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대외비를 포함한 100GB 분량의 데이터가 언론에 공개됐다. 전직 테슬라 서비스 직원이 빼낸 해당 데이터에는 일론 머스크 CEO를 비롯한 전·현직 직원 10만 명 이상의 민감한 정보도 담긴 것으로 전해져 충격을 준다.
이에 이들의 허술한 보안 시스템이 다시 한번 도마에 오른 것은 물론이며 그간 이들이 고객 불만에 대처해온 태도 또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적절한 내용으로 여겨질 소지가 다분한 내용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글 이정현 기자
사진 출처 = ‘The Intercept’
결함 관련 고객 클레임 위주 급발진 의심 증상만 2,400건
독일 경제 전문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는 테슬라에서 서비스 직원으로 일했던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사내 내부 정보가 담긴 파일을 전달받았다고 보도했다. 해당 자료는 지난 2015년부터 2022년 3월까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시장 고객들이 제기한 불만 사항이 주를 이뤘으며, 한델스블라트는 프라운호퍼 보안 정보기술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Security Information Technology)를 통해 파일의 진위 여부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15만 건의 가속 및 제동 관련 클레임 중 급발진 의심 사례만 약 2,400건에 달한다. 이뿐만 아니라 주행 중 갑자기 급제동하는 팬텀 브레이크, 완전히 멈춰버리는 팬텀 스톱 사례도 1,500건가량 보고됐다. 이 중에서는 “레이스카처럼 급발진하면서 주차장 벽을 들이받고 에어백이 터졌다”, “차량 혼자 갑자기 급제동해 후행 차량이 추돌했다”와 같은 구체적 사례와 수십 차례 이상 제동 결함이 반복됐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사진 출처 = ‘Clean Technica’
사진 출처 = ‘National Herald’
소극적 대응 지시한 테슬라 언론사에 위협 가하기까지
클레임을 제기한 고객들에게 테슬라가 어떤 태도로 응대했는지도 밝혀졌다. 이들은 일반적인 불만에 관해서는 기술적 검토를 이유로 적극적인 대응을 미루도록 했으며, 각 사안의 조치 내용이 담긴 내부 보고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경고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고객 상담 시 근거가 남지 않도록 메신저를 가급적 피하고 구두로 처리할 것을 지시한 사실도 드러났다.
한델스블라트는 입수한 자료를 토대로 불만을 제기한 차주들과 접촉해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 결과 해당 자료에 관해 어떠한 조작의 증거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고객과 접촉해 입수한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한 후 이를 공개하려고 하자 테슬라가 정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압박하고 법적 조치 등 위협을 가한 사실도 함께 보도했다.
사진 출처 = ‘Electrek’
허술한 보안 수준 드러났다 고객 민감 영상 공유하기도
유출된 내부 정보에는 10만 명 이상의 전·현직 직원 연봉과 은행 계좌, 일론 머스크 CEO의 사회보장번호까지 포함돼 논란이 됐다. 평범한 서비스 직원이 민감한 정보에 접속할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한 보안이 들통난 셈이다. 테슬라는 이번에 유출된 내부 정보로 인해 미국 NHTSA에서 진행 중인 오토파일럿 결함 조사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독일에서는 데이터 보호 의무 위반 혐의로 거액의 과징금이 부과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첨단 이미지로 브랜드 가치와 충성 고객을 끌어낸 테슬라는 불과 한두 달 전에도 보안 문제로 논란의 중심이 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의 7일(현지 시각) 보도에 따르면 직원들이 고객 차량에 내장된 순정 카메라에 찍힌 민감한 영상들을 회사 내부 메신저로 공유해 왔다. 이들이 공유한 영상 중에서는 빠른 속도로 주행하던 차량이 자전거를 탄 어린이를 치는 사고 영상, 나체로 차량에 접근하는 차주의 모습이 촬영된 영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