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우크라軍 전술 짜주고, 하마스 땅굴 탐지… 전쟁 뒤흔드는 ‘절대 반지’?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17 10:38:25
조회 1320 추천 2 댓글 9

한화의 다목적 무인차량 아리온스멧(왼쪽), 이스라엘 땅굴탐지 로봇(가운데), 미 보잉의 초대형 무인잠수정 에코 보이저(오른쪽). /그래픽=양인성

한화의 다목적 무인차량 아리온스멧(왼쪽), 이스라엘 땅굴탐지 로봇(가운데), 미 보잉의 초대형 무인잠수정 에코 보이저(오른쪽). /그래픽=양인성

지난해 5월 우크라이나군은 시베르스키도네츠강을 건너려는 러시아군을 수차례 공격해 공세를 차단한 것은 물론 대대급 병력을 전멸시켰다. 대전차 로켓·미사일부터 고속 유탄 발사기, 박격포, 장갑차·전차 등 다양한 무기로 무장한 우크라이나군 전투 부대들이 마치 순번을 정한 것처럼 질서정연하게 공격과 후퇴를 반복하면서 승리를 이끌어냈다. 당시 전투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본 피해는 경미했던 반면, 러시아군은 73대 이상의 전차와 장갑차, 1500명가량의 병력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우크라이나군의 전술 프로그램 ‘GIS 아르타’였다.

◇러軍 대대 격멸한 GIS 아르타

GIS 아르타는 드론과 같은 감시 정찰 자산이 표적을 식별하면, 표적 주변에서 가장 가깝거나 효율적인 무기를 보유한 부대에 화력 지원이나 직접 공격을 명령한다. 탑승객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운전자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는 우버와 비슷한 방식이어서 ‘우버 포병’이라고도 한다. 보통 현대식 군대가 적을 식별해 포병이나 공군 전력으로 공격하기까지 20분 안팎이 걸리는데 GIS 아르타는 30초~2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었다고 한다.

1년 9개월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위성사진에서 전장 데이터 종합 분석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AI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미 CIA 등에 AI 데이터 분석 플랫폼 ‘고담’을 제공했던 미 팔란티어는 우크라이전에서도 업그레이드된 ‘고담’을 우크라이나군에 제공해 승리에 도움을 주고 있다. ‘고담’은 상용 위성, 열 감지기, 소셜미디어, 정찰 드론, 우크라이나 측 스파이 등에게 제공받은 정보를 종합 분석해 러시아군 위치를 정확히 짚어내는 역할을 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이를 통해 적은 병력과 무기로 러시아군을 정밀 타격할 수 있었다. 앨릭스 카프 팔란티어 최고경영자(CEO)는 외신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군 공격의 대부분을 팔란티어 AI 시스템이 책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도 이스라엘군(IDF)은 하마스 추적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가자 지구 지상 전투가 시작된 뒤 이스라엘군 ‘표적 센터’가 땅굴 등 약 1200개의 새로운 하마스 공격 표적을 확인했는데 AI가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픽=양인성

그래픽=양인성

◇국방AI는 ‘절대 반지’?

이처럼 실전 등에서 AI의 군사적 활용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 국방 AI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인터넷 시대를 연 미국은 AI 분야 연구 개발 예산만 한 해에 18억달러(2024년 요구 예산 기준)에 달한다. AI는 전 세계 어디에서든 항상 전투하고 있는 미군에는 이미 없어선 안 될 존재다. 미국 다음의 AI 강국인 중국은 2030년 AI 분야 초강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지능화 전쟁을 위한 AI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러시아는 자율화 및 로봇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무인 전투기·잠수정 등에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극초음속 미사일이나 핵탄두 미사일을 AI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방부가 2021년 AI 추진 전략을 수립한 데 이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방 AI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3월엔 ‘국방 혁신 4.0′ 기본 계획을 통해 AI 기반 첨단 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목표로 하는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유·무인 복합전투체계(MUM-T) 구축, 우주·사이버·전자기 스펙트럼 영역 작전 수행 능력 강화, 국방 AI 센터 창설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인구 절벽에 따른 병력 급감(急減) 시대를 맞아 국방A I는 모든 것을 해결할 ‘절대 반지’처럼 군 안팎에서 받아들여지기까지 한다.

