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2020 도쿄 올림픽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체스 선수들의 이명(異名)에 관하여, 전환의 시대 편 체피티니
- 싱글벙글 포켓몬 너의 진화방법은.jpg 짜잔
- 철권 보드게임의 미래 일십백
- 청량해 보이지만 불지옥이던 도쿄 36장 광학의신은칼짜
- 선택적 함구증에 걸린 소녀 ㅇㅇ
- 세계 바리스타 챔피언이 꼽은 한국 최고의 카페 ㅇㅇ
- 싱글벙글 k코인 실패한 여고딩 ㅇㅇ
- 하니 "왜 굳이 가시밭길을…" 양재웅과 결혼 논란 입장 표명 ㅇㅇ
- 싱글벙글 나이키와 종신 계약 맺은 선수 멍뭉댕이.
- 싱글벙글 조선시대 때도 "외국어능력"은 중요했을까? ㅇㅇ
- 주민규 골.gif (동아시안컵) 한국, 중국에 완승 린맘
- 만화가 지망생들은 파이어펀치처럼 되고 싶어 ㅇㅇ
- 싱글벙글 before/after ㅇㅇ
- 노상원 "선관위 다 잡아족쳐야"ㅋㅋㅋㅋ ㅇㅇ
- 딸 친구로 오해받은 어머니 ㅇㅇ
스압)) 세계 녹내장 학회 다녀옴 feat. neuroprotection
특붕이들 ㅎㅇ특이점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글은 아니긴 한데, 특슬람으로써
평소에 자주와서 많이 배워가는 곳이고,많은 특붕이들이 관심있어하는 역노화에 쥐꼬리만큼 관련이 있는 내용이라 들고와봤어. 이번에 하와이에서 열린 2025 세계녹내장학회를 갔다왔는데 전
세계의 녹내장 전문의들, 연구자들이 다같이 모이는 학회답게 규모나 내용 모두 완전 알차고 좋았었어. 그래서 학회 갔다온 내용 정리 겸 적어봐. (사실은 하와이 갔다온
자랑 하고싶어서~ 첨 가봤는데 넘좋았음) 잡설 보기 싫은 특붕이들은 아래로 내려가서 학회 내용 정리한거 보면 됨
일단 비행기 타고 호놀룰루 국제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날씨부터 진짜 장난 아니었어.
하늘이 어떻게 이렇게 맑을 수 있냐 싶을 정도로 파랗고 구름 하나 없더라. 이곳이 바로 그 유명한 와이키키 해변...서울의 미세먼지 충만한 하늘과는 너무 공기부터 다르더라.
숙소 체크인하자마자 해변으로 달려가서 일단 풍경 사진만 한 100장
찍고 시작함. 솔직히 학회 시작 전부터 이미 마음속으로 학회가 끝나지 않길 간절히 바랬다…영원히 여기 있고싶었음. 개쩌는 바다색깔학회장입구. 하늘 넘 이쁘당이건 실내에서 찍은거. 건물 안에도 야자수가 있어서 신기했다…. 저거 근데 더 자라면 지붕 뚫을 거 같음.학회장 건물에서 날 반겨주는 알로하~~이제
녹내장 학회에서 나온 최신 녹내장 트렌드들 정리해볼께다들 녹내장에 대해 아는 특붕이도 있을거고 모르는 특붕이도 많을텐데 녹내장은 쉽게 말하자면 안압이 올라가서 시신경이
죽고, 그로 인해 심하면 실명까지 하게 되는 병이야.
