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친환경 비즈니스, 정부에서 스타트업까지 ‘공감’ 넘어 ‘공생’의 단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15 18:38:23
조회 91 추천 0 댓글 0
[IT동아 김영우 기자] 기업이 이용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RE100’ 프로젝트, 경제활동 중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줄이거나 흡수해 결과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0로 한다는 ‘탄소중립’, 그리고 단순한 재무적 성과를 넘어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개선까지 반영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는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등의 용어가 어느새 익숙해졌다. 그만큼 친환경과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자리잡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시스템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제26회 국무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과 국무위원들 (출처=대통령실)



이와 관련해 지난 5일, 환경의 날을 맞이해 대한민국 정부가 내놓은 메시지는 눈길을 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SNS를 통해, “올해는 유엔이 세계 환경의 날을 지정한 지 5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라며, “지구촌의 일원이자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으로서 온실가스 감축과 탈플라스틱을 위한 정책을 다각도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과 ‘탈플라스틱’을 강조한 것이 인상적이다. 실제로 윤석열 대통령은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임기내 1/3 수준으로 감축하는 한편, 과거 재활용이 어려웠던 쓰레기까지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상표나 뚜껑 등의 분리배출이 어려운 쓰레기의 불편을 해소하고 폐플라스틱을 원료나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환경 공약을 대선기간 중 발표한 바 있다.

과거의 친환경이 단순히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혹은 개인적인 공명심을 드높이기 위한 캠페인에 가까웠다면, 현재의 친환경은 실질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모했다. 정부의 환경 관련 메시지 및 정책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 및 규모의 기업이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투입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삶도 변하고 있다.

대기업인 SK텔레콤의 경우, 각종 카페 및 음식점에서 이용하는 일회용 컵의 폐기량을 줄여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해피해빗’ 프로젝트를 작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는 SK텔레콤 사내는 물론, 카페나 공항을 비롯한 공공장소에 다회용 컵 사용을 권장하는 한편, 사용한 컵을 편리하게 반납하고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무인 반납기를 곳곳에 설치해 참여율을 높이고 있다.


해피해빗 프로그램을 위해 설치된 다회용 컵 무인 회수기 (출처=SK텔레콤)



무인 반납기에는 지정된 컵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되며, 이용 고객은 전용 모바일 앱을 통해 제휴 카페 및 무인 반납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피해빗 프로젝트에 참여해 돌려받은 보증금을 통해 에코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를 현금으로 돌려받거나 각종 이벤트에 참여 자격을 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현재 제주도 내 카페 및 대학 등에 31개의 컵 회수기를 설치, 250만개에 달하는 일회용 컵 사용 절감 효과를 냈으며, 올해 안에 서울 주요 지역에도 수백 개 이상의 회수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견업체들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식품 유통기업 마켓컬리는 지난 2019년부터 스티로폼 상자나 비닐 파우치 등의 포장재를 완전히 걷어내고 재활용이 가능한 100% 종이 재질의 포장재만을 이용하는 ‘올페이퍼 챌린지’를 발표해 지금까지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단순히 상자만 바꾸는 것을 넘어 테이프와 같은 부자재 역시 종이 재질로 바꿨으며, 아이스팩의 내용물 역시 100% 순수한 물 성분으로 채운 것을 제공한다.


마켓컬리의 ‘컬리 퍼플 박스’ (출처=마켓컬리)



2021년 중순에는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한 ‘컬리 퍼플 박스’를 도입했다. 이 박스는 보냉력이 우수하면서 휴대와 보관이 간편한 것이 특징으로, 아이스팩 및 박스를 비롯한 포장재의 사용량까지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고객이 집 문 앞에 컬리 퍼플 박스를 내놓으면 배송 기사가 여기에 제품을 담아주며, 개당 1만 5,000원에 유료 판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시 반년만에 20만개 이상이 판매되는 성과를 냈다. 컬리 퍼플 박스 서비스 도입을 통해 종이 박스 445만개를 절감하는 효과를 봤다고 마켓컬리는 지난 4월 밝혔다.

