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최치호 단장 “강소특구 기반 다진 홍릉, 2022년 글로벌 메디클러스터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2.23 10:53:48
조회 870 추천 1 댓글 1
[IT동아 차주경 기자] 2020년 8월, 서울 동대문구 홍릉 일대에 서울시의 유일한 ‘강소연구개발특구’가 만들어졌다. 지역 내 혁신 기술을 가진 기관들이 모여 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고, 혁신 성장 플랫폼을 만드는 클러스터(같은 산업군 내의 기관과 기업이 한 지역에 모여 상승 효과를 내는 산업집적단지)다.

홍릉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려대학교와 경희대학교, 서울바이오허브 등 굴지의 의료 바이오 산학연이 모여 있다. 의료 임상 실험을 돕고 의료인과의 상생 네트워크를 만들 고려대학교·경희대학교 병원도 힘을 더한다. 투자 유치를 도울 금융 기관은 홍릉에 합류해 300억 원 규모의 AC, VC 펀드를 만들었다.


최치호 홍릉 강소특구 단장. 출처 = 홍릉 강소특구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장,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 가치 사슬이 만들어졌다. 예비 창업자와 의사 160여 명이 창업의 꿈을 품고 홍릉 강소특구에 모였다. 한국콜마와 대웅제약,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등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을 도울 앵커 기업도 속속 합류했다.

홍릉 강소특구는 교육·코칭·투자로 바이오 스타트업의 기술 창업을 돕는 그랜드-K(Grand-K), 주요 대학교와 함께 의료 바이오 전문가를 키우는 산학연 연계 과정을 만들었다. 다른 강소특구와 상승 효과를 낼 강소특구-바이오 클러스터 연계 프로그램도 구축했다.

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 미국 보스턴 등 세계 주요 메디클러스터와 핫라인도 설치했다. 토종 바이오 스타트업 K2B테라퓨틱스가 세계 메디클러스터의 중심지인 미국 보스턴의 랩센트럴에 둥지를 틀었다. 모두 홍릉 강소특구가 1년 여만에 거둔 성과다.

홍릉 강소특구를 이끄는 최치호 단장을 다시 만났다. 그는 2021년을 ‘글로벌 메디클러스터로 발전할 기반을 다진 해’로 소개했다. 이어 2022년은 '이 기반에서 태어난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들이 열매를 맺을 해'라고 강조했다.


메디클러스터를 소개하는 최치호 단장. 출처 = 홍릉 강소특구



밝은 부분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이 있듯, 홍릉 강소특구가 항상 좋은 성과만 낸 것은 아니다. 최치호 단장은 지난해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을 이끌 실무 인재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 것,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하는 강한 비공식 조직을 다양하게 만들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말한다.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에 실무 인재는 필수다. 기술이나 경험을 가진 연구 인재도 중요하지만, 세계 각국의 의료 법률, 인허가 방법과 촘촘한 규제를 잘 아는 실무 인재도 확보해야 한다. 그래야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이 해외에 진출해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하지만,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이 실무 인재를 영입하는 것은 하늘에 별 따기 격이다.

홍릉 강소특구는 올해 서울시의 예산을 지원 받아 실무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한다. 해외의 선진 의료 바이오 실무 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해, 학생부터 스타트업 재직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들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꾸민다.

병원과 기업간 상생 오픈 플랫폼도 올해 더욱 충실하게 다듬는다. 병원이 원하는 기술, 제품을 제조 기업이 만든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과 인력 확보, 임상 실험과 규제 통과 절차 등을 병원이 돕는다. 병원과 기업이 기술, 인재를 자유롭게 나누며 함께 성장하고 또 성과를 낼 플랫폼의 기반은 이미 닦였다. 여기에 전문 지원 조직과 예산을 더하고, 서울 아산병원을 포함한 외부 기관을 유치해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의 앵커 기업, 대웅제약과의 MOU 현장. 출처 = 홍릉 강소특구



메디클러스터로서 생활 밀착형 헬스케어 기술도 실증에 임해 시민들이 체감하도록 한다. 올해 서울시가 운영할 사회 취약 계층, 고령자의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에 홍릉 강소특구가 참여한다.

움직이기 불편한 환자나 병원 방문을 꺼리는 시민에게 모니터링용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를 지급한다. 이 기기로 심박수나 혈당 등 신체 데이터를 수집해 심장 질환이나 당뇨를 관리한다. 고령자에게는 인공지능 헬스케어 기기를 지급한다. 이 기기는 환자와 대화를 나누며 우울증, 정신 질환 등을 진단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병원이 지금까지 쌓은 환자들의 데이터에 위의 신체 혹은 대화 데이터를 더하면, 시민 건강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데이터를 헬스케어나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에 공개해 혁신 의료 제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지도록 돕는 역할,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임상 실험을 돕는 역할, 의료 제품과 서비스가 해외에 진출할 때 규제나 법률에 부딪히지 않도록 돕는 역할 모두 홍릉 강소특구가 맡는다.


