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텔, 와이파이 7 2024년 상용화 위해 '주도적 역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25 14:34:31
조회 165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오늘날 와이파이 기술이 널리 퍼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의 역할이 컸다. 와이파이 프로토콜의 첫 번째 버전은 1997년 출시됐는데, 전송 속도가 초당 2메가비트에 불과했다.1998년 두 번째 프로토콜이 발표되면서 최고 속도가 11메가비트로 상향됐고, 1999년 애플 아이북 노트북이 최초로 와이파이를 지원하면서 상용화의 문이 열렸다. 하지만 애플 제품 자체가 소비자 층이 두텁지 않은 터라 시장이 적극적으로 열리진 못했고, 2003년에 이르러 인텔은 ‘센트리노’라는 무선 노트북 플랫폼을 공개하며 비로소 무선 인터넷 시장이 개막했다.


2024년 상용화 예정인 와이파이 7의 핵심 정보, 속도와 안정성, 저지연성 등 모든 부분이 상향된다. 출처=인텔



센트리노는 인텔 프로세서와 메인보드 칩셋,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로 이루어진 노트북 규격으로,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기본 탑재하는 게 핵심이다. 그전까지는 무선 네트워크 지원이 선택 사항이었다. ‘센트리노’가 붙은 제품만 사면 적절한 성능에 무선 인터넷까지 활용할 수 있으니 센트리노 플랫폼은 순식간에 전 세계적으로 확산했으며, 와이파이도 함께 퍼져나갔다. 이후 와이파이는 노트북을 거쳐 데스크톱과 피처폰, 이후 스마트폰으로 이어지며 더욱더 확산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년 간 빠르게 발전한 와이파이, 여정은 계속된다


오늘날 와이파이는 이론상 9.6Gbps의 속도를 내는 와이파이 6 버전이 상용화됐으며, 1999년 출시된 버전과 비교해해 최대 4천 800배는 빠르다. 와이파이는 노트북과 데스크톱, 태블릿, 스마트폰은 물론 백색 가전이나 생활 가전 등과 결합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공공장소는 물론 기차나 비행기 같은 교통 수단에서도 누릴 수 있을 만큼 대중화됐다.

하지만 와이파이 6 자체는 전 세대인 와이파이 5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활용할 때 효율성을 높이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MIMO)이나 전송 방식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를 최적화한 버전이라 속도 등에서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와이파이 6의 이론상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대역폭을 6Ghz로 늘린 와이파이 6E 버전도 등장한 상태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와이파이 4부터 7까지의 핵심 정리, 와이파이 7은 속도와 대역폭 모두 늘어나고, 다중 링크 동작과 다중 리소스 유닛, 서비스 품질 관리 등의 신 기술이 추가된다. 출처=인텔



이에 인텔은 IEEE P802.11be, 와이파이 7으로 불리는 차세대 무선 인터넷 표준의 확산을 위해 다시 한번 팔을 걷어 부치고 있다. 와이파이 7은 2.4GHz 및 5GHz, 6GHz 대역을 활용하며, 이론상 최대 36Gbps에 달하는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PC에 실제 적용되는 잠재적 데이터 속도는 최대 5.8Gbps로, 와이파이 6E의 잠재적 데이터 속도인 2.4Gbps와 비교해 2.4배 더 빠르다. 와이파이 6가 실사용에서 최대 초당 300메가바이트의 전송 속도라면, 그 두배인 초당 600메가바이트를 지원한다. 이는 15GB 용량의 고용량 데이터 파일을 25초 안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속도다.

채널은 이전 세대의 두 배에 달하는 320MHz를 지원하며, 현재 1024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을 최대 4096 QAM으로 지원해 데이터 흐름의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데이터를 물류 처리에 비교하자면, 이전 세대보다 두 배 큰 트럭(채널)을 활용해 트럭의 화물 공간을 네 배 이상 효율적으로 적재(4K QAM)해서 전달한다고 이해하면 빠르다.


다중 링크 동작 개요도, 기존의 와이파이는 한 번에 하나의 대역폭만 잡지만 와이파이 7은 모두 연결해 안정성과 속도 모두 끌어올린다. 출처=인텔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는 다중 링크 동작(Multi Link Operation, MLO)과 다중 리소스 유닛이 있다. 기존의 와이파이는 기기에 접속해있는 동안 하나의 대역만 활용한다. MLO는 속도와 안정성에 관한 기술이다. 와이파이 6의 경우 2.4Ghz와 5Ghz가 각각 있고, 이중 최적의 대역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와이파이 7은 두 대역을 동시에 연결해 중복, 고유 데이터를 공유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작동한다. 다중 리소스 유닛은 최대 320MHz의 채널을 최적의 조건에 맞춰 전송한다. 기기는 자동으로 240MHz를 메인으로 두고 80MHz를 보조로 활용하거나, 160Hz와 160Hz로 나눠 동일하게 데이터를 분산하는 식으로 데이터를 받는다.