생각보다 유병률(약 4%)이
높은데 대부분은 무증상이어서 꽤 병이 진행되고 난 다음에서야 우연히 알게되는 특징이 있어. 특히 40대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니 이 글을 보고 있을 스윗 영포티 특붕이들은 꼭 건강검진 받을 때 녹내장이 있진
않은지 확인하도록 하자! 녹내장은 아직까지 100% 치료법은
없고, 평생 관리하며 진행을 늦추고 악화를 방지해야하는 질병이야. (물론
특이점이 오면 갑자기 언제 그랬었냐는듯 완치법이 나올지도 모르지만 아직은 관리해야돼)이번에 학회 주제가 "안압(IOP)을
넘어선 녹내장 치료의 미래"였는데, 뭐
학회 주제만 봐도 느낌 오지 않아? 사실 녹내장하면 대부분 안압 낮추는 게 기존의 치료법이었는데, 이번 학회 분위기는 완전히
달랐어. 이젠 진짜 안압만 낮추는 거로는 부족하고, 시신경 자체를 보호하는 ‘신경보호(neuroprotection)’가 이번 학회의
핵심 키워드였음.이번에 눈길을 끌던 연구발표 중 하나는 미국 존스홉킨스 행님들이 발표하신건데제목은 “RGC 재생부터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까지, 다층적 치료 패러다임”
(RCG : 망막신경절세포. 걍
시신경이라고 이해하면됨)그리고 스탠포드형님들이 발표하신것도 꽤 신박했음.
NT-501 implant 라는 장치를 눈깔흰자에 심어서(ㄷㄷ) CNTF(Ciliary neurotrophic factor)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방법임. 그를 통해서 역시나 시신경보호를 해주는 전략!그리고
현재 전세계 녹내장 학계에서 제일 핫하고 유명한 사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스웨덴의 Pete Williams 행님도 발표를 했어. (근데 대머리임)이 형님이 왜 유명하냐면 Neuroprotection (시신경보호)의
시대를 연 사람이라서 그래. 관련 논문들로 싸이언스, 네이처, JAMA 등등 휩쓸은 녹내장계의 아이돌임.이번에 발표한건 Moorfields Eye hospital 이라는
전세계 안과전문병원 1탑과 공동 진행한 연구… 무려 네이처에
실림. 이게 뭐냐면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녹내장 진행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한 대규모 연구인데, “미토콘드리아의
기능(OCR:산소 소비율을 측정)을 높임-> 시신경을 보호함 ->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 이라는 내용임.
그러면 어떻게 해야 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높여줘서 시신경을 보호하고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하냐?(이것도 Pete Williams 형님이
주도하는 대규모 임상연구)우리에게
흔히 “비타민B3”로 알려진 Nicotinamide (NAM) 라는 물질을 고용량으로 쳐먹이면됨. (NAD NMN NR 이런거 특붕이형들은 많이들 알지?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 노화의종말에 나오는 그 NAD+의 전구체들인데
여기서 쓰인건 NMR이나 NR 아니고 NAM이야. 고용량에서 효과와 안전성이 제일 입증된 성분이라 임상실험에서는
거의 NAM(한글로는 비타민B3 또는 니코틴산아미드 또는 나이아신아미드)을 쓰는 트렌드야. 그리고 고용량으로 쳐먹어야됨. 최신 연구들에선 하루에 최소 500mg~1g 이상씩 쳐 먹임. 어떤데서는 3g도 먹임) 이런 연구가 근 몇 년 새 엄청 핫하게 연구되고 있어서 실제로 녹내장 세부전문의 있는 병원가면 고용량 비타민B3를 같이 처방하는 경우가 많아. (단, 하루 1g 이상 먹을 때는 간수치 검사해가면서 먹는걸 권장함)조선회사도 와서 홍보하고 있더라. (풍성충 형님이랑 대머리 형님 초상권은 보호해드림.)그리고 이건 하바드형님들 발표인데 녹내장을 면역쪽으로 접근하는 컨셉이라 좀 흥미로웠어.결론은 면역(염증)반응 조절이 중요하다~(그외 등등...) 암튼 NAD+ 가 현재 녹내장 씬에서 존나 핫하다~~이건 다른세션인데 질의응답시간에 시선강탈하는 대머리형님때문에 찍어봄. (대머리는 자꾸 시선이 가)뭐 일단 한 세션만 정리하긴 했는데 이 Neuroprotection 관련한
세션이 나한텐 가장 흥미롭고 나도 관심이 많은 세션이어서 이걸 정리해봤어. 전 세계에서 neuroprotection에 대해 참 연구가 많이 되고 있구나 싶더라.그리고 이게 녹내장 뿐 아니라 다른 치매나 신경관련한 쪽에서도 많이 연구가 되고 있어. 그 Neuroprotection 의 핵심 기전 중 하나가 미토콘드리아
강화 & 기능향상이라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듯 해. 아무래도 특붕이들도 신경이나 뇌, 지능 이런거에 관심들이 많을 것
같아서 한번 공유해봤어.혹시라도 반응 좋거나 관심있으면 관련해서 다른 세션에 또 새로운 연구분야들 있는데 그것도 올려볼께 그리고 번외로 하와이 진짜 너무 좋아. 처음 와봤는데 정말 돌아오기
싫더라. 나중에 실붕이들도 꼭 기회가 되면 가보도록 해. 진짜
음식이며, 날씨며, 사람들이며 너무 좋아. 진짜 내가 가본 휴양지 중에 젤 좋음. 천조국 부럽다 진짜.
