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착생난초 비료랑 수질에 관해서 몇마디 써봄

화분노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1 21:13:08
조회 2817 추천 12 댓글 19
														

3dbcc02eecdd28a36ab6daa01b9f33382270ea09581cbde382e6acb44ffb



국내에는 유독 난초 비료에 관해서 좋은 자료가 없음. 사실 비료뿐만이 아니고 난초 전반에 대해서 온라인상에는 좋은 자료가 거의 없음 ㅋㅋ.....

난초 키우는 사람들이 한줌단이고 대부분이 나이많은 세대라 그런가봄




난초 얘기는 아니지만 모든 식물에 통용되는 비료 사용의 몇가지 원칙을 짚고 넘어가자.


1. 비료는 성장기에만 준다. 자고있을때 줘봐야 아무런 효과도 없다. 

2. 비료는 빛, 물, 기타등등을 대체할 수 없다. 그것들의 문제를 비료로 해결하려고 하지 마라.

3. 비료는 연하게 꾸준히 주는게 강하게 한번 주는것보다 낫다.

4. 비료는 사용 여부가 비율보다 더 중요하다. 목적에 전혀 맞지 않는 비료라고 하더라도 아무것도 안주는 것보다는 낫다.






그래서 난초 비료는 어떤걸 어떻게 써야하냐? 

사실 어려울건 하나도 없기는 한데 이걸 다 설명하려고 하면 상당히 길어짐. 궁금한 사람들이나 대충 읽어보셈.





1. 물과 농도

착생란은 흙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식물들이 아니다. 바위 틈이나 나무껍질이나 뭐 이런데다 뿌리로 달라붙어서 살아가는 식물들임.

착생란의 뿌리가 평소에 받아들이는 물은 그냥 빗물이니까 거의 순수한 물이고 양분이 거의 없음.

그렇기 때문에 착생란의 뿌리는 뭔가가 많이 녹아 있는 물을 받아들이질 못함. 그런 물에 장시간 노출되면 삼투압때문에 뿌리에서 반대로 물이 빠져나가서 상하게 됨.

그러니까 착생란의 경우에는 물이 순수하면 순수할수록 좋음.




물이 얼마나 순수한지를 알아보는 척도는 TDS임. TDS미터기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음.

반다류는 500ppm 이하, 카틀레야를 비롯한 대부분의 착생란은 300ppm 이하,

마스데발리아 또는 르판데스 등의 고산지 운무림 착생종은 100~150ppm 이하가 적당함.




그러면 비료만 300ppm만큼 타서 주면 괜찮냐? 그건 아님.

왜냐하면 수돗물의 TDS가 0이 아니기 때문. 국내 수질은 매우 양호한 편으로 대부분 지역이 50~150ppm 사이임. 유럽쪽에선 그냥 수도꼭지 틀면 1500ppm 기본으로 깔리는 곳도 있는데 그거에 비하면 선녀다.

수돗물의 TDS를 0에 가깝게 낮추기 위해서는 RO/DI 필터가 필요함. (그래도 0은 아니고 보통 1~2ppm정도 나옴.)




식재 방식에 따라서도 비료를 다르게 줘야 함.

수태, 특히 우리나라처럼 수태를 꽉꽉 압축해서 심는 경우에는 비료를 아주 연하게 줘야함. 왜냐하면 수태를 꽉꽉 눌러서 심으면 사실상 플러싱이 불가능함. 

Flushing은 맹물로 비료기를 씻어내는 걸 말하는데, 수태를 꽉꽉 눌러서 심으면 물리적으로도 씻어내는게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CEC도 겁나게 높아서 화학적으로도 불가능함.

그래서 한번 비료를 주면 그걸 난초가 다 쳐먹을 때까지 없어지지가 않는데, 난초는 다들 알다시피 느림. 그래서 무턱대고 비료를 주면 빠른 속도로 수태 안에 축적되게 됨.

그러다가 비료기가 임계점을 넘어가면 뿌리가 다 상하게 되는거임.

바크는 수태에 비해서 과비 피해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움. Flushing이 간편하고 애초에 CEC자체도 수태만큼 높지가 않아서. 그래서 비료를 좀더 편하게 쳐도 괜찮음.





2. 비율과 질소의 형태

난초용 비료의 NPK비율을 설명하기 전에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비료는 사용 여부가 비율보다 더 중요하다" 라는거임.