서울테크노파크와의 MOU 현장. 출처 = 홍릉 강소특구



홍릉에서 탄생한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의 세계 경쟁 역량을 높일 협업 모델도 만든다. 디지털 헬스케어 강국인 싱가포르와 만들 기업 공동 육성 프로그램이 그 예다. 우리나라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을 싱가포르에 보내 그 곳에서 성장하고, 세계 규모 투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받도록 돕는다. 이렇게 성장한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은 우리나라로 돌아와 홍릉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 것이다.

중국 투자 회사와의 오픈 이노베이션(기업이나 산업계가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성장 동력을 찾는 것)도 시도한다. 우리나라의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이 중국에 진출하거나 투자를 받도록 매칭 데이를 열 예정이다.

메디클러스터의 대명사, 미국 보스턴과의 협력 관계도 더욱 강화한다. 홍릉의 기술 창업 역량, 보스턴의 의료 바이오 기업 창업·성장 역량을 융합한 글로벌 사업가 프로그램을 만든다.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미국 현지의 대규모 투자 유치와 지사 설립 지원을 받는다. 규모가 큰 선진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루도록 돕는다.


지역 강소특구와 연계 방안을 마련 중인 홍릉 강소특구. 출처 = 홍릉 강소특구



홍릉 강소특구는 이 모든 협업 모델을 우리나라의 다른 강소특구들과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의료 바이오 산업과 궁합이 잘 맞거나, 함께 성장할 만한 장점과 역량을 갖춘 클러스터와 연합해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얻은 과실은 함께 나누고 또 함께 성장한다.

최치호 단장은 홍릉 강소특구를 융합형 클러스터로 소개한다. 클러스터는 대부분 유사한 산업이나 기업의 혁신 주체 위주로 파트너를 모은다. 그러면 빠르게 성장 가능하지만, 쇠퇴기도 금방 찾아온다. 융합형 클러스터는 산업 경계를 뛰어넘어 지식을 확산·융합하며 완전히 새로운 기술과 사업 모델, 시장을 만든다. 지역 내 산학연이나 다른 클러스터와 연합해 장점을 융합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 모델을 꾸준히 만든다. 그러면 쇠퇴하지 않고 꾸준히 혁신을 이루며 발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세계 산업계의 경쟁을 이끈 것은 기업이었다. 앞으로는 기업과 산업이 모인 생태계, 즉 클러스터 사이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다. 이 경쟁에서 이기려면 지금처럼 어느 한 기업만 두각을 나타내서는 안된다. 산학연과 기업 등 클러스터의 모든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지속 가능한 혁신을 이루고, 고부가가치 기술과 제품을 끊임없이 선보여야 한다.

홍릉 강소특구는 다가올 클러스터 사이의 경쟁을 차근차근 준비한다. 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외에도 다양한 기업이나 전문가들이 자신의 강점을 발휘해 동반 성장하는 구조를 2022년 안에 만들 예정이다.


홍릉 H 클럽 출범식. 출처 = 홍릉 강소특구



물론, 원래의 설립 목적인 메디클러스터로의 발전 방안도 충실하게 꾸몄다. 서울시는 홍릉과 연계해 창동, 상계에 바이오 특화 스케일업(스타트업의 고민이나 문제를 해결해 한 단계 발전하도록 돕는 작업)클러스터를 마련한다.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통한 세계 시장 진출, 그리고 홍릉 성공 사례를 꾸준히 만들기 위해서다.