하와이 풍경사진 몇 장 더 투척하고 마무리할게. 읽어줘서 고마워 형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인간이 물고기였던 흔적.jpg
약 38억년전 최초의 생물체인 세포가바다에서 생겨났다이점은 아직 연구중에있으나 크게1.몇천만년동안 바다에 벼락이 끝도없이내리칠때 생겨났다.2.우주에서 떨어진 운석에 포함돼있었다.로 갈리는데 아직까지는 해답이없는 부분모든 생명체는 단일한 공통 조상(Last Universal Common Ancestor, LUCA)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이후 수십억 년에 걸친 진화 과정을 통해 자연 선택, 유전자 변이, 유전자 이동, 수렴 진화 등의 다양한 진화적 메커니즘이 작용함으로써 현재 관찰되는 생물학적 다양성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계통 발생적 관계는 분자생물학적 증거와 비교유전학, 형태학, 생화학적 유사성을 통해 입증되고 있으며, 현대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공통 조상 가설이 생명의 기원과 진화적 연관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화석 기록에 따르면 약 4억 5천만 년 전인 오르도비스기 후반, 최초의 육상 식물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식물의 육상 정착은 지구 생태계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이후 다양한 육상 생물군의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태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특히, 식물의 육상 진출로 인해 육지 환경에 안정적인 에너지원과 서식지가 형성되면서, 고대 어류를 포함한 수생 척추동물들이 육지로 진출할 수 있는 진화적 압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일부 어류는 먹이 자원을 확보하거나 경쟁을 회피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일시적으로 육상에 진입하게 되었고, 이는 후속적인 사지동물(육지 척추동물)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진화적 전환점으로 간주된다.여기서 중요한 진화생물학적 의문이 제기된다. 고대 어류가 단순한 수생 척추동물에서 어떻게 현대의 인류와 같은 고등 육상 생물로까지 진화하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지구상의 대부분의 육상 척추동물은 기본적인 골격 구조, 특히 사지의 배열(예: 상완–요골–수근–지골의 1-2-다 구조)에서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해부학적 유사성은 단순한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진화적 계통(shared ancestry)의 명확한 증거이다.이러한 구조적 유사성은 '상동 기관(homologous structures)'이라 불리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 모든 사지동물(tetrapods)에서 관찰된다. 이는 약 3억 7천만 년 전 고대 육기어류로부터 유래한 공통 조상이 이러한 사지 골격 구조를 최초로 형성하였고, 그 후손들이 다양한 생태적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도 그 기본 틀은 유지된 결과로 해석된다.고대 어류의 지느러미는 진화 과정을 통해 점차 뼈 구조가 발달하면서 사지동물의 팔과 다리로 전환되었다. 이 변화는 지느러미 안쪽에 있는 골격이 길어지고 관절 구조를 갖추면서 가능해졌으며, 이는 얕은 물가나 육상 환경에 적응하려는 생존 압력에 의한 것이다그리고 2004년 캐나다의 엘즈미어섬에서진화론에 귀중한 화석이 발견된다틱타알릭은 어류의 아가미와 비늘을 가진 동시에, 팔처럼 기능할 수 있는 지느러미와 목, 얕은 물 위를 지탱할 수 있는 관절 구조를 갖추고 있어 물고기와 사지동물 사이의 전이형 생물로 평가된다.이러한 전이 화석은 지느러미에서 사지로의 진화를 실질적으로 입증하며, 진화사의 중요한 공백을 메우는 과학적 증거로 간주된다.