친환경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스타트업의 도전도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이미 기존에 자리잡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답습하기 보다는 기존 기업의 친환경 비즈니스에 발맞춰 이를 가속화하거나, 친환경 요소를 새로 도입하고자 하는 전통적 기업의 행보를 지원하는 협업 비즈니스 모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친환경 포장재 플랫폼을 선보인 ‘칼렛바이오’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 회사는 포장재 생산시설은 있으나 친환경 관련 제품 디자인이나 판로를 갖추지 못한 제조사들과 특허를 공유하는 등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포장재를 생산하는 한편, 맞춤형 친환경 포장재 전문 온라인 주문 플랫폼인 ‘칼렛스토어’를 통해 친환경 포장재가 필요한 기업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플라스틱 테이프 사용이 필요 없는 친환경 포장재 ‘에코날개박스’, 재활용성이 우수한 보냉/보온/완충 포장재 ‘칼렛에어’ 등은 칼렛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는 대표 제품이다.


칼렛스토어 대표 제품 중 하나인 ‘에코날개박스’ (출처=칼렛바이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포장재 제조사는 제품의 제조 및 생산 설비 구축에 힘쓰면서 신제품 개발이나 판로개척 등에 들어가는 비용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포장재 수요 기업은 자사의 친환경 비즈니스에 필요한 맞춤형 포장재를 온라인 비대면 주문을 통해 빠르고 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조사 생산 제품별 실시간 견적 계산기 및 전국단위 실시간 화물 책임 배차 서비스도 제공되므로 각 기업의 원활한 역할분담 및 효율적인 진행을 기대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바이오 플라스틱 기반 제품에 적용되는 ’스텝 포 넷 제로’ 마크 (출처=칼렛바이오)



