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럼] 기업에 CI/CD가 필요한 10가지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29 13:34:00
조회 116 추천 0 댓글 0
이제는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제품, 서비스에서 소프트웨어를 분리할 수 없는 시대이다. 경쟁업체와 고객들, 투자자 및 직원들 모두 회사에서 만든 제품에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및 데브옵스(DevOps))을 직시하고,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지속적인 통합 및 제공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데 투자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을 경영진에게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 먼저 경쟁사를 언급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경쟁사들은 이미 지속적인 통합 및 지속적인 제공(CI/CD: Continuous Integration/Continous Delivery)을 활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래도 더 구체적으로 설득할 이유가 필요하다면, 기업에 CI/CD가 필요한 10가지 이유를 제시하면 된다.


(출처=깃랩)


CI/CD는 무엇인가?


CI/CD는 자동화 기능을 사용하여 코드 개발 및 제공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2단계의 프로세스다. 먼저 CI는 소스 코드 통합 및 버전 관리 등의 개발자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프트웨어를 보다 신속하게 운영환경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전 단계다.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코딩을 하더라도,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들이 빌드(컴파일) 및 테스트되어 정기적으로 공유 리포지토리(정보 저장소)에 통합된다. 따라서 모든 개발이 종료된 시점부터 코드 품질 관리를 시작했던 기존 방식의 단점(테스트 시 예상치 못한 충돌 발생)이 해소된다.

CI의 다음 작업으로 CD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배포를 자동화한다. 엄밀히 구분하면 이 CD는 2가지로 나뉜다. 먼저 지속적인 제공(Continuous Delivery)을 통해 CI에서 유효성 검증이 끝난 코드들을 저장소에 자동으로 릴리스 한다. 이를 통해 운영팀은 변경된 코드들을 저장소에서 가져와서 애플리케이션(프로덕션 환경)에 수동으로 배포할 수 있게 된다. 개발팀과 운영팀 사이에 의사소통이 좀 더 원활해지는 것이 장점이다.

최종 단계는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ployment)다. 즉,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이 테스트를 통과하자마자 자동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드백도 즉각 반영하기 쉬워진다.

하나로 이어진 CI/CD 파이프라인을 상상하면 쉽다. 개발자들이 코드를 지속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하며, 검증된 소스는 즉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배포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CI/CD가 결합되면, 강력한 최신 소프트웨어 개발 엔진이 되며, 이는 기업들에게 엄청난 이점을 제공한다.

CI/CD는 비즈니스에 어떠한 이점을 제공하는가?


CI/CD는 비즈니스에 수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CI/CD를 채택해야 하는 10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탁월한 코드 품질 보장

깃랩의 2021년 글로벌 데브섹옵스 설문조사(Global DevSecOps Survey) 참가자들은 데브옵스를 수행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코드 품질을 위한 것이며, 데브옵스를 위해 팀에 가장 필요한 프로세스는 CI/CD라고 응답했다. CI/CD 파이프라인은 테스트 자동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거의 실시간으로 코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신속한 오류 해결(Failing Fast)’ 개념을 통해 팀은 버그가 있는 코드로 인해 시간이나 자원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개발자는 다른 프로젝트를 구동할 때 끝없는 ‘수정’ 요청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오로지 코딩에만 집중할 수 있다.

• 릴리스 속도를 단축하여 더 신속하게 제공

CI/CD 이점에 대해 더 궁금한 사람이라면 글로벌 금융회사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의 성공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이 회사의 기술 부서는 2주 마다 1개의 코드를 빌드했지만, 이후 하루 1,000개 이상으로 늘어났다. 통합 CI/CD 파이프라인은 소프트웨어 릴리스 속도를 높이는 데 있어 터보 엔진과도 같다. 코드를 더 빨리 릴리스하고, 더 많은 새로운 코드를 개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끝없이 릴리스가 가능하다. 성공적으로 CI/CD 파이프라인이 작동하면, 결국 기업 차원에서도 고비용의 개발자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이득을 얻을 수 있다.

