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D-26:실존주의/과학적관리론/현실치료:목표+절차/아이즈너의교육과정개발

30일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0.30 04:24:34
조회 784 추천 1 댓글 6

#개요

1. 실존주의

 - 자유의지

 - 개인의 중요성

 - 삶의 어두운 측면 또한 강조

 - 부버: 인격 대 인격의 만남

 - 볼노오: 만남이 교육에 선행/비연속적 형식의 교육 가능성


2.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보비트의 적용

 - 기계처럼 프로그램화

 - 장점: 인간 관리 체계화 꾀함

 - 문제점: 비인간적/심리적요인배제/오히려 생산성 저하

 - 보비트: 교육에서 낭비 제거


3. 글래서의 현실치료

 - 상담의 목표: 3R

 - 진행절차: WDEP


4.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개발과 예술적 접근

 - 행동목표 비판

 - 대안: 문제해결목표/표현적결과목표

 - 교육적 상상력

 - 참 평가

 - 교육적 감식안+교육비평


#서론

교사가 교육철학 사조와 교육행정학 이론 그리고 상담이론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통해 수업 구성을 보다 유기적으로 할 수 있고, 이는 곧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학습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실존주의 사상과 과학적 관리론, 글래서의 현실치료 상담기법 그리고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개발과 예술적 접근에 대해 논해보겠다.


#본론

실존주의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선택을 강조하였고,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고 보았다.

교육원리로는 첫째,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둘째, 창조적으로 자신의 생황을 만들어나가는 인간을 요청한다. 그리고 셋째로 삶의 어두운 측면 또한 강조하여 적극적인 삶의 의미를 느끼도록 하였다.

부버는 실존주의 교육을 인격 대 인격의 만남으로서 대화로 보았다.

볼노오는 비연속적 형식의 교육 가능성을 중시하였다. 비연속적 형식의 교육이란 위기나 각성, 충고나 상담과 같은 뜻하지 않은 사건들에 의해 우연히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실존주의 사상의 의의는 개인의 자유의지를 중요시하게 여겼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문제점으로 첫째, 인간 존재의 기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자세가 부족하고, 둘째, 비연속적 교육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인데, 우연한 각성이나 충고를 막연히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은 인간을 효율적인 기계로 프로그램화 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기계에 연료를 넣으면 잘 작동하듯이, 인간에게 임금이라는 연료를 넣으면 성실히 근로할 것이라는 믿음이다.

의의로 조직과 인간 관리에 대한 체계화를 시도하여 효율성의 극대화에 기여하였다. 또한 인간을 활용하려는 학문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인간을 기계취급하여 비인간적이다. 둘째, 인간의 심리적요인이나 동기를 무시하고 있다. 셋째, 인간을 도구취급하여 오히려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보비트는 과학적 관리론을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에서의 낭비를 제거할 것을 주장하였다.

가능한 모든 교육시설을 동시에 활용하고, 교직원의 능률을 최대로하면서도 그 수를 최소로 감축하며, 교원들은 가르치는 데 전념하고 교육행정은 별도의 행정가가 맡는 분업화를 주장하였다.

교육에서 과학적 관리론을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따르는 데, 첫째로 교과는 표준화가 곤란하고, 둘째,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인 심리적 정서적 요인을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래서의 현실치료는 내담자의 현실행동에 초점을 두고 그 행동이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지를 살피는 상담방법이다.

과거나 미래 보다는 현재를 중요시하고, 중독증적 행동도 자신의 욕구충족을 위한 최선을 선택으로 간주한다.

상담의 목표는 학생이 책임질 수 있고 만족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 첫째, 책임감을 느끼며 수행해야 하고, 둘째, 현실 파악과 수용능력이 있어야 하며, 셋째, 옮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판단능력이다.

현실치료의 진행절차는 WDEP이다. 먼저 내담자에게 그들의 바람(wants)과 관련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현재 행동(Doing)에 관심을 두고, 과거 사건과 현재 행동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관심을 둔다. 다음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전체행동의 각 요소를 스스로 평가(Evaluation)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동 노력으로 새로운 계획(Planning)이 수립되면, 그 계획이 수립되도록 실천에 대한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주요개념으로 기본욕구, 전행동, 선택이론, 통제이론이 있다. 


아이즈너는 타일러의 행동목표를 비판하며 교육과정 개발의 예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인본주의적이고 심미적인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려고 하였다.

행동목표를 대신하여 문제 해결 목표와 표현적 결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문제 해결 목표는 어떤 문제를 해결 할 때 지켜야 할 조건이 주어지면 그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는 경우이고,

표현적 결과 목표는 목표를 미리 정하지 않고 어떤 활동을 하는 도중이나 끝낸 후에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무언가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또한 교사는 교육적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적 상상력이란 교사들이 실제 학생들에게 의미 있고 만족스러운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학생들에게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는 능력을 말한다.

평가면에서는 미리 정해진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는 기존의 평가를 비판하며 참 평가를 제안하였다. 참 평가란 학교 밖 세계에서 부딪힐 수 있는 것이어야하며, 과제의 결과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과정 또한 보여줘야하며, 질문이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한 가지 이상이게 구성되어야 한다.

교사는 또한 교육적 감식안을 통해 평가해야 하는데, 교육적 감식안이란 학생들의 성취 형태들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차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교육비평이다.


#결론

이상으로 실존주의, 과학적 관리론, 글래서의 현실치료,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접근법을 알아보았다.

위에서 논의한 교육학 이론들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이해와 적용은 2015개정 교육과정을 학교현장에서 적용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이는 교사의 학습 환경 조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고, 곧 학생들의 올바른 학교생활 및 학습이해에 직결될 것이다.

