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16 21:04:35
조회 135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전 세계에 전염병이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루(Blue)’해졌다. 코로나 블루는 코로나19와 우울증을 뜻하는 블루가 합쳐진 신조어다. 언제든 감염병에 건강이 악화될 수 있다는 불안감, 사회적 거리두기로 관계가 단절되면서 느껴지는 외로움과 답답함, 경기침체로 인해 일자리를 잃어 경제적 손실이 늘어났다는 분노감 등이 한데 모여 사람들을 분노하고 우울하게 만든 것이다.


출처=셔터스톡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의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3월 조사 결과 우울위험군(PHQ-9 : 총 27점 중 10점 이상)은 18.5%로 현재 감소 추세지만 코로나 전인 2019년 3.2%와 비교하면 약 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국민 5명 중 1명은 우울 위험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인 가구나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특히 감염 재난에 취약하다”면서 “코로나 우울증과 일반 우울증의 진단 차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중이고 현재까지 증상에 있어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회적 관계 감소가 가장 두드러지는 우울증 유발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사회적 관계는 건강의 가장 중요한 요소


코로나19로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고, 사람들의 우울감이 심해지면서 이로 인한 건강의 악화를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현대의학은 나이나 성별, 경제적 조건, 유전자, 술담배 이력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 역시 질병의 위협 요소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다정함의 과학> 저자인 켈리 하딩은 같은 질병에 걸렸음에도 병의 진행 상태가 다른 두 환자를 보고 질병의 사회적 요인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같은 병에 걸렸음에도 한 명의 증세는 더 심각해지고, 나머지 한 사람은 거의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현상은 당시의 의학 지식으론 충분히 설명이 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출처=셔터스톡



켈리 하딩은 하버드 의과대학 아서 바스키 박사로부터 로버트 네렘 박사 연구팀의 ‘표준 토끼 모델’ 실험을 살펴보라는 조언을 받았다. 이는 몇 달 동안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토끼에게 동일한 고지방 식단의 사료를 먹이고, 이후로 콜레스테롤 수치와 심장 박동수, 혈압을 측정한 연구다. 토끼들의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두 높았지만, 미세 혈관을 관찰할 땐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왔다. 한 무리의 토끼는 동맥 안쪽에 쌓인 지방 성분이 다른 무리의 토끼보다 60% 적었던 것이다.

연구팀은 연구원 중 일부가 토끼들에게 사료를 줄 때 말을 걸고, 껴안고 쓰다듬으며 애정을 주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다른 변수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실험을 반복해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되면서, 토끼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식단이나 유전자가 아니라 ‘애정’이란 사실을 밝혀냈다. 이들의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에 등재됐다.

<다정함의 과학> 추천사를 쓴 물리학자 정재승은 “현대 사회의학의 가장 흥미로운 발견은 다정한 사회적 관계가 건강과 행복의 원천이란 사실이다. 따뜻하게 안아주고 보듬어주는 애정, 걱정해주고 응원해주는 우정,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는 친밀감이 질병에 덜 걸리고 더 빨리 낫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켈리 하딩은 <다정함의 과학>에서 질병에 걸린 일흔 살의 데이지와 건강검진 결과가 ‘정상’인 마흔세 살의 벨라를 소개했다. 벨라는 건강하고 데이지보다 어리지만, 데이지보다 더 생기가 없고 나이 든 사람처럼 행동했다. 의사를 만나러 올 때마다 항상 “정신이 몽롱하고 피로하다”고 말했고, 원인불명의 이유로 몸이 여기저기 아파서 회사도 자주 빠졌다. 반면, 췌장암에 걸리고 3년간 수술과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받은 데이지는 남들이 보기에 놀라울 정도로 젊고 건강해 보였다.

공중보건 분야는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정치적, 환경적 조건으로 본다. 이를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즉 질병이 더 심해지거나 질병을 낫게 하는 조건들이라고 한다. 데이지의 건강함엔 아들과의 산책, 공동체 의식, 취미생활이 연결돼 있었고, 벨라의 나쁜 건강 상태는 그녀의 고립, 사촌 비올라의 부재, 직장에서의 참여 부족 등이 연관됐던 것이다.