와이파이 7, 빠르면 2024년부터 시작



지난 9월 시연된 와이파이 7 노트북 네트워크 성능, 와이파이 6가 1Gbps, 와이파이 6E가 2Gbps인 조건에서 와이파이 7은 5Gbps를 달성했다. 출처=인텔



와이파이 7은 현재 세부 기능 및 표준화가 진행 중이며, 2021년 3월 초안이 발행된 이후 2024년 초 최종 버전이 확정될 예정이다. 대만 미디어택은 올해 2월에 세계 최초의 와이파이 7 칩 ‘파이로직’을 선보인 바 있으며, 퀄컴 역시 지난 6월에 와이파이 6E 및 7을 지원하는 신규 RFFE 모듈을 공개한 바 있다. 인텔은 지난 9월, 브로드컴과 협력해 최초로 와이파이 7 모듈을 장착한 인텔 프로세서 기반 노트북을 선보인 바 있다. 일반적으로 초안이 확정되기 1~2년 전부터 제품이 등장하는 전례에 비춰볼 때, 2024년 1분기 전에 이미 와이파이 7이 적용된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을 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인텔은 와이파이 7이 상용화될 경우 8K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리밍,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클라우드 게임, 양방향 애플리케이션, 산업용 사물인터넷과 원격 진단, 원격 수술 등의 환경이 더욱 빠르게 확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와이파이 6의 목적이었던 공동 및 다중 이용시설에서의 성능 확보나 쾌적한 사물인터넷 환경 조성, 4K 스트리밍이나 증강현실, 가상 현실 등의 환경에서도 더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


와이파이 6E의 6GHz 대역폭 활성화를 위해 주파수를 할당한 국가 정보. 출처=와이파이얼라이언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국가가 와이파이 7를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한 상황이다. 와이파이 7이 상용화하려면 이미 사용 중인 2.4GHz 및 5GHz 대역 말고도 6GHz 대역까지 확보해야 한다. 다행히 현재 상용화된 와이파이 6E에서 먼저 6GHz 대역을 요구함에 따라 우리 정부도 2020년 6월에 6GHz(5.925∼7.125GHz, 1.2GHz 폭) 대역을 5G 이동통신 및 와이파이용 비면허 주파수로 설정했다. 이외에도 북미 및 남미, 유럽 등 36개 국가가 6GHz 대역폭을 와이파이 용도로 이미 할당했거나 할당할 예정이다.

다가오는 초연결 사회에서는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된다. 이미 전 세계 통신업계는 5G 망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5G SA(Standalone) 확산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5G를 넘어서는 6G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의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6G 기술에 해당하는 정부 표준이나 비정부 표준이 없어 상용화까지는 오랜 시간이 더 소요될 전망이다.


