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울미디어뉴스] 배진영 기자 = 감소세를 보이던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지난해 가파른 증가세로 돌아섰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7일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변환 분석'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96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2년 1451억원 대비 35.4%(514억원) 증가한 수치다. 피해자 수는 2022년 1만2816명에서 1만1503명으로 10.2%(1313명) 줄었다. 피해자 수가 감소했지만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고액 피해사례가 증가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1인당 피해액은 2022년 1130만원에서 2023년 1710만원으로 증가했다.
고액 피해사례를 살펴보면, 지난해 1000만원 이상 피해를 입은 보이스피싱 피해자는 4650명으로 전년 대비 1053명 늘었다. 1억원 이상 피해자 231명으로 피해액은 473억원에 달했다. 1인당 2억500만원의 피해를 입은 셈이다. 1억원 이상 피해의 경우 정부·기관사칭형 사기수법에 당한 경우가 68.8%(159명)에 달했다.
보이스피싱 사기유형은 '대출빙자형'이 692억원으로 전체의 35.2%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가족·지인 사칭형' 662억원(33.7%), '정부기관 사칭형' 611억원(31.1%)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704억원(36.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560억원(29.0%), 40대 249억원(12.9%), 20대 이하 231억원(12.0%), 30대 188억원(9.7%) 등의 순이었다.
우려스러운 점은 젊은층의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20대 이하와 30대의 피해액이 전년 대비 각각 139억원, 135억원 증가하며, 전연령 층에서가 가장 크게 늘었다. 보이스피싱의 사기 수법이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는 얘기다.
20대 이하 피해자의 경우 85.2%(1579명)가 정부·기관사칭형 사기수법에 당했다. 30대와 40대는 금융회사를 대환대출을 빌미로 기존 대출상환이나 수수료 선입금을 요구하는 대출빙자형 당한 피해자가 각각 62.9%(514명), 69.1%(867명)로 가장 많았다. 30~40대의 경우 주택‧생활자금 수요가 많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가 모든 연령대에 걸쳐 증가했다"며 "이는 과태료·범칙금 납부, 택배·배송 조회, 모바일 경조사 알림 등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범행시도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 ▲금융권 24시간 대응체계 안착 지원, ▲정부기관 사칭‧대출빙자형 사기수법 대응 강화, ▲비대면 금융사고 피해에 대한 자율배상 실시, ▲보이스피싱 대응 기술 고도화 추진, ▲생애주기별 맞춤형 보이스피싱 피해예방교육 실시 등의 대책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