그래픽=양인성

그래픽=양인성


◇군 획득 제도 등이 장애물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방 AI가 만능은 아니며 한국군이 진짜 ‘AI 기반 첨단 과학기술 강군’이 되려면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한다. 우선 군 전력(戰力) 획득 제도 문제가 꼽힌다. 획득 시스템이 각종 무기 체계와 개인 전투 장비 등 전력 지원 체계로 나뉘어 있고, 각 체계 담당 부서와 업무도 방사청(방위사업청)과 국방부로 구분돼 있어 효율적인 국방 AI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것이다. 국방 AI 전문가인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장은 “국방부가 담당하는 AI 인프라 구축 업무가 방사청의 무기 체계 업무와 분리돼 있다는 것도 국방 AI 추진에 불리한 제도적 약점”이라며 “현재 획득 제도가 지나치게 하드웨어 중심적이어서 국방 AI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획득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소프트웨어는 3~6개월 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데 현재 우리 획득 제도상으로는 불가능해 기술 도입이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픽=양인성

그래픽=양인성


지나치게 경직된 데이터 및 정보 보안 제도, 국방 데이터 및 클라우드의 AI 인프라 미흡 등도 큰 장애물로 꼽힌다. AI·빅데이터 전문 업체인 티쓰리큐 박병훈 대표는 “보안을 이유로 누구도 결정하지 못해 국방 데이터 공유와 활용이 크게 제한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개방적이지 못하고 폐쇄적인 국방 AI 개발 환경이 경쟁력 있는 민간 우수 전문 인력의 진입을 막아 결국 AI 민군(民軍) 생태계 조성을 저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국방연구원 등 더 많은 기관과 학교, 연구소, 기업들도 국방 데이터를 활용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국방 데이터 관리 기준 및 방향도 제대로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이터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AI는 실패”

문송천 카이스트 명예교수

“데이터라는 ‘원재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AI라는 ‘요리’는 결국 실패합니다.”

문송천 카이스트(KAIST) 경영대학원 명예교수는 지난 13일 인터뷰에서 국방AI 사업 추진과 관련해 데이터 질(質) 등 데이터와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 교수는 수퍼컴퓨터를 처음 개발한 미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전산학 박사를 1980년대 초 취득한 국내 전산학 박사 1호로, 카이스트 및 케임브리지대 교수를 지냈다. IT 용어 ‘클라우드(CLOUD)’를 처음 만든 소프트웨어 1세대 학자이기도 하다.


국내 전산학박사 1호인 문송천 카이스트 명예교수.

국내 전산학박사 1호인 문송천 카이스트 명예교수.


문 교수는 “정부와 기업, 군 당국이 각종 데이터를 확보해 AI 플랫폼에 적용하면 즉각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가 많다”며 “그 이유는 데이터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북한 소형무인기 대응 실패를 비롯, 지난해 10월 이태원 참사에서 무용지물이 됐던 재난안전통신망, 4세대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 오류 등을 데이터 설계 실패의 대표적인 예로 꼽았다.

문 교수는 “CLOUD라는 용어는 ‘Class·Object·Ubiquitous·Distributed’에서 앞 글자를 따왔다”며 “신뢰성 있는 AI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 부정확성, 불평등성의 가능성이 없는 완벽히 정제된 데이터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말했다.

10여 년 전 국방부 감사실 외부 전문가 감사관 자격으로 국방 C4I(지휘통제) 사업 등 17개 주요 무기사업들을 직접 살펴봤던 그는 “현대전은 정보전, 데이터전인데 한국 국방데이터의 품질도 상당수가 문제가 많았다”며 “조악한 국방데이터를 AI에 학습시킨다 하더라도 AI 처리 결과는 이미지 영상 처리를 제외하곤 효용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많다”고 우려했다.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구독




