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QR코드, 공식 앱 사용해도 피싱 주의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24 22:52:57
조회 2627 추천 5 댓글 8
[IT동아 정연호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크게 유행한 것 중 하나가 QR코드다. 국내에선 정부가 빠른 역학조사를 위해 QR코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QR코드를 쓰는 사람들도 급속도로 늘었다.


출처=질병관리청



QR코드는 ‘Quick Response(빠른 응답)’의 약자로, 1994년 일본의 덴소사 (Denso)가 개발한 2차원 바코드다. 기존의 바코드가 가로 배열에 최대 20여 자 숫자 정보만 넣는 1차원적 구성이라면, QR코드는 가로 세로를 활용해 기존 바코드 보다 수십~수백 배는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2차원적 구성이다. 특정 상품명이나 제조사 정보만 기록할 수 있던 기존 1차원 바코드의 정보량 제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QR코드에는 긴 문장의 인터넷 주소(URL)나 사진 및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명함 정보 등을 모두 담을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QR코드 인식 앱으로 QR코드를 스캔해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전자출입명부 방식처럼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쇼핑과 결제 과정에서 QR코드를 인식하면 주문과 결제도 한 번에 끝낼 수 있다. 최근엔 서울의 공유 자전거도 QR코드로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 업체 주니퍼 리서치는 QR 코드 결제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QR코드 결제 유저가 2020년 15억 명에서 2025년 22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로 세계 각국의 정부는 비접촉식 결제를 적극적으로 장려했고, QR코드 등의 비접촉식 결제는 편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빠르게 받아들이는 추세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의 ‘세계 전역에서 확산하는 QR 코드 결제’에 따르면, QR결제는 중국을 포함한 많은 경제권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도는 국민의 40%가량이 QR코드 솔루션을 지원하는 통합결제 인터페이스(Unified Payment Interface, UPI)와 ‘바라트QR(Bharat QR) 코드’ 결제 방식을 사용할 정도로 QR 코드 결제의 주요 활용 국가다. 싱가포르는 2018년 9월 표준 QR 코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선보이며 높은 수준의 활용을 이끌고 있다. ‘싱가포르 QR 코드(SGQR)’는 16만 곳 이상의 가맹점에서 채택했다.

미국에선 소매 시장에서 QR코드 결제가 증가하고 있다. 2015년에 출시된 월마트 페이(Walmart Pay)는 월 이용자 수가 2200만 명을 상회한다. 영국에선 QR코드가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와 결합해 소비자 경험을 높이고 있다. 체인 레스토랑인 와가마마(Wagamama)가 2018년 마스터카드와 협력해 내놓은 ‘Qkr!플랫폼(Qrk!Platform)’은 코로나19의 대유행 동안 소매점이 다시 문을 열기 시작한 2020년부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보고서는 “QR 코드 결제를 이용한 전 세계의 지출 금액은 2022년 2조 4,000억 달러(약 3,094조 원)에서 25% 성장해 2025년에는 3조 달러(약 3,867조 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주된 성장 배경은 개발도상국에서의 금융포용 향상과 선진국에서의 기존 결제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금융감독원



다만, QR코드는 누구나 자유롭게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위험 요소도 잠재한 기술이다. QR코드는 컴퓨터/인터넷 악성코드나 유해 웹사이트 주소 등도 전파할 수 있다. 육안으로는 정상적인 QR코드인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검증된 기업이나 기관에서 제공하는 QR코드가 아니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이용자에게 정상적인 홈페이지라고 속인 다음 그들이 중요한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 정보를 탈취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무료 쿠폰을 주겠다면서 미끼를 던져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강남대학교의 양형규 교수는 ‘QR 코드의 보안 취약점과 대응 방안 연구’에서 “오프라인 인쇄 매체는 물론이고 온라인 사이트에서도 QR 코드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QR 코드가 해킹 등으로 인해 다른 QR 코드로 변조될 경우 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 피싱 메일의 경우처럼 전혀 다른 사이트로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오프라인 출력물인 경우 변조된 QR 코드를 덧붙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더욱더 손쉽게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피해 사례를 보면 정상적인 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QR코드로 피싱을 당한 피해자도 있다. 피해자는 스마트뱅킹으로 자금을 이체하던 중 추가인증 QR코드의 지시대로 앱을 설치했지만, 보안카드를 비추라는 요구를 받고 금융사고를 의심해 행동을 멈췄다. 하지만, 통신사에 확인해보니 게임머니 등으로 소액결제가 처리됐단 걸 알게 됐다. 스마트폰을 악성코드로 감염시켜 사용자가 정상 금융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가짜 금융사이트에 연결되게 하고, 가짜 금융사이트에서 추가인증이 필요한 것처럼 QR코드를 보여주며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QR코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선 어디서 보냈는지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QR코드는 스캔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공식 앱마켓에서도 위험한 앱이 유포될 수 있기 때문에 앱을 다운 받기 전 사용자 리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보안기업 안랩은 “악성 앱은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 QR코드, SNS, 사설 앱 마켓 등을 통해 정상 앱을 사칭해 유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식 마켓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곳에서 다운로드받지 않도록 주의하고,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로 설정해야 한다. 공식 마켓에서도 악성 앱이 유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 전에는 평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바일 전용 보안 앱이나 스미싱 탐지 앱을 설치하고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했다.