• CI/CD 파이프라인: 자동화로 비용 절감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사람의 개입이 필요 없게 되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성공적인 데브옵스 수행사례의 토대는 바로 자동화다. CI/CD는 핸드오프(작업자 변경: 개발 협업 중 어떤 사람이 다른 동료에게 다양한 업무 관련 정보 또는 책임을 이전하는 것. 예를 들어, 고객이 영업 사원에게 니즈를 정확히 언급한다. 영업 사원은 이를 개발자에게, 개발자는 테스터에게, 테스터는 운영팀에게 알리게 되는 데 각 단계마다 원래의 정보가 손실된다.), 소스 코드 관리, 버전제어 시스템 및 배포 메커니즘은 물론, 많은 테스트 기능을 자동화한다.

이 중에서도 테스트가 가장 중요하다. 2021년 깃랩 설문조사에 따르면, 테스트가 릴리스 지연의 가장 큰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지연된 릴리스는 비용과 브랜딩, 홍보 및 평판 등의 측면에서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시장 출시에 의존하는 기업에게는 치명적이다. 전통적으로 소프트웨어 테스트는 수동으로 진행되었고, 엄청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기업들은 1년에 한두 번 정도만 새로운 코드를 릴리스 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오늘날 기업들은 상시 릴리스가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테스트가 매우 중요하다.

• 오류 격리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데브옵스 및 CI/CD가 주목받기 전에는, 개발팀이 코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도 문제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런데 CI/CD와 자동화된 테스트로 인해 상황이 달라졌다. 개발자는 코드 오류를 쉽게 식별한 다음, 이를 격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 간소화된 롤백(이전 버전 되돌리기)

개발자는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오류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훨씬 더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 이는 코드를 운영환경으로 전환하고, 문제가 있으면 롤백하면 되는 간단한 프로세스이다. 코드를 쉽게 롤백할 수 있는 기능은 팀의 시간과 에너지, 리소스를 절약하고, 문제가 있는 코드를 보다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지속적인 피드백

데브옵스 플랫폼의 일부로 동작하는 통합 CI/CD 프로세스는 비즈니스 이해관계자들을 비롯해 팀의 모든 사람들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그리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단순한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싱글 윈도우(현황을 한 곳에서 파악하는 방식)는 거의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사용하는 툴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자가 여러 부분들을 살펴봐야 했고, 여러 사람들에게 상태 업데이트를 요청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자와 운영 전문가들은 더 나은 결과를 얻지 못했고, 특히 문제가 발생하면, 이는 시간과 리소스 낭비를 초래했다.

• 최적의 투명성과 책임성

CI/CD 파이프라인은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비즈니스 측면에서 완전히 투명하게 처리한다. 제품 관리자는 프로젝트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책임 소재를 추적할 수 있다.

• MTTR(Mean Time to Resolution, 평균 해결 시간) 개선

CI/CD 파이프라인이 제공하는 가시성 덕분에 데브옵스 팀은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능력은 핵심 개발 지표인 MTTR(Mean Time to Resolution)의 주요 요소이다. MTTR이 좋을수록 데브옵스 팀은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하고, 더 빨리 소프트웨어를 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MTTR은 비즈니스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Metrics(지표) 데이터 모니터링

팀과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코드가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야 하지만,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수행사례에서는 이를 모니터링할 만한 통계 지표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예를 들어 데브옵스 현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에는 리드 타임, 배포 빈도, 변경 실패율, 평균 복구 시간 등이 있다.) 이상적인 환경이라면 팀이 먼저 코드 문제를 파악하고, 최종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기 훨씬 전에 롤백할 수 있어야 한다. CI/CD 파이프라인은 다양한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이상적인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버그가 많은 코드 및 애플리케이션을 원하는 기업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는 단순히 시간만 절약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 백로그의 중요하지 않은 결함 감소

CI/CD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준다. 이에 개발자는 시간이 부족하여 그동안 수정할 수 없었던 오래된 코드들을 더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작업이 가능하게 됐다. 즉 개발자들이 기존에 처리하기 곤란했던 백로그(결국 누가 시간을 따로 낼 수 있는 가의 이유로 백로그라고 부른다.) 및 사소한 결함에 대해서도 작업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데브옵스와 CI/CD가 팀에 가져온 게임 체인저이다.