최치호 단장은 “홍릉 강소특구는 인재(Talented), 기술(Technology), 문화(Tolerance) 등 3T를 모두 가진 이상적인 클러스터다. 지난해 만든 의료 바이오 스타트업 선순환 구조로 K 바이오 헬스케어의 성공 모델을 만들겠다. 나아가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거둬 메디클러스터의 모범 사례로 인정 받겠다.”고 밝혔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소부장 스타트업] 딥엑스 “AI 칩 원천기술 확보로 반도체 혁신 이끌 것”▶ [주간투자동향] 토르드라이브,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소부장 스타트업] 도터 "글로벌 의료기업 능가하는 차세대 생분해성 스텐트, 우리 손으로"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144 퀄컴, 코로나로 멈췄던 IT 투어 재개한다…"한국 학생들 미국 본사에 초청"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1832 3
1143 [주간투자동향] SK스퀘어-SKT, 글로벌 게임사 ‘해긴’에 500억 원 공동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92 0
1142 ‘위드 코로나’로 활기 더한 모빌리티 플랫폼, 곳곳 ‘암초’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01 0
1141 아키핀 "영어 교육 재밌어야 한다, 방법은 체험형 게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18 0
1140 [리뷰] 12세대 인텔 코어 시리즈의 '군계일학', 인텔 코어 i9-12900KS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226 0
1139 변신·진화하는 차세대 액션 캠, 인스타360 원 RS(One R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21 0
1138 [스타트업人] 개발만큼 중요한 것은 '고객과의 소통', 당근마켓 서비스 운영 이야기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2663 1
1137 [모빌리티 인사이트] 일상 속 자율주행, 로봇청소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975 0
1136 한국안경렌즈협동조합, '한국 안경 산업, 세계 시장에서 K-렌즈로 우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111 0
1135 한차례 폭풍 지나간 조각투자 업계…엇갈리는 속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5 134 0
1134 우려 현실로, 악재 겹친 디카 시장 3월 출하량 더 줄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5 101 0
1133 [기고] "위드 코로나 시대의 협업... 비동기적 협업이 중요해질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94 0
1132 "결제 먼저, 지불은 나중" 후불결제로 젊은층 선점 나선 빅테크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439 0
1131 [스타트업-ing] 주식회사 마이브 김종배 대표, “초소형전기차 ‘마이브’는 여전히 달리고 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127 0
1130 금융보안원 “데이터 주권 확보의 핵심은 보안…안전한 마이데이터 사업 정착 돕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85 0
1129 마드라스체크 이학준 대표, "지식 근로자 갖춘 모든 기업이 플로우의 고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85 0
1128 [상생플러스] 크레파스솔루션 김민정 대표, “통장 없는 청년은 대출을 받을 수 없잖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81 0
1127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레디큐어 “치매 특화 저선량 방사선 치료 시스템 시대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76 0
1126 [뉴스줌인] PS5 화질 향상된다는 VRR 기술, 무슨 원리?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2995 5
1125 B급 감성으로 위로와 재미를? "배민은 이용자와 즐겁게 논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123 0
1124 "초코파이는 더 맛있어져야 한다"...카카오 물류의 핵심은 '공유'와 '디지털전환'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553 0
1123 시중은행 점포 폐쇄 가속화…금융소외계층 위한 해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97 0
1122 지브레인, 200억 규모 국책과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최종 선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88 0
1121 [스케일업] 포스코·펫나우 “1000만 반려동물 위한 행복 플랫폼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764 1
1120 [리뷰] 목에 거는 3채널 블랙박스, 링크플로우 FITT360 PB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02 0
1119 "애플페이만 NFC 결제 허용하는 건 반독점 위반"…칼 빼든 EU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862 3
1118 디지털 전환 시대, 서비스로 다가서는 스타트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79 1
1117 가정의 달 선물, '모니터'로 아이부터 부모님 눈 건강 챙겨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116 0
1116 [리뷰] 한층 뛰어난 음질과 노이즈 캔슬링 원한다면, 젠하이저 모멘텀 TW3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1582 1
1115 [인터뷰] 도봉구청 이우건 주무관, "문화 예술도시 창동, 메타버스 선도 도시로 변화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87 0
1114 서비스·아이폰 호조 애플 1분기 좋은 실적…2분기는 안갯속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440 1
1113 [주간투자동향] 뮤직카우, 1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106 0
1112 [상생플러스] 오내피플 조아영 대표 “번거로운 개인정보 관리, 저희가 해결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74 0
111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이버공격이 시스템적 리스크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2220 3
1110 [리뷰] 스마트한 공부방 위한 IoT 스탠드, 텐플 LED 스마트 무선충전 스탠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12 0
1109 청년 스마트팜 기업 상상텃밭 “가장 진보한 기술로 가장 오래된 산업에 혁신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219 0
1108 [스타트업人] 모든 IT 서비스는 개발에서 비롯된다 - 로앤컴퍼니 엔지니어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19 0
1107 [NFT산업현장] 2. "이번에도 늦어선 안돼"... NFT시장 선점 나선 금융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08 0
1106 [인터뷰] 이혁재 서울대 교수 “반도체 전문인력 부족…서울대가 찾은 해법은”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2300 5
1105 [스케일업] 부엔까미노 (2) 재미있는 콘텐츠로 저축 돕는 '금융 서비스' 스타트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87 0
1104 [뉴스줌인] PB급 용량 가능한 시놀로지의 기업용 NAS/SAN 솔루션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89 0
1103 [상생플러스] 왓섭 김준태 대표, “지출 정보를 분석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122 0
1102 [검색광고 AtoZ] ② 광고비 낭비하는 ‘부정 클릭’ 효과적 대응 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9 92 0
1101 금융위, 조각투자 증권성 판단 기준 내놓았다…핵심 내용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32 0
1100 "팬과 가수는 한 배에 탄 동료다".. 팬더스트리 성장은 계속될 것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361 0
1099 나무기술 박열경 부사장 “칵테일 클라우드 온 오픈시프트, 국산+외산 장점 통합한 독보적 PaaS 제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89 0
1098 글로벌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 속속 국내 진출…공급망 안정화·일자리 창출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07 0
1097 [모빌리티 인사이트] 대륙을 연결하는 항만에서 만나는 자율주행 시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89 0
1096 [IT운영관리] 7. "IT인프라 관리 개별 기업이 감당 어려워"...AI와 결합한 IT운영관리 필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24 0
1095 생각보다 어려운 공기청정기 선택··· '가성비 대신 브랜드 고려해야'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726 0
뉴스 세븐틴, 14개 도시 30회 공연 월드투어 대장정 마침표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