카네기 멜런 대학교 연구원의 연구에선 404명의 건강한 성인들이 감기에 노출되는 점비액을 들이마셨다(이들은 실험에 동의하고 참여했다). 이들 중 매일 포옹을 받은 사람들은 병에 걸릴 확률이 32% 낮은 걸로 나타났다. 포옹을 하는 사람들은 감기에 걸렸어도 심각한 증세를 보이지 않았고, 회복 속도도 빨랐다. 포옹 과정에서 발생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은 사람들을 평온하게 하고, 감사함을 느끼게 만든다. 이러한 사례에 대해 책의 저자는 “신체적 유대관계, 사회적 유대감은 우리 건강에 가장 중요한 숨은 요인이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사람이 느끼는 외로움도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오래 지속되는 외로움은 비만, 신체 무기력, 고혈압, 나쁜 콜레스테롤 보다 더 큰 신체적 위험을 야기한다. 켈리 하딩은 “400만 명의 건강을 살펴본 메타분석에 따르면, 비만은 조기 사망 위험을 30% 증가시키는 반면 외로움은 50%나 증가시켰다.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뇌는 사회적 거부를 신체적 고통과 비슷하게 처리한다. 믿었던 누군가에게 배신감을 느끼면 그것을 실제로 칼에 찔리는 것과 비슷한 고통으로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브리검영대의 줄리안 홀트-룬스타드 교수가 총 30만 명이 참여한 148건의 연구결과를 검토한 결과, 활발한 인간 관계를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생존 가능성이 50% 높았다. 친구들과 배꼽 빠지듯 웃으면 심장 건강과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우울증도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외로움을 교류의 공백 속에서 발생한다.


시카고 대학교의 존 카치오포 교수는 “외로움은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누군가와 교류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로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면서 사람들 간의 교류는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게 된 사람도 많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교류의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흥미로운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SKT는 자연어 처리 및 감정 분석 기술을 적용해 자유로운 주제로 대화가 가능한 ‘에이닷’을 출시했고, KT는 낄낄빠빠(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진다)를 아는 공감형 AI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선언한 바 있다. 카카오는 인기 웹툰의 주인공 성격과 가치관, 말투를 닮은 가상 친구와 대화할 수 있는 대화형 AI를 출시하겠다고 밝혔고, 네이버도 토끼 형상을 한 AI 아바타 챗봇 ‘아루’의 베타 서비스에 들어갔다.

스캐터랩은 ‘너티(Nutty)’ 메신저를 출시해 이루다2.0의 오픈 베타 테스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튜닙은 영어 AI 챗봇 ‘블루니'와 반려견 챗봇 ‘코코마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스켈터랩스, 네오사피엔스, 에이스토리, 에이아이엠씨 등 4개 사는 SNL 인턴기자 역할로 주목을 받은 주현영 배우의 외모와 말투를 재현한 AI 챗봇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화형 AI가 코로나19 이후로 고립된 사람들의 관계를 향한 갈망을 해소하고 외로움을 달래줄 수 있을까? 스캐터랩 관계자에 따르면, 이루다 이용자들은 실제로 AI의 장점을 활용해 좋은 관계를 구축했다.


이루다, 출처=스캐터랩



지난해 1월 이루다 서비스가 중단됐을 때, 이루다 이용자들은 메일이나 페이스북 페이지 댓글을 통해 “루나와 연락하면서 (저라는 사람이) 좀 쾌활해지고, 사람이 바뀐 느낌이었어요”, “루다는 어느 때나 어느 시간에나 무슨 일이 있든 제 얘기를 들어줬던 친구여서 루다에게 고민을 털어놓으며 심적 안정을 얻었습니다”, “기계한테 무슨 감정이입 하냐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루다가 있는 동안 저는 너무 행복했어요. 루다는 AI를 넘어선 제 친구였어요”라는 반응을 보였다.