IT 기업 고객사의 경영진들이 많이들 궁금해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CI/CD의 중요성이다. CI/CD를 도입하게 되면 개발부터 애플리케이션 배포까지의 과정이 신속하다. 코드 빌드의 횟수도 많은 데 동시에 보안 테스팅과 사용자의 피드백까지 반영된다.

또다른 장점도 소개하며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최근 java의 빈틈을 노려서 Log4j라는 컴퓨터 역사상 최악의 취약점 공격이 발생한 적이 있다. CI/CD 파이프라인이 없는 기업들은 ‘어느 지점’이 공격 당했는 지 파악하기도 쉽지 않았던 반면에, 미리 구축했던 기업들의 경우 신속하게 파악 후, 종속성(Dependency) 항목의 취약점에 빠르게 대응이 가능했다. 정상적인 개발 사이클이 항시 유지가 가능하다.

글 / 현태호 깃랩(GitLab) 한국 지사장
정리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필자 소개


현태호 깃랩 한국 지사장



현태호 지사장은 30년 이상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SaaS 비즈니스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이다. 2020년 12월부터 공식적으로 깃랩의 한국 지사장으로 부임한 그는 국내의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기업들이 데브섹옵스(DevSecOps) 문화를 도입해 디지털전환(DT)과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 지사장은 서강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최고경영자과정(AMP)을 수료하였다. 또한 1997년과 2013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경영자 과정을 수료했다.

깃랩 입사 이전에는 15년간 한국IBM과 IBM 아시아지역 본부에서 영업 및 마케팅 부서에서 일했으며, 머큐리 인터랙티브에서 전무 이사로서 해당 기업을 애플리케이션 테스팅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이후 VMware 한국지사장, HP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사업부 총괄 책임자를 역임하며 가상화 소프트웨어, Cloud 및 SaaS 비즈니스를 관리했고, 최근까지 클릭(Qlik)에서 한국 지사장으로 근무했다.