물고기와 인간의 초기 배아를 비교해 보면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특징들이 나타나며, 이는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진화적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특히, 양쪽 모두에서 관찰되는 아가미궁(pharyngeal arches) 구조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물고기의 경우 아가미궁은 성체에서 실제 아가미로 발달하지만,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는 배아 발생 초기에는 아가미궁 형태가 나타나며 이후 턱, 귀, 목 주변의 다양한 구조물(예: 턱뼈, 중이골, 편도 등)로 분화된다.이러한 배아 발생 과정의 유사성은 발생학적 상동성(embryological homology)으로 간주되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척추동물이 물고기와 같은 수생 생물로부터 진화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거이다. 다시 말해, 인간의 몸속에도 물고기 조상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이는 진화가 단절이 아닌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임을 보여준다.이러한 아가미궁은 95%의 비율로배아단계에서 사라지지만남은 5%는 흔적을 고스란히 가지고 태어난다.1950년대, 발생생물학자 존 샌더스(John Saunders)는 초기 배아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실험적 발견을 하였다. 그는 조류의 배아에서 날개 형성에 관여하는 특정 부위, 즉 지아(ZPA, Zone of Polarizing Activity)라 불리는 조직을 다른 부위에 이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그 결과, 이식된 부위에서 정상적인 날개와 대칭되는 추가적인 날개 구조가 형성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지아가 사지의 축 방향 형성(axis formation), 특히 앞뒤 방향(anterior-posterior axis)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였다.비록 지아는 극히 소량의 세포 덩어리에 불과했지만, 이 조직이 내는 신호 전달 물질(morphogen)이 주변 세포의 운명을 결정짓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 지아가 분비하는 물질이 Shh(Sonic Hedgehog)라는 신호 단백질임이 규명되며, 손가락이나 발가락과 같은 사지 말단 구조의 패턴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이 발견은 소수의 세포 집단이 어떻게 전신의 형태를 설계하고 조절하는지를 보여주는 고전적인 사례로, 현대 발생학 및 재생의학의 기초를 세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Shh 유전자는 쥐, 닭은 물론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도 보존되어 있으며, 이 유전자가 생성하는 신호는 사지의 전후 방향(anterior-posterior axis)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진화적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Shh는 단순한 지느러미 구조에서 복잡한 사지 형태, 나아가 인간의 손과 발로 이어지는 형태발생(morphogenesis)의 분자적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수생 척추동물에서 육상 척추동물로의 전이를 가능케 한 핵심 유전적 요소로 간주된다.번외로 딸꾹질 역시 물고기였던 증거라고 볼수있다.물속에서 숨을 쉴 때, 물이 아가미로 잘 들어가도록 성문을 닫고 횡격막과 유사한 근육을 수축시키는 반사작용을 보이는데이 과정은 딸꾹질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다특히 인간 뇌간에 남아 있는 원시적 신경 회로가 이를 유발한다고 보고, 일부 과학자들은 딸꾹질을 지느러미가 있던 조상의 유물 같은 반사작용으로 간주한다요약하면, 딸꾹질은 인간이 물에서 시작된 생명체였다는 진화의 흔적일 수 있다.과학자 닐 슈빈, Your Inner Fish은 딸꾹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딸꾹질은 초기 어류 또는 양서류의 호흡 반사가 인간의 뇌간(brainstem)에 남아 있는 진화적 유산이다.”- dc official App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