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FC 온라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FC 온라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빈자의 조기경보기 이야기: 이라크 우희힝
- 비비고 개발자 임원 안 시켜줘서 개빡친 노희영 ㅇㅇ
- 러브라이버 친구인줄 알았는데 사이비종교였다..html 오오니시아구리
- 뉴진스 데뷔할때 예측한 사주풀이 ㄷㄷ 걸갤러
- 보통 햄스터보다 2배 큰 먹방 인플루언서 골든햄스터 감돌
- 펌) 일본의 미래 예언 만화가가 최근 다시 주목받는 이유 ㅇㅇ
- 아니 블아 이거 존나 웃기네ㅋㅋㅋㅋ baseson
- 깜짝... 집이 불탔는데 해지하려면 위약금 내라는 통신사...jpg 칠삼칠삼
- "컥컥" 숨막힌 위급상황.. 형들이 아이안고 뛴 곳은 마스널
- 허구연 총재 nc파크 현장에 있었다 ㅇㅇ
- 카레 플레이팅에 발작하던 우리 갤주님 백갤러
- 하네카와 하스미 프라모델 제작기 양산형아메바
- 오늘의 이정후.webp 푸이그
- 20억대 아파트 대출 없이 샀다는 18세 정동원 와 영앤리치 부럽다... ㅇㅇ
- 애 낳으면 절대 일 안할거라는 여자친구.blind ㅇㅇ
마비노기 모바일이 갓겜인 이유.TXT
1. 과금 안해도 메인스토리 안막힘2. 과금 안해도 무게 초과 신경 안써도됨3. 과금 안해도 무기 저주 해제 가능4. 과금 안해도 아이템 자동줍기 가능5. 과금 안해도 거래소용 재화(데카) 수급가능6. 성공 확률 유료재화 개입 없음(촉매 무료수급 가능)7. 강화 실패시 템증발 없음8. 현금 쏟아붓는다고 장땡 아님(은동전, 마석 구매제한)9. 아인하사드(유료 경험치상승벞) 요소 없음10. 명중 없음11. 도감작 없음12. 부활은 누구든 하루3번까지만 무료13. 사망 시 부활해도 패널티 없음이거말고도 훨씬 많은데진짜 리니지라이크랑 비교하면 그저 장점밖에 없는 갓겜 ㅇㅈ?- 근데 게임 bm 존나 의외긴 했음 ㅋㅋ은화 차는 꼬라지봐라 어디에 또 패키지로 은화쳐팔고있겠지 <- 없음룬합성? ㅋㅋ씨발 백프로 특정등급부터 캐시템 필수로 요구하겠노 <- 없음아씨발 룬 실패확률있네 실패하면 사라지겠지? <- 안사라지고 저주붙고 끝하씨발 저주붙으면 이거푸는데 또 돈지랄존나해야겠네 <- 천개단위로남아도는 잡템찔끔먹고 끝재료생산시간보소 백프로 캐시단축있겠노 ㅋㅋㅋ <- 없음와씨발 에픽아바타 전설아바타 전설펫 꼬라지봐라 스텟도붙은게 천장까지 애미뒤졌노 <- 스텟효율 좆만해서 진짜룩딸원툴임이거 백프로 돈들겠다싶은게 돈안처먹음 - 와 갤럭시 지표 역주행 하는겜 첨본다첫날 8.71만에서 떨어지면 쭉쭉 떨어졋지 역주행 한 경우는 또 첨 - dc official App- 모비노기 전체 서버 유저수와 분포도 (25.04.01)공홈 랭커들의 랭킹 변동폭을 확인하면 대략적인 유저 수를 추측가능랭킹 50위권 ~ 100위권 유저들을 참고했으니 오차는 +- 50 안팎입니다.전 서버에 생성된 캐릭터의 개수 : 45만 이상
작성자 : ㅇㅇ고정닉
부자들만 더 부자 되는 한국…불황에도 '억대 연봉' 수두룩.jpg
어서 오세요. 요즘 경기가 "어렵다 어렵다" 해도 억대 연봉을 주는 기업들이 많아졌다고요?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 중 절반이 넘는 55개 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겼습니다.이렇게 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직원 평균 연봉 1억 원이 넘는 소위 '1억 원 클럽'에 가입한 매출 100대 기업은 2019년에는 9개밖에 안 됐습니다.불과 5년 전이죠.그런데 이게 2020년에 12개로, 2021년에 갑자기 2배 가까이인 23개까지 늘어나더니, 2022년에 35개, 2023년 48개, 지난해 55개로 매년 늘고 있습니다.2019년에 비해 그 수가 6.1배 늘었습니다.지난해에는 새롭게 7개 기업이 늘어났는데요.현대 글로비스가 딱 1억 원을 맞췄고요.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삼성전기, KT&G 등이 포함됐습니다.이렇게 평균 연봉이 1억 원이 넘는 기업 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더 심화되는 게 아닌가 걱정인데요.