인텔이 구상하는 2030년의 무선 인터넷 세계. 출처=IT동아



다행히 와이파이는 인텔의 전폭적인 협력 덕분에 꾸준히 발전을 이어나가고 있다. 인텔은 와이파이 4와 5, 6/6E에 대한 기술 표준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고, 지금도 인텔 펠로우 겸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무선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카를로스 코데이로(Carlos Cordeiro) 박사가 와이파이 표준을 정의하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표준화 및 규격화를 주도하고 있다. 인텔이 수십 년간 꾸준히 IT 업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배경도 이런 노력들 덕분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리뷰] 최적화 넘어 '혁신적 향상' 이뤘다, 13세대 인텔 코어 i9-13900K▶ 최초의 17형 폴더블 노트북, 그 배경에 인텔·에이수스 협업 빛났다▶ [리뷰] 비로소 GPU 시장이 바뀔 것, 인텔 아크 A770 그래픽 카드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2248 [주간투자동향] 지비소프트, 4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153 0
2247 [CES2023] 라스베이거스에 펼쳐진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향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3288 0
2246 [CES 2023] MSI 부스 현장 반응은 어땠나? 주목을 끄는 건 역시 게이밍 노트북...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3668 1
2245 [CES 2023] 김현우 SBA 대표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24 0
2244 [CES 2023] SBA, 서울 비전 선포식 개최.. '서울을 스마트 교통 및 콘텐츠 특화 도시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20 0
2243 [CES 2023] MSI 게이밍 노트북으로 혁신상 4관왕, 한층 업그레이드된 신제품 성능 증명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066 2
2242 [CES2023] 최고 혁신상으로 살펴본 2023 기술 트렌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2524 0
2241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1. 웹3.0과 가상자산과의 관계 이해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58 0
2240 [CES 2023] 넥스트페이 "스마트 POS, AI로봇으로 미래 상점 청사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12 0
2239 [스케일업] 엘핀 [2] 배상완 신보 “기술 기업, 레퍼런스·자금 확보해 장기 계획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02 0
2238 [CES 2023] 소니, 가전 제품 대신 엔터테인먼트에 초점…전기차도 깜짝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559 2
2237 [CES2023] BMW “주행·기능 정보, 전방 유리 전체에 제시”…콘셉트 ‘i 비전 디’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22 0
2236 [CES2023] AMD 리사 수 박사, "반도체, 코로나 19 계기로 현대 생활의 중심 돼"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382 6
2235 국립암센터 장윤정 부장, “메타버스와 의료의 연결, 닥터메타를 개발한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22 0
2234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4. 게임과 유튜브에 집중하는 아이들의 속마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271 5
2233 [CES 2023] 삼성전자, 스마트홈 생태계로 사용자 일상 파고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232 0
2232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추구하는 활동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09 0
2231 [CES2023] 투명 올레드 TV에 업 가전까지··· 신상 뽐낸 'LG전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75 0
2230 [CES2023] 미리 만나 본 MSI의 노트북 신제품 라인, "기대 이상의 성능이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075 0
2229 [CES2023] 엔비디아, AI로 게임 프레임, 동영상 해상도까지 높인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1943 3
2228 [CES2023] 엔비디아, RTX 4070 Ti 및 모바일 RTX 40 시리즈 전체 공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2457 2
2227 [스케일업] 세븐미어캣 [2] 홍기훈 교수 “ESG, 스타트업의 목적이 아닌 방법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111 0
2226 [CES2023] 인텔, 신형 13세대 데스크톱·모바일 CPU 32종과 새 이보(evo) 규격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392 1
2225 시도 쓰고 코드도 짜줘? AI 챗봇 ‘챗GPT’가 보여준 가능성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605 0
2224 [리뷰] 업그레이드 확장성이 향상된 4베이 나스, 시놀로지 DS923+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3826 2
2223 [시승기] 엔트리 전기 SUV에 녹여낸 벤츠 헤리티지…‘더 뉴 EQA’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34 0
2222 [스케일업] 본투비 [2] “그림 작가와 손 잡고 새로운 시장으로 도전한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643 0
2221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6.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12 0
2220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바이옴에이츠 “미생물 복합 균주 의약품의 리더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12 0
2219 [IT애정남] 70만원대 이하의 업무용 소형 노트북 추천해 주세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2042 0
2218 미중 패권 싸움 휘말린 틱톡…'회사 팔거나, 사업 접거나' [3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2626 14
2217 계묘년 새해...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47 0
2216 [주간투자동향] 온더룩, 7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22 0
2215 밝아온 2023년, 올해 바뀌거나 시작하는 IT 제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3478 1
2214 [먹거리+IT] 이티튜드, “걱정 없이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찾았습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224 0
2213 [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허브', 다양한 모빌리티간 연계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56 0
2212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를 모아서 본다, '금융상품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5 0
2211 어플러드 “사과와 함께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제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49 0
2210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2] “타겟에 맞춘 채널에, 신뢰성 있는 콘텐츠로 접근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55 0
2209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왜 발생할까?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5753 3
2208 [스타트업-ing] 바다드림이 보낸 제주도의 1년, “여전히 도전 중인 산지와의 연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30 0
2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T 스타트업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44 0
2206 [먹거리+IT] 마스플래닛 전창호 대표, “쿠클리는 고객과 대화하는 식품 브랜드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1 0
2205 도약 거듭한 2022년 IoT 시장, 내년부터 판 더 커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80 0
2204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2022 메이커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개관식’ 및 ‘성과 공유페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8 0
2203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0. '루나/테라 사태' 정확히 이해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2 0
2202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3 0
2201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7 0
2200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7 0
2199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116 0
뉴스 스물다섯에 진 꽃…고 김새론, 하드코어 인생아 [IS포커스]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