보안기업 이스트시큐리티는 “공공장소나 보안성이 검증되지 않는 공간 및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QR코드는 신중하게 확인한 뒤 스캔하고, 이메일의 경우엔 대부분 QR코드 인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메일로 전달된 QR코드는 가급적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 QR코드 피싱으로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면 동일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마다 비밀번호를 다르게 설정할 것”을 권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구글·애플 해킹 피해 막으려 ‘해묵은 앱’ 정리한다▶ [주간투자동향] 버킷플레이스, 2,30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 금융보안원 “데이터 주권 확보의 핵심은 보안…안전한 마이데이터 사업 정착 돕겠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416 카비 “비즈니스 노트북, 엔드포인트까지 철저한 보안 시스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5 0
1415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60 0
1414 [리뷰] 캠핑족을 위한 고성능 빔프로젝터, 벤큐 GS50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149 2
1413 ‘마이브’ 차주에게 물었다…초소형 전기차 타보니 어때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77 0
1412 [김 소장의 ‘핏(FIT)’] 우리나라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추모비가 있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703 0
1411 [농업이 IT(잇)다] 더루트컴퍼니 “감자와 함께 강릉의 대표 로컬 브랜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5 0
1410 [리뷰] ‘터프’하게 쓰는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티렉스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35 0
1409 삼성전자, TSMC 추격 고삐 당겼다…‘GAA 기반 3나노’ 양산 공식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25 0
1408 아직도 있었어? PC통신 추억담은 ‘유니텔’, 오늘부로 서비스 완전 종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47 0
1407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6 불붙은 창문형 에어컨 시장··· 주목받는 이유와 올해 신제품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933 5
1405 LG전자, SM 손 잡고 피트니스 시장 공략…"2025년까지 매출 5000억 목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105 0
1404 스마트 상점 주문·결제·배달 앱 ‘주문통합 솔루션’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3 0
1403 [모빌리티 인사이트]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의 시대는 열릴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253 1
1402 “스타트업 성공을 원한다면, 10년 후 오를 에베레스트 정상에 집중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22 0
1401 ‘ESG’, ‘친환경’에 고민 큰 중소기업들, 돌파구는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81 0
1400 [리뷰] '온 몸을 움직이며 VR을 즐겨라'...피코의 VR헤드셋 네오3 링크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193 0
1399 원격 근무가 일상이 된 사회,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NAS'가 떠오른 이유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682 3
1398 [리뷰] VR 세계로의 초대장, 인스타360 원 RS 1인치 360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99 0
1397 5배 빠르다는 와이파이7, 2024년 상용화 앞두고 관련 솔루션 속속 등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866 1
1396 토스뱅크 가입자 360만명 돌파…내달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66 0
1395 체이널리시스 "가상자산 산업의 성장 투명성과 신뢰에 달려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8 0
1394 [김 소장의 ‘핏(FIT)’] 고인의 디지털 정보, 유족에게 전달해야 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27 0
1393 NHN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앞세워 2026년 '매출 8천 억'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1 0
1392 [IT애정남] '시크릿 모드'로 인터넷 해도 비밀은 없다?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7069 11
1391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4부 - 충성 고객을 만들어내는 소통 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98 0
1390 IT 공룡 힘 합쳐 ‘메타버스 표준 포럼’ 발족, 애플은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10 0
1389 초고주사율 경쟁 돌입한 게이밍 모니터…꼭 필요할까?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2878 8
1388 [뉴스줌인] 인텔이 직접 만들어 파는 초소형 PC, ‘NUC’ 시리즈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75 0
1387 기업은 하나, 사용하는 RPA 제품은 여러 개?..."RPA 도입부터 효율적 운영 고민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88 0
1386 중국, 재생에너지 생태계 잠식...태양광 웨이퍼·잉곳 점유율 95% ↑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16 0
1385 전 세계 커버하는 '스타링크', 2023년에 한국 온다··· 효과와 파급력은?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4279 4
1384 스마트폰 이미지 센서 고화소 경쟁, 화질·편의 모두 잡는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823 1
1383 지문 찍어 맞춤 안마하는 'LG 힐링미 타히티’, 게임 체인저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57 0
1382 국내 대표 스타트업 양성소로 거듭난 SKT… “차세대 유니콘 후보를 찾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791 0
1381 [주간투자동향] 뽀득, 33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7 119 0
"QR코드, 공식 앱 사용해도 피싱 주의해야"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2627 5
1379 다테크니끄 "내비게이션 탑재한 AR헬멧, 스마트한 오토바이의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11 0
1378 지금 전세계 게이머들이 쓰는 PC의 평균 사양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341 0
1377 [농업이 IT(잇)다] 못생겼다고 버려지는 농산물을 화장품 원료로 바꾼 ‘브로컬리컴퍼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03 0
1376 [농업이 IT(잇)다] 못생겼다고 버려지는 농산물을 화장품 원료로 바꾼 ‘브로컬리컴퍼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08 0
1375 [리뷰] 직관적 외관과 신속한 반응성이 일품, 맥 스튜디오·스튜디오 디스플레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00 0
1374 사라진 '실시간 검색어'가 그립다면? 대체 서비스들 살펴보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38 0
1373 AP 경쟁 가속, 스냅드래곤 8+ 1세대 맞설 ‘디멘시티 9000+’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127 0
1372 [스타트업人] “데이터 속 가치를 찾고 있습니다”, 당근마켓 데이터가치화팀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98 0
1371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여행 업계 디지털 전환으로 쇼핑의 즐거움 더한다, 더서비스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4 86 0
1370 "NFT 거래, 소유권과 저작권은 달라 주의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132 0
1369 뮤렉스파트너스 "투자는 자신의 스트라이크존 안에서 해야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83 0
1368 하이브리드·전기 승용차 판매량, 경유·LPG 처음으로 추월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1558 0
1367 IT 유통 ‘큰 손’이 내놓은 ‘루밍’ 모니터, 시장 안착 여부에 ‘주목’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3 248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