지난해까지 고물가가 계속되면서 대기업 임금은 계속 올라가는 동안 중소기업 임금 상승폭은 크지 않아서 임금 격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양극화가 심해지지 않도록 임금상승과 함께 생산성을 높이는데 더 신경을 써야겠습니다.방금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등 이름이 몇 개가 나왔었는데, 우리가 이름을 알고 있는 기업들은 웬만큼 다 1억 원을 넘겼다고 봐도 되는 거죠?그렇습니다. 특히 매출 톱 10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은 이제 1억을 넘느냐보다 1억 얼마냐에 더 관심이 가겠죠.먼저, 삼성전자가 1억 3천만 원을 기록했고요.현대차가 1억 2천400만 원, SK하이닉스가 1억 1천700만 원이고요.SK이노베이션과 포스코 홀딩스, HD현대가 1억 5천만 원에 가까웠습니다.기업 형태별로는 지주회사의 직원 평균 연봉이 자회사보다 높았습니다.당연히 지주회사에는 자회사보다 임직원 수가 적고, 임원비중이 높기 때문에 나온 결과죠.LG를 예로 들어보면, LG의 직원 평균보수는 1억 8천700만 원이었는데요.LG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은 1억 1천만 원대, LG화학은 1억 원대,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은 1억 원 아래를 밑돌았습니다.직원 62명 중 미등기 임원 수가 20명이나 있는 CJ 같은 경우는 1인 평균연봉이 8억 600만 원으로 집계됐는데요.이는 자회사인 CJ제일제당의 8천200만 원보다 10배 가까이 많은 액수입니다.미등기임원의 평균연봉은 21억 4천800만 원인데요.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직원들의 연봉도 2억 원을 넘었습니다.업종별로는 정유·가스 등 에너지 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직원 연봉을 기록했는데요.S-OIL과 SK이노베이션, E1 등이 각각 1억 5천400만 원과 1억 5천800만 원, 1억 2천만 원이 나왔습니다.반면 유통 식품기업들이 이들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연봉을 기록했는데요.이마트가 4천100만 원, 롯데쇼핑이 5천25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우리가 알만한 이런 대기업에 일하고 있다면 이런 돈을 받을 수 있겠지만, 요즘 기업들이 채용도 줄이고 관련 비용도 같이 줄이고 있잖아요. 특히나 청년층 비정규직은 더 힘들어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고요?청년층 비정규직 근로자 3명 중 1명만 3년 후 정규직 근로자로 일하고 그 비율이 갈수록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입니다.과거 2005년에는 비율이 절반 정도까지는 나왔는데요.2010년 이후 점점 떨어지면서 3명 중 1명으로 나온 겁니다.그나마 청년층, 그러니까 25살부터 34살까지가 그 정도고요.35세에서 59세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는 7~8명 중에서 1명 만 3년 후 정규직 근로자로 일했습니다.질 좋은 일자리 수에서도 차이가 났습니다.대기업과 정규직을 소기업 비정규직 보다 선호하지만 오히려 후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2016년부터 2023년까지 중소기업 일자리는 총 253만 개 늘었지만 대기업 일자리는 29만 개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또 청년층 근로자가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 일하다가 300인 이상 사업체로 이동하는 비율도 떨어졌는데요.이렇게 좋은 일자리 찾는 것도 힘들어지고, 이동도 힘들어지는 게 양극화를 더 심하게 하고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