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축구 스타들 순자산 모음 ㄷㄷ ㅇㅇ
- 싱글벙글 나라별 멸망 전 마지막 방송.jpg ㅇㅇ.
- [스압]S25 엣지 홍보 이미지, 케이스 렌더링, AR필름 렌더링 유출 ㅇㅇ
- 14달러로 비트코인 롱 인생배팅에 성공함.. GALA
- 김문수, 단일화 포기 ㅇㅇ
싱글벙글 한국과 러시아의 엇갈린 운명 알아보기
음향 제국을 건설한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16년 세계적인 음향기업인 하만그룹을 9조원에 인수합병했다. 하만그룹이 소유하고있던 브랜드는 JBL, 하만카돈, AKG, 렉스톤 등 엄청난 수준의 포트폴리오였다. 삼성전자가 하만그룹을 통째로 인수하면서 저 유서깊은 브랜드들이 전부 삼성 산하로 오게 된것. 그로부터 9년후... 그런데 아주 최근인 2025년 5월, 삼성전자는 음향산업을 완벽하게 장악하기위해 마시모 그룹을 5000억원에 또 인수했다! 마시모 그룹은 다소 생소할수있으나, 산하기업으로 일본의 데논, 영국의 B&W 등 유서깊은 초고가브랜드들을 두고있다.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갤럭시 S25 울트라' 알다시피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삼성의 역할은 강력하다. 애플과 함께 세계시장을 양분하고있는 삼성전자의 가장 최근작인 갤럭시S25 울트라는 당연히 플래그쉽다운 면모를 보여주고있다.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압도적인 1위인 삼성전자 폴더블은 디스플레이중에서도 가장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말그대로 휴대폰을 접고 펴고 할수있는것. 입맛에 맞게 화면크기를 조절할수있다는점에서 굉장한 혁신이다.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태블릿 '갤럭시탭S10 울트라' 스마트폰에 이어 태블릿시장에서도 애플과 함께 시장을 양분하고있는 삼성전자. 갤럭시탭 울트라 시리지는 그 어떤 태블릿보다도 얇은 베젤, 그리고 15인치 가까이 되는 거대한 디스플레이가 강점이다.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스마트워치인 '갤럭시워치 울트라' 스마트워치 시장에서도 삼성전자의 입지는 굳건하다. 애플워치와 함께 시장을 양분하고있으니 말이다. 2013년 갤럭시기어를 시작으로 12년째 스마트워치를 만들어온 짬밥은 어디 가지 않나보다.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코드리스 '갤럭시버즈 프로 시리즈' 에어팟과 함께 코드리스 시장의 베스트셀러중 하나인 갤럭시버즈 시리즈. 물론 순수성능으로는 유럽, 일본, 미국 등 고가브랜드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대중적, 즉 판매량으로는 에어팟과 시장을 양분하고있다. 유선에서 무선으로 변화하고있는 음향업계 패러다임을 빠르게 읽고 시장을 선점할수있었던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플래그쉽 노트북 '갤럭시 북 시리즈' 노트북업게에서도 일가견이 있는 삼성전자다. 게이밍에서는 잼병이지만 사무용노트북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입지가 넓다. 노트북 역시 고부가가치 업종이다. 이로서 삼성전자는 스마트폰-태블릿-스마트워치-코드리스-노트북까지 일종의 갤럭시 생태계를 완벽하게 구축하는데 성공했고, 갤럭시는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거듭났다. LG전자의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은 '세계 최고' 소형 디스플레이 기술을 삼성전자가 잡고있다면, 대형은 LG전자가 잡고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에서도 OLED기술은 삼성과 LG가 압도적이며, 근래에는 차세대 패널인 마이크로 LED 기술에서도 선두에 있다. 한국의 또다른 자랑인 포스코 철강, 조선은 한국이 세계를 잡고있는 산업중 하나일것이다. 조선업이 발달했다보니 크루즈선이나 메가요트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종류의 배를 만들수있다. 또한 만드는것뿐만 아니라 생산능력도 세계 톱이다. 반면 자원이나 퍼먹고 사는국가로 전락한 자칭 강대국 '러시아' 과거 서방국가들과 경쟁하던 초강대국 구소련의 후신인 러시아는 모든 기술기반을 싸그리 날려먹었고 현재는 사우디와 같은 천연자원 국가로 탈바꿈했다. 러시아의 수출품은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천연자원이다. 그중에서도 원유,정유,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60%에 육박한다. 아프리카 국가와 산업구조가 다를것이 있는가? 반면 과학기술 분야는 전량 수입하는 러시아 기술력과 관련기업이 없다보니 러시아는 모든 과학기술을 해외에서 수입해온다. 자동차부터 의약품, 컴퓨터, 통신장비, 의료기기, 건설기계, 각종 부품류까지 전부 수입한다. 자체개발 또는 기술독립이 전무하다.과거와는 사뭇 달라진 한국과 러시아의 엇갈린 운명 지난 1983년 소련이 비무장 민항기였던 대한항공기를 격추하여 한국인 승객 수백명이 학살되었으나, 한국은 울부짖는것외엔 할수있는것이 없었다. 그당시 한국과 소련의 경제규모는 무려 30배이상 차이가 났기때문이다. 현재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규모 격차는 '없음' 그랬던 한국의 경제규모는 현재 인구 1억 4000만명과 세계에서 가장 넓은 국토면적을 가진 러시아의 90%까지 따라잡았다. 이렇게 성장할수있었던 힘은 서구식 경제모델 채택 덕분 알다시피 한국은 경제모델부터 정치, 문화, 교육 등 거의 대부분의 롤모델을 서구에 초점을 맞춰왔다. 현재 다국적기업의 최중심이자 전세계 모든 산업과 자본시장을 지배하고있는 미국과 유럽을 롤모델로 잡았기때문에 우리가 러시아와 달리 기술강국이 될수있었던것 아닐까.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