 찍는 대규모 여행 줄어들 것"...초개인화된 소확행 여행 부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180 0
875 [IT애정남] 최신 스마트폰 성능 발목잡는 스로틀링, 개선 방안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154 0
874 [스타트업 in 과기대] 칼리더스, '비효율적인 난방 효율, 사물인터넷으로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77 0
873 [스타트업 in 과기대] 스페이스앤빈 "첨단 산업 위협하는 방사선, 전자파를 막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62 0
872 [스타트업 in 과기대] 김브로스소프트 "단단한 친환경 빨대, 마음놓고 쓰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91 0
871 2021년 무선 이어폰 맹주는 애플, 삼성·중국 기업 추격 중 [4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3789 4
870 [스타트업 in 과기대] 테라블록 “저급 폐플라스틱도 무한 재생 가능한 자원 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114 0
869 [뉴스줌인] 삼성 QD-OLED 탑재한 첫 모니터, 삼성 아닌 델에서 출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238 1
868 발뮤다 폰 연이어 수난, 판매 중단 이어 가격 30% 인하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251 1
867 [스타트업 in 과기대] 바이리라 "스마트워치 돋보이게 할 쥬얼리, 친환경으로 구매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109 0
866 [앱으리띵] 돈을 걸면 의지가 달라진다? 습관 만드는 앱 '챌린저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83 0
865 AMD, 4세대 스레드리퍼로 전문가용 데스크톱 시장 공략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2658 7
864 [모빌리티 인사이트] 미래 비행기의 주요 동력원은 무엇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72 0
863 홍기훈 교수 “NFT 미래수업, 세 가지는 꼭 알아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102 0
862 M1 칩의 한계는 어디? 애플, M1 울트라 기반 '맥 스튜디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270 0
861 막 내린 MWC, 통신 혁신 이끈 GLOMO 수상사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80 0
860 '보고있나 삼성'··· 애플, A15 아이폰 SE·M1 아이패드 에어 공개 [4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4453 17
859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그린경제 예비창업자를 위한 인프라를 지원합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73 0
858 [IT운영관리] 4. "해외에서 RPA는 승승장구".. 국내 RPA는 확산도 어려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198 1
857 에이스뷰 손승서 대표 "3D 어라운드뷰로 사고 예방·중앙 관제··· 자율주행에도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56 0
856 [스타트업 in 과기대] 한국그리드포밍 "신재생 에너지 시대 힘 싣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60 0
855 [스타트업 in 과기대] 나인식스틴 "골판지 소재 공기청정기로 신개념 판촉물 시장 개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67 0
854 인하대 생명공학과 전태준 교수, “대장균 검출부터 신선도 측정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64 0
853 [상생플러스] 공감랩 장명수 이사 “부동산 감정 평가의 시장 확대를 기대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8 4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