따라서 교사에게는 위의 교육학 이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될 것이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2376 님덜 시넥틱스임 시네틱스임 [8] ㅇㅇ(175.223) 18.11.17 405 0
2375 수학교육과 전망어떠냐? [4] ㅇㅇ(223.39) 18.11.17 1359 1
2374 여기 수학교육있냐 [1] ㅇㅇ(223.38) 18.11.17 337 0
2373 림덜 만능틀 이런거 어디서봄? [1] ㅇㅇ(175.223) 18.11.17 285 0
2371 과락 면하려는 초수의 발악 [2] ㅇㅇ(124.80) 18.11.17 604 0
2370 한번만 봐주세요 ㅠㅠ [3] 세상에(218.55) 18.11.17 327 0
2368 학교주변에 모텔이 없네 시그랑창 [2] ㅇㅇ(121.132) 18.11.16 319 0
2367 와 ㅆㅂ 밑에 ㄱㄹ쓴이인데 [2] ㅇㅇ(175.223) 18.11.16 255 0
2366 ㅎ루하루 갈수록 진짜 존나 보기싫네 [4] ㅇㅇ(175.223) 18.11.16 372 0
2365 교육학 10개만 찝어보자 [18] 합격은니꺼야(58.123) 18.11.16 755 0
2364 전공손도안댄지 2주차다 [5] ㅇㅇ(121.132) 18.11.16 481 0
2363 교육학 과락면하는법좀 [1] ㅇㅇ(223.62) 18.11.16 369 0
2362 근데 이갤은 무슨 교육학 얘기밖에 안하넹 [6] ㅇㅇ(61.98) 18.11.16 397 1
2360 ERG이론 중요? [5] 라스뿜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16 318 1
2359 교육과정 아이즈너 중요한이유 [3] ㄱㄴㄷㅂㅅㅇ(165.246) 18.11.15 471 1
2358 영어과 전망 어때? [8] ㅇㅇ(39.7) 18.11.15 676 0
2357 앎의 수준은 모르겠는데 ㅇㅇ(175.223) 18.11.15 106 0
2354 이제 얼마안남았네여 [1] Omino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15 243 2
2353 임용시험 언제임?? [3] ㅇㅇ(116.45) 18.11.14 308 0
2352 그니까 콜만보고서 이게 [20] ㅇㅇ(175.223) 18.11.14 835 0
2350 임용 1학년때부터 [19] ㅎㅇㅌ(223.62) 18.11.14 1466 0
2349 전공이 더 중요하다 [1] ㅇㅇ(59.27) 18.11.14 333 0
2348 교육학 영역별로 빛이나는 하나의 주제들 [6] ㄱㄴㄷㅂㅅ(165.246) 18.11.14 712 4
2347 체육과목인데 1년이면 합격충분??? [10] 922922921(14.37) 18.11.14 997 0
2346 임용 평균 합격점수가 어느정도지 [3] ㅇㅇ(121.164) 18.11.13 699 0
2344 상담이나올까 안나올까 [2] Dd(220.85) 18.11.13 423 1
2343 가네는 다들 예상하네 [4] ㅇㅇ(211.209) 18.11.13 524 0
2342 혹시 작년 교육학 논제 맞춘 사람 있어? [8] ㅇㅇ(211.34) 18.11.13 490 0
2341 공통점은? [1] ㅇㅇ(220.87) 18.11.13 143 0
2339 상담 나온다면 뭐나올거같음? [11] ㅇㅇ(223.62) 18.11.13 464 0
2338 고등학교때 친구가 영양 노린다는데 붙으면 줘패고싶다 [2] ㅇㅇ(211.36) 18.11.13 362 0
2337 교육은 백년지대계 ㅇㅇ(39.7) 18.11.13 94 0
2336 여교사들 이제 남학생이랑 붙어다니는거 보면 수상할듯. [10] ㅇㅇ(175.223) 18.11.12 2452 8
2335 재임용 진짜 궁금해서 그러는데 댓글 좀.. [4] 00(211.36) 18.11.12 488 0
2332 교육학 출제흐름이 점점 쉬워지는건가? [2] ㅇㅇ(211.209) 18.11.12 582 0
2331 초수 교육학 과락만 면하고 싶습니다.... [3] ㅇㅇ(124.80) 18.11.12 575 0
2330 노량진 독서실 서장훅(221.133) 18.11.12 544 1
2329 다 죽이고싶다 [1] ㅇㅇ(180.70) 18.11.11 244 0
2328 존나 한탄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11 368 2
2327 요즘 임고생들은 공부 어디서 하냐 [3] ㅎㅅㅎ(211.252) 18.11.11 706 0
2325 네이버 메인뉴스. 여교사가 남학생 2명과 스캔들ㄷㄷ [10] ㅇㅇ(125.143) 18.11.11 811 16
2324 행정 너무 많다 씨발 [2] ㅇㅇ(223.38) 18.11.11 352 0
2322 과락 기준 있음? [3] ㅇㅇ(180.70) 18.11.11 343 0
2321 나도 교육학 나올거같은거 정리 [13] ㅇㅇ(220.85) 18.11.10 2371 12
2320 교사vs대기업 [9] ㅇㅇ(223.38) 18.11.10 1265 2
2319 올해 지능이랑 부르너 각이다 [6] /@/@~@~(165.246) 18.11.10 495 0
2318 중등임용붙고싶다 ㅇㅇ(121.66) 18.11.10 151 0
2317 작년 교육학 출제자들 분위기 좋았다던데 ㅇㅇ(121.132) 18.11.10 331 0
2316 논제 중에 2개똑바로쓰고 [5] ㅇㅇ(220.85) 18.11.10 341 0
2315 유초등 교직논술은 도대체 뭘 보고 공부하는거임? [2] ㅇㅇ(121.130) 18.11.10 33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