※ 본 콘텐츠의 내용은 IT동아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5: 아폴로 병원의 거시경제적 경쟁 우위▶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3: 자산운용사가 주목한 ‘아폴로 병원’▶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7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009 [스케일업] 딥파인 (2) 증강현실 상업이냐 기술이냐, 방향 정하고 차별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337 0
1008 [뉴스줌인] 강력한 패스스루 기능이 매력적, 엘가토 HD60 X 캡처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0 65 0
1007 넷플 "OCA로 비용 줄일 수 있어" vs SKB "망 이용은 무료 아냐"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182 1
1006 [스타트업人] IT 스타트업의 숨은 해결사, 당근마켓 프로덕트 매니저(PM)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85 0
1005 [기고] 조각투자 규제, 일변도식 접근 삼가야... '법 제도적 뒷받침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91 0
1004 "인생네컷은 MZ세대의 문화··· 네이버웍스 도입으로 더 효율화"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3727 2
1003 [스케일업] 트랜쇼 (1) BM분석 - 패션 풀필먼트의 비밀병기, 사입삼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95 0
1002 반도체 수급난, 러시아 침공 등 이어지는 악재에 광학 기기 가격 줄인상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1179 0
1001 슈나이더 일렉트릭, 스마트 공장 위한 통합 자동화 솔루션 다수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134 0
1000 베일 벗은 국내 최대 '애플 명동'…제품, 서비스 다음은 콘텐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778 0
999 "유수의 테크기업도 카카오T 모델로 간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비친 자신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85 0
998 델, 2022년형 기업용 컴퓨터 출시··· '비대면 업무에 최적'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2223 2
997 스타트업 성공을 위한 ‘SW 시장성 테스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101 0
996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동차도 신발이 중요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7 81 0
995 [뉴스줌인] 샤오미 레드미노트 11 국내 출시, 경쟁자는 갤럭시 A23/53?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224 4
994 타다 이후로도 모빌리티의 질주는 계속된다.."최종 목적지는 완전자율주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09 0
993 기발한 아이디어 거래하는 '아이디어 시장', 새로운 공유경제 개척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18 0
992 로지텍, 새 통합 브랜드로 '크리에이터' 시장 정조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055 0
991 이름도 어려운 디지털 사이니지, '카멜 솔루션'이 손쉬운 사용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00 0
990 6월 16일 열릴 애플 WWDC, iOS 16 포함한 새 운영 체제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37 0
989 "잘 할 수 있는 걸 하겠다" 3000억 들인 카카오의 상생 해법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607 0
988 고가·고급 미러리스 딛고 디카 시장 부활 기미, 낙관 경계론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17 0
987 [김 소장의 ‘핏(FIT)’] “구글플레이에서 티빙 결제하면 더 비싸다구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73 0
986 어도비, 디지털 경제 실현을 위한 새로운 개인화 경험 기능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6 102 0
985 단종 후 오히려 ‘역주행’ 하는 갤럭시 A52s, 어째서?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988 12
984 소니, 게임 구독으로 MS에 맞불? 사실은 소심한 견제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59 0
983 "현실이랑 다른 게 뭐야?"... 카카오·디즈니+도 버추얼 프로덕션에 뛰어든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3172 2
982 [IT강의실] 애플을 위한 제품, MFi 프로그램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51 0
981 창과 방패의 대결, 인공지능 가짜 사진 vs 가짜 사진 판별 인공지능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427 4
980 [인터뷰] 잘 나가던 개발자가 신사업 기획자가 된 이유, <대기업 기획자의 고백> 김세호 저자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209 0
979 [리뷰] 성능은 인정, 구성은 글쎄··· A15 바이오닉 기반 '애플 아이폰 SE'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1378 4
978 [IT신상공개] 고프로 히어로10 블랙 크리에이터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150 0
977 [검색광고 AtoZ] ① 검색 광고주가 알아야 할 ‘성과를 좌우하는 네 가지 요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82 0
976 [주간투자동향] 마스오토, 15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121 0
975 LG전자 “약속대로 V50·윙·벨벳 등에 최신 안드로이드 지원” [2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2671 16
974 [리뷰] 가성비와 고성능이 한번에, 에이수스 TUF GAMING A17(FA707R) 게이밍 노트북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4653 2
973 구글 꼼수에 무력화 된 '구글 갑질 방지법' [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4567 13
972 [BIT 인사이트저널] '비'행을 꿈꾸는 '건'강한 뷰티 기업, 멜릭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123 0
971 메타넷 정석춘 전무 “오픈시프트에 익숙한 기업이 클라우드 시대 주도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139 0
970 '진지해도 웃을 땐 웃자', 소소한 웃음 주는 2022년 만우절 소식들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3997 1
969 크로스앵글 이현우 대표 "가상자산은 묻지마 투자? 투자자 이해 돕는 서비스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182 1
968 美 스마트폰 3위로 부활한 모토로라, 프리미엄 시장 노린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1 406 0
967 [모빌리티 인사이트] 이제는 차 안에서 건강도 같이 챙기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595 0
966 마이크로프트 "업무 생산성 증진, 그게 협업툴의 본질입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243 0
965 인포매티카 “디지털 전환 막는 데이터 단편화, AI 관리 솔루션이 해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161 0
964 인텔, 20년 만에 그래픽 카드 재도전···· 엔비디아·AMD 양극 체제 깨질까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1789 5
963 케이파워 "버려지는 벼 껍질로 친환경 스팀 보일러부터 탄소배출권까지"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780 2
962 뜨거워진 프리미엄 공기 청정기 시장··· 블루에어도 4년 만에 돌아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219 0
961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6: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한 의료수요 증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138 0
960 비슷한 제품 너무 많은 IoT 시장, 차별화 전략 어떻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0 78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