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윤 평론가
학생들이 제출한 서술형, 논술형 평가지를 채점하며 작년에 있었던 어떤 아주 의미있는 경험이 떠올라 펜을 들어본다. 아마도 모든 학생들은 '시험'을 그리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좋아하지 않는 정말 여러 가지의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일단 시험이 주는 압박감도 그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시험이 자기 자신, 본인에게 큰 의미가 없다고 느껴지기 때문이지 않을까?
지난해 5월, 우연한 기회에 '세계 큐브대회' 현장에서 직접 구경을 해본 적이 있다. 대회장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아주 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자신이 직접 신청한 분야에 출전하여 실력을 겨루는 방식이었다.
대회의 방식은 아주 단순했다. 자신이 평소에 손에 쥐고 연습을 해오던 '나의 큐브'를 제출하면 대회 심판진들이 무작위로 막 섞는다. 그리고 출전 선수가 시합 테이블에 앉아 있으면, 그렇게 섞여 있는 큐브를 상자 안에 넣어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가져다준다.
그러면 선수 본인이 상자를 개봉하고, 섞여 있는 큐브를 15초 동안 살펴본 후 큐브를 맞춘다. 그리고 그때 걸린 시간이 짧은 사람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시스템이다.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맞추는 사람, 그보다는 조금 더 걸리는 사람 등등 실력 차이는 존재했다.
그런데 정말 신기했던 건, 어떤 관점에서 보면 누가 더 빨리 큐브를 맞추느냐를 놓고 '시험'을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 그 대회에 참가한 모든 사람이 하나 같이 정말 즐거워하더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전광판에는 현재까지 순위가 실시간으로 보여지고 있었는데, 어떤 테이블에서 어떤 선수가 최고 기록을 깰 때마다 그 주변에 있던 선수들, 관객들 모두 함성과 함께 박수를 쳐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떻게 이런 즐거운 '시험', 잘한 사람에게 박수를 보내는 멋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었을까? 아마도 내가 즐기는 것, 내가 좋아서 열심히 한 것을 놓고 나의 실력을, 그리고 나의 위치를 확인해보는 평가였기 때문이 아닐까?
내가 처음으로 세계 큐브대회를 구경할 수 있는 기회를 준 그 10살짜리 학생은 3×3 큐브 맞추기 종목에서 20초 중반대를, 2×2 큐브 맞추기 종목에서는 10초 초반대를 기록했다. 3×3 큐브 맞추기 1등은 6초대, 2×2 큐브 맞추기 1등은 2초 미만이었으니 그 10살짜리 학생은 각 종목의 300여명이 넘는 출전 선수들 중에 270~280위 정도의 성적이었다.
하지만 그 학생은 실망하지 않았다. 정말 너무나 행복한 모습이었다. 두 개 종목 모두, 대회에 나오기 전에 기록했던 본인의 최고 기록을 깼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리고 '유○브'라는 사이트에 올라오는 동영상을 보며 혼자 연습을 해왔는데, 정말 잘하는 사람들을 직접 눈 앞에서 보니 신기하고 좋은 경험이었다고 했다.
이런 평가를 학교에서 할 수는 없을까? 쉽게 말해 "공부할 맛이 나는 시험" 말이다. 제대로 공부해서 제대로 내 실력과 그 깊이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평가제도가 만들어 진다면, 그 자체로 멋진 교육제도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지금 우리의 평가제도는 어떠한가? 불가피한 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저 단순하게 암기한 지식을 확인하는 평가이다. 어떠한 시대의 지도를 보여주고 이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혹은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세계사 시험과 어떠한 역사적 사건을 놓고 그 사건이 일어난 시대적 배경과 원인, 국제정세, 그리고 그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에 벌어진 다양한 결과에 대한 고찰까지 하여 자신의 말로 자신의 생각을 쓰는 세계사 시험. 어떤 시험이 더 의미 있고, 멋있어 보이는가? 어떤 시험이 더 공부할 맛이 나는 시험인가?
코끼리, 원숭이, 개, 펭귄, 물개, 그리고 새가 모여있다. 그리고 그 앞에 앉은 평가관이 말한다.
"지금부터 평등한 선발을 위해, 모두에게 동등한 시험을 보겠다.
자, 모두 나무 위로 올라가거라!"
우리나라의 평가제도는 우화에 나오는 이런 제도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리고 이런 제도이다 보니 교사들의 권위 또한 낮아진 것이 아닐까 하는 자조 섞인 생각도 함께 해본다.
자신이 배운 것들을 종합하여, 자신의 생각을 통해 답을 써내려 가도록 하는 방식의 평가는 나아가 교사들의 실질적인 교육과정 편성권과도 연계가 이루어 질 것이다. 가르친 교사가 다르고, 배운 학생이 제각각인데 같은 형태의 평가를 본다면 교사가 가르친 내용과 그것을 배운 학생의 생각이 연결되지 않는 평가일 뿐이다.
그러므로 교사에게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말로, 자신의 글로 표현하는 평가를 해야 교사가 실질적인 교육과정 편성의 권한과 평가의 권한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권한을 가질 때, 교권이 확립될 수 있는 것이다. 만들어진 교육과정을 그저 잘 전달하는 역할만 한다면 사교육 강사와 다를 바 없는 것이다. '교사'는 말 그대로 교육의 전문가여야 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는 능력과 그렇게 가르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공부할 맛이 나는' 평가에 임할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