13-3-15든, 6-40-6이든, 20-20-20이든 간에 적당한 농도로 사용하기만 하면 안 쓰는것보다 좋다는 얘기임.

저 세개 사이에 가정 취미가 수준에서 유의미한 식물 생장의 차이가 있을까? 1도없음. 최소한 비료를 쓴 식물과 안쓴 식물간의 생장 차이보다 훨씬 적음.

왜 그런건지 궁금한  사람은 Liebig's law of the minimum 검색해서 찾아보면 됨.

그러니까 그냥 지금 자기가 가지고 있는거 연하게 희석해서 쓰면 됨.




그건 그렇다고 전제를 깔아 놓고...그래도 가장 좋은 비료를 하나 꼽자면 어떤 비료냐 하면

모든 질소질이 질산태질소인 비료가 가장 좋음. 암모니아태질소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고농도의 암모니아태질소는 착생난초 뿌리에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좋지않음.

아쉽게도 그런 비료는 내가 알기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지 않다.


근데 적당히 잘 희석해서 쓰면 암모니아 좀 들어가있어도 별 상관 없음. 위에서도 말했듯이...그냥 아무거나 써도 괜찮음.

우리아빠 30년째 피터스 20-20-20 비료 하나가지고 풍란 잘만 키우고있음.




인산질은 높지 않아도 상관이 없음.

인산 높아야 꽃 피는거 아닌가요 할 사람 분명히 있을텐데....정상적으로 잘 키우면 인산 높은 비료 없어도 정상적으로 꽃 잘 핌.

그리고 어거지로 인산 높여서 개화유도하는거 별로 건강한건 아님. 한번 쓰고 버리는 DP용 난초에나 쓰는거지...




그래도 비료 제품을 꼭 하나 추천해달라고 한다면

10


...

MSU rainwater formula(13-5-15) 쓰는 제품이 해외쪽에서는 좋다고 많이 얘기 함.

국내엔 유통 안되는걸로 알고있고 해외직구 해야함. 여러 업체에서 지들 이름 달아서 파는데 다 똑같은거임.

사실 난초용으로 개발된 포뮬라는 아니고.....미시간주립대에서 빗물(증류수, 순수한 물)에 녹여서 사용할 비료를 만들었는데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난초에게 주는 물은 순수하면 순수할수록 좋기 때문에 그냥 난초랑 잘 맞았을 뿐임. 직접 써보니 효과도 좋고 해서 난초 비료의 gold-standard가 된거.

단! 반드시 희석하는 물의 TDS가 낮아야 한다. 국내 수돗물 정도면 큰 문제 없을거임.

사실 나도 안써봤음 ㅋㅋ 직구하면 나도 좀 줘



르판데스같은 pleurothallidinae 난초 키울거면 RO/DI필터+직구한 MSU rainwater formula 쓰는걸 추천함.

얘네들은 서식지가 강우량이 엄청나게 높기 때문에 양분이 다 씻겨 내려가는 환경에서 진화해왔기 때문에 고농도의 비료를 특히 버티기 힘들어함.






1줄요약

자기가 갖고있는거 300ppm 정도로 희석해서 써라. 수태에 심어놨으면 그거 반으로 희석해서 써라.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2