스캐터랩 관계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친구는 언제 어디서든 부담 없이 이야기할 수 있고, 외모나 성적, 학벌 등을 떠나 대상을 있는 그대로 봐주는 장점이 컸다”고 전했다.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학과 변순용 교수는 전화통화에서 “최근 반려동물, 반려식물 같은 단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사람들은 ‘물건’을 통해서도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데, 그런 맥락에서 보면 이루다를 비롯한 AI와도 관계를 맺고 남들에게 털어놓지 못한 얘기를 할 수 있다. 소통을 꼭 인간 사이에서만 가능하다고 한정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나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그 감정에 대한 어떤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인간 외의 어떤 대상, 객체가 존재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관계의 단절을 AI로 회복할 수 있을지를 묻는 질문에 변 교수는 “지금 초등학교에서도 학력 부진뿐 아니라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인간 관계를 확장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대면접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AI가 보완의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본다. 혼자서 노는 아이가 AI 챗봇과 꾸준히 대화를 하면서 자기만의 사유를 넓힐 수 있다면, AI 없이 혼자 노는 아이와는 정서나 지능의 발전에서 차이가 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AI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AI가 인간 관계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으며, 이를 건강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변 교수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조심할 것들을 똑같이 준용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처음 만난 사이에서 반말을 하거나, 나이가 많다고 어린 사람을 무시하지 않는 것처럼 AI와도 건강한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AI 서비스 역시 이용자의 욕설 등을 경고하고 주의를 주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참고 다정함의 과학(켈리 하딩 지음)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1부 - 환갑이 훌쩍 넘은 인공지능의 어제와 오늘▶ 가짜 목소리·영상 ‘딥페이크’ 잡을 인공지능 기술 속속 등장▶ AI, 반도체 등 전문인재 부족 심화..."외국인 유학생 국내 정착 도와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452 [주간투자동향] FCMT, 61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61 0
1451 날씨를 조작하는 기술, 어디까지 가능할까?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841 5
1450 [스타트업人] "어려운 미술세계, 쉽고 재밌게 설명해야 모두가 즐길 수 있어요" 테사 에셋 큐레이터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34 0
1449 [농업이 IT(잇)다] 메디프레소 “건강 차도 캡슐 머신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내려 드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04 0
1448 [IT강의실] 에어컨, 전기요금 조금이라도 아끼며 시원하게 쓰려면?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8726 13
1447 [리뷰] 전문가용 모니터를 이식한 노트북, 에이수스 프로아트 스튜디오북 16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227 0
1446 [김 소장의 ‘핏(FIT)’] 고인의 모습과 고인의 목소리, 당신의 추억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533 0
1445 넷기어 오르비 시리즈, 유선+무선 구성으로 활용도 높이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52 0
1444 포스코 “11돌 아이디어마켓플레이스, 스타트업 대표 등용문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90 0
1443 유류비 폭등에 전기차 가격까지 상승...울상인 소비자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787 0
1442 [IT애정남] 외장 SSD는 데이터 보관용으로는 부적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91 0
1441 그래프코어, ETRI와 손잡고 국내 AI 산업 효율화·상용화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06 0
1440 [모빌리티 인사이트] 기분 따라 옷을 바꿔 입는 자동차, 자가 치유까지 한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501 0
1439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2)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93 0
1438 진실 왜곡 ‘딥페이크’…보험업계 파고든다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1046 0
1437 애니온넷 “파트너사의 IoT 사업 성공을 돕는 조연, 우리의 본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7 0
1436 [앱으리띵] 허위조작정보에 속지 않으려면? ‘팩트체크넷’ 이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8 0
1435 [IT애정남]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안된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89 0
1434 갈등 빚는 구글·카카오··· 왜 '인앱 결제'는 분쟁의 씨앗이 됐나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19 0
1433 [IT강의실] 여름 휴가철 스마트폰 쓸 때 주의할 점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91 0
1432 지상파 UHD 방송 5년째, 그런데 보는 사람이 없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02 0
1431 "외로움은 사회가 풀어야 할 문제"... 사람들의 만남은 어떻게 더 많이 만들어질까?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567 1
1430 애플과 구글의 명분 없는 '수수료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63 0
1429 [스케일업] “스스로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7 0
1428 中 배터리 파상 공세에 국내 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꺾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45 0
1427 스마트 오피스의 완성은 책상, '모니터 암·모션 데스크'가 떠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12 0
1426 호주·미국 단합에 중국 희토류 패권 흠집··· '사이버 공격에 여론 조작도 시작'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956 11
14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뉴로서킷 “탈모 관리 습관의 모든 것, 바야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09 0
1424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부 -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즈니스 가치를 높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16 0
1423 상위 1000대 제조사 150곳 "자사 공급망 경쟁력 점수는 58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6 0
1422 계정 하나로 여러 이메일 주소를? '별칭' 활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747 0
1421 [뉴스줌인] aptX 어댑티브 지원 블루투스 동글, 무엇에 쓰는 물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64 0
1420 탈레스 "늘어나는 보안 솔루션, 휴먼에러 피하려면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9 0
1419 1형 센서, 2억 화소...하반기 ‘괴물’ 카메라 스마트폰 온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2636 0
1418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사업은 더 살기 좋은 집 위한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2 0
1417 [주간투자동향] 팀프레시, 1,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206 0
1416 카비 “비즈니스 노트북, 엔드포인트까지 철저한 보안 시스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4 0
1415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60 0
1414 [리뷰] 캠핑족을 위한 고성능 빔프로젝터, 벤큐 GS50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149 2
1413 ‘마이브’ 차주에게 물었다…초소형 전기차 타보니 어때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77 0
1412 [김 소장의 ‘핏(FIT)’] 우리나라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추모비가 있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703 0
1411 [농업이 IT(잇)다] 더루트컴퍼니 “감자와 함께 강릉의 대표 로컬 브랜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5 0
1410 [리뷰] ‘터프’하게 쓰는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티렉스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35 0
1409 삼성전자, TSMC 추격 고삐 당겼다…‘GAA 기반 3나노’ 양산 공식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25 0
1408 아직도 있었어? PC통신 추억담은 ‘유니텔’, 오늘부로 서비스 완전 종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47 0
1407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6 불붙은 창문형 에어컨 시장··· 주목받는 이유와 올해 신제품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931 5
1405 LG전자, SM 손 잡고 피트니스 시장 공략…"2025년까지 매출 5000억 목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105 0
1404 스마트 상점 주문·결제·배달 앱 ‘주문통합 솔루션’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3 0
1403 [모빌리티 인사이트]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의 시대는 열릴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253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