그 외에도 칼렛바이오는 화학 원료 기반의 기존 플라스틱 대비 탄소배출 저감 효과가 뛰어난 바이오 플라스틱 기반의 포장재도 공급하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일반적인 포장재 외에 사출용기, 빨대, 숟가락, 쇼핑백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칼렛바이오 및 파트너사들은 이러한 탄소중립 행보를 상징하는 ‘스텝 포 넷 제로(STEP FOR NET ZERO)’ 마크를 선보였으며, 소비자들은 이에 동참하는 기업들의 친환경 제품에서 해당 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현상과 관련, 칼렛바이오 권영삼 대표는 “정부는 물론,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비롯한 산업계, 그리고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행보가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실질적 이득이 된다는 공감대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위한 협력과 공생관계가 한층 본격화될 것”이라 “친환경 비즈니스에 관심은 있으나 관련 경험이나 노하우가 부족한 기업들을 위한 플랫폼과 서비스, 그리고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인증 마크 등의 요소가 한층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주간투자동향] 콘랩컴퍼니,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스케일업] 부엔까미노 (3) 팀장클럽 “소비자 곁에서 재미와 정보 주는 금융 도우미”▶ [홍기훈의 ESG 금융] 재무분석의 대가, 다모다란 교수가 지적한 ES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429 [스케일업] “스스로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7 0
1428 中 배터리 파상 공세에 국내 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꺾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44 0
1427 스마트 오피스의 완성은 책상, '모니터 암·모션 데스크'가 떠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12 0
1426 호주·미국 단합에 중국 희토류 패권 흠집··· '사이버 공격에 여론 조작도 시작'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955 11
14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뉴로서킷 “탈모 관리 습관의 모든 것, 바야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08 0
1424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부 -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즈니스 가치를 높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16 0
1423 상위 1000대 제조사 150곳 "자사 공급망 경쟁력 점수는 58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6 0
1422 계정 하나로 여러 이메일 주소를? '별칭' 활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741 0
1421 [뉴스줌인] aptX 어댑티브 지원 블루투스 동글, 무엇에 쓰는 물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62 0
1420 탈레스 "늘어나는 보안 솔루션, 휴먼에러 피하려면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8 0
1419 1형 센서, 2억 화소...하반기 ‘괴물’ 카메라 스마트폰 온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2636 0
1418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사업은 더 살기 좋은 집 위한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2 0
1417 [주간투자동향] 팀프레시, 1,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205 0
1416 카비 “비즈니스 노트북, 엔드포인트까지 철저한 보안 시스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3 0
1415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59 0
1414 [리뷰] 캠핑족을 위한 고성능 빔프로젝터, 벤큐 GS50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147 2
1413 ‘마이브’ 차주에게 물었다…초소형 전기차 타보니 어때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77 0
1412 [김 소장의 ‘핏(FIT)’] 우리나라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추모비가 있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703 0
1411 [농업이 IT(잇)다] 더루트컴퍼니 “감자와 함께 강릉의 대표 로컬 브랜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4 0
1410 [리뷰] ‘터프’하게 쓰는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티렉스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35 0
1409 삼성전자, TSMC 추격 고삐 당겼다…‘GAA 기반 3나노’ 양산 공식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24 0
1408 아직도 있었어? PC통신 추억담은 ‘유니텔’, 오늘부로 서비스 완전 종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46 0
1407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6 불붙은 창문형 에어컨 시장··· 주목받는 이유와 올해 신제품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930 5
1405 LG전자, SM 손 잡고 피트니스 시장 공략…"2025년까지 매출 5000억 목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103 0
1404 스마트 상점 주문·결제·배달 앱 ‘주문통합 솔루션’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3 [모빌리티 인사이트]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의 시대는 열릴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253 1
1402 “스타트업 성공을 원한다면, 10년 후 오를 에베레스트 정상에 집중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22 0
1401 ‘ESG’, ‘친환경’에 고민 큰 중소기업들, 돌파구는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80 0
1400 [리뷰] '온 몸을 움직이며 VR을 즐겨라'...피코의 VR헤드셋 네오3 링크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192 0
1399 원격 근무가 일상이 된 사회,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NAS'가 떠오른 이유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681 3
1398 [리뷰] VR 세계로의 초대장, 인스타360 원 RS 1인치 360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98 0
1397 5배 빠르다는 와이파이7, 2024년 상용화 앞두고 관련 솔루션 속속 등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864 1
1396 토스뱅크 가입자 360만명 돌파…내달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65 0
1395 체이널리시스 "가상자산 산업의 성장 투명성과 신뢰에 달려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7 0
1394 [김 소장의 ‘핏(FIT)’] 고인의 디지털 정보, 유족에게 전달해야 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25 0
1393 NHN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앞세워 2026년 '매출 8천 억'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0 0
1392 [IT애정남] '시크릿 모드'로 인터넷 해도 비밀은 없다?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7008 11
1391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4부 - 충성 고객을 만들어내는 소통 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97 0
1390 IT 공룡 힘 합쳐 ‘메타버스 표준 포럼’ 발족, 애플은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9 0
1389 초고주사율 경쟁 돌입한 게이밍 모니터…꼭 필요할까?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2875 8
1388 [뉴스줌인] 인텔이 직접 만들어 파는 초소형 PC, ‘NUC’ 시리즈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75 0
1387 기업은 하나, 사용하는 RPA 제품은 여러 개?..."RPA 도입부터 효율적 운영 고민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86 0
1386 중국, 재생에너지 생태계 잠식...태양광 웨이퍼·잉곳 점유율 95% ↑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16 0
1385 전 세계 커버하는 '스타링크', 2023년에 한국 온다··· 효과와 파급력은?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4275 4
1384 스마트폰 이미지 센서 고화소 경쟁, 화질·편의 모두 잡는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820 1
1383 지문 찍어 맞춤 안마하는 'LG 힐링미 타히티’, 게임 체인저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56 0
1382 국내 대표 스타트업 양성소로 거듭난 SKT… “차세대 유니콘 후보를 찾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790 0
1381 [주간투자동향] 뽀득, 33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18 0
1380 "QR코드, 공식 앱 사용해도 피싱 주의해야"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2625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