8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예능 출연 한방으로 인생 바뀐 스타는? 운영자 25/02/03 - -
852706 문샤인 맛상게니아 초보자 도와주세요 ㅠㅠ [2] 식갤러(125.242) 02.02 104 0
852704 우리집 다 잘되믄데 미바가 잘 안되거든 [2] ㅇㅇ(58.230) 02.02 125 0
852702 아아 임은 가네요 [3] 슈퍼너드_리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6 0
852701 에피스시아는 목대가 굵어야 낮은 습도에 버틴다는데 식갤러(39.7) 02.02 99 0
852700 디시가 광고하기가 좋음 [1] 슈퍼너드_리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3 0
852699 광고 원래 이렇게 많았었나? [3] ㅇㅇ(110.70) 02.02 108 0
852696 식갤보면서 키울 맘 접은 식물 [10] Evergre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00 3
852694 트리아네 신아 [2] 프라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3 0
852693 떡갈고무나무를 주문했는데 이게 왔어요.. 이거 떡갈맞나요? [4] 식갤러(112.152) 02.02 141 0
852688 괴상한 꽃 [6] 화분노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83 0
852685 버드나무 가지주워도 삽목됨? [8] 리파리움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28 0
852683 떡갈고무나무 [1] 12321(211.235) 02.02 105 0
852675 밤비노 자구캣당 [2] 리비키스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48 0
852669 요즘 당근에 식물 잘 안올라오고 안팔리던데 [8] 수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48 0
852668 블루베리나무 베란다에서 키우기 어떰? [4] ㅇㅇ(1.248) 02.02 116 0
852667 삽목 첫경험했다.. [2] 식갤러(115.161) 02.02 160 0
852661 필립스 식물등으로 커버되는 범위 어느 정도냐?? 슈퍼너드_리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96 0
852660 핑크의 아름다움을 모르는 당신들이 불쌍해 [2] 식갤러(39.7) 02.02 262 1
852659 아랄리아 똑단발cut [4] 동물동물열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17 2
852648 플로리다 고스트 새잎 나왔당... [3] 식갤러(107.190) 02.02 183 1
852647 다이소에서 방토 키우기를 샀는데 이거 곰팡이인가요? [2] 식갤러(112.154) 02.02 227 1
852645 등커버 없는 식물등 쓰면 눈 안아픔요? [5] german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38 0
852644 응애는 농약쳐야만 박멸되나요? [8] 식물늅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46 0
852640 얘들은 이름이 뭔가요!? [8] 겨울잠쥐의미라클모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13 0
852637 급함))이풀 뭔지 아시는분.._ [5] ㅇㅇ(61.101) 02.02 222 0
852636 덴드로비움 식재할때 질문있는데요 ㅇㅇ(211.234) 02.02 114 0
852635 엔젤 스킨 키우는 고수님들ㅜㅜㅜ [1] 식갤러(220.123) 02.02 171 0
852634 철쭉분재 자랑해 (분재키우기 꿀팁) [4] 식갤러(58.29) 02.02 250 3
852633 제주애기모람 같은 식물 추천좀 [6] 돌아보린도르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82 0
852631 아름다운 여행 식갤러(27.120) 02.02 153 0
852630 고수님들 제발 도와주세요.. [9] 식갤러(121.128) 02.02 240 0
852627 고무나무 잎이 우수수 떨어졌어요 식갤러(58.78) 02.02 156 0
852626 중고와 새거 [5] 망고딸기귤참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03 0
852624 명절때 할머니집 가서 한일 [4] 개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57 1
852623 마틸다 꽃폈어 [10] 망고딸기귤참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91 2
852622 아프리카 식물 얘 이름 머야 [9] 식갤러(222.110) 02.02 273 0
852621 이상한거 자랐어요 [2] 식갤러(61.82) 02.02 170 0
852620 안녕하세요 8일뒤 군대가는 뉴비 입니다 (천리향 관련 질문) [7] ㅇㅇ(106.101) 02.02 196 0
852619 기다리던ᆢ [6] 쩡이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66 2
852618 글로보사 데려왔어 [6] 읽음(211.235) 02.02 182 2
852616 그락실리우스 / 마카엔세 구분 가능? [11] 식갤러(211.235) 02.01 199 3
852615 우리애 신엽 무늬 좀 봐봐 [9] 아기별집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92 3
852614 아이린페페 이거 과습이 원인이죠? [5] 식갤러(116.32) 02.01 146 0
852610 서양난 질문이요 [9] 식갤러(211.234) 02.01 153 0
852609 이거 스킨답시스 실버크라우드 맞나? [3] 식갤러(118.235) 02.01 164 0
852606 아프리카 원산 수선화과 구근식물을 사랑하는 사람 찾음 [7] 후추(211.46) 02.01 180 0
852604 보석금전수 질문 있슴니다 [6] 돌아보린도르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47 0
852602 픽텀컬러 원래 이렇게 잎이 많이 달려? [4] 바다소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57 0
852601 해먹은 안스에도 봄은 오는가 [4] 피나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71 1
852600 아레카야자 수경으로 하면 잎쪼그라듬 회복 가능할까요? [3] 식갤러(221.146) 02.01 145 0
뉴스 파우, ‘김미 러브’ 타이틀 포스터 추가 공개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