4억 명이 방문한 대한민국 최대의 군사안보 커뮤니티

< 유용원의 군사세계 >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손해 보기 싫어서 피해 입으면 반드시 되갚아 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11/18 - -
877 한국 첫 정찰위성 발사… 북한 위성 해상도의 10배, 30㎝ 물체도 식별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4 1404 4
876 실전서 위력 커지고 있는 인지전, 이스라엘군에 가짜뉴스 기동타격대 떴다 [2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5656 22
875 두바이서 고난도 비행 선보인 수리온...K-방산, 중동서 제2 대박 날까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2452 4
874 북 11개 GP 다 복원, 해안포 개방… 합참 “당연히 상응 조치 하겠다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2869 7
873 안보 정상화 시동... 대북 감시활동 어떻게 달라지나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089 2
872 잘 날고 있는 KF-21을 국책연구기관이 저격? 도대체 왜 이런 일이… [1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2523 8
우크라軍 전술 짜주고, 하마스 땅굴 탐지… 전쟁 뒤흔드는 ‘절대 반지’?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1320 2
870 북한 미사일 발사 정보, 미국서 실시간 제공받는다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231 4
869 고도 100㎞에서 적 미사일 ‘쾅’...우주전쟁 문 연 이스라엘판 사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842 3
868 하마스 땅굴의 ‘천적’…이스라엘 특수부대·괴물 불도저의 정체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6 1346 5
867 수조원 첨단 통신망 있는데… 비상시 軍간부들 휴대폰 쓰는 이유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2 1571 2
866 미사일 내열재 ‘박스갈이’ 논란과 전략소재의 국산화 과제 [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534 4
865 이스라엘·하마스 지상전보다 치열한 심리전, AI·소셜미디어가 승패 가른다 [1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5 1078 6
864 “중력과 상식 깼다” 조종사들도 놀란 F-22 랩터 비행의 비밀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4 2593 13
863 한미일, 사상 첫 연합 공중 훈련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3 1871 21
862 한국형 아이언 돔의 ‘불편한 진실’과 방위사업청장의 이례적 ‘고백’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0 866 3
861 “敵 과소평가가 재앙 부르는 최고 레시피” 하마스 기습 성공의 3대 교훈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9 624 4
860 북핵 고도화 대응할 비장의 무기인 전략사령부를 文정부에서 한때 폐기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8 1299 7
858 서울 ADEX 2023 오늘부터 22일까지 성남 서울공항서 개최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7 960 2
857 ‘한국형 아이언 돔’은 북한 170㎜ 자주포탄 요격 어렵다고?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6 1900 3
856 美 “北, 전쟁 초기 핵 쓸수도”...우리 대응은 여전히 협상과 압박 뿐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3 570 2
855 5000발에 구멍난 아이언돔...시간당 1만6000발 北장사정포 대응은?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2 1835 3
854 레이건함, 내일 부산 입항… 한미일은 7년만에 ‘무기 운송’ 차단 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1 2079 9
853 시간당 1만발 퍼붓는 북한 장사정포… 한국도 비상 [3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0 2971 6
852 논산에 전국 첫 국방산단 눈앞… 충청남도 ”국방 수도 될 것” [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6 1410 7
851 사관생도 5년간 545명 자퇴... 1학년이 제일 많아 [2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5 1867 7
850 더 가깝고 더 거칠게… 美·中·러, 위기일발 전투기·함정 대결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1123 3
849 고위력미사일, L-SAM...국군의날 행사서 첨단 신무기 대거 첫 공개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6 3227 10
848 핵 추진 잠수함 왜 필요한가?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1287 7
847 조롱 대상 된 북 전술핵잠수함! 그렇다고 우리에게 위협이 안될까? [1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1961 5
846 '궁극의 공병무기' 국산 장애물개척전차 '코뿔소' 2대 우크라이나 지원! [1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226 3
845 국군의 날, 주한미군 전투부대 첫 행진... ‘괴물 미사일’ 현무-5도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4 1378 14
844 이번엔 3조2000억 폴란드 잠수함 사업… K방산 또 잭팟 터트리나 [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7 1304 8
843 현장 경찰에 보급한다는 저위험 권총 [6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1 3981 5
842 “특수임무 인정 명예회복 해달라” 일부 UDT 출신들의 하소연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30 1372 8
841 <인터뷰> 김진표 국회의장 “북핵 대응 위해 과학기술軍 사관학교 세워야” [9]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9 1086 1
840 초음속 대함미사일도 잡는다… 국산 ‘해궁’ 미사일의 90도 꺾기 요격 [2]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1376 7
839 1등보다 10년 빨랐지만 이젠 10년 뒤진 한국군 무인기 [5]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1555 5
838 공군, 北 순항 미사일 추적·요격 훈련 실시 [1]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1102 7
837 “지휘부 도주” 같은 北 가짜뉴스 대비... 한미 첫 공동대응 훈련 [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1080 7
836 日에 7개 유엔 기지… 한반도 유사시 병력·무기 즉각 제공 [24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2 4015 52
835 항모 아닌 독도함서도 이착륙 가능… 美 첨단 킬러드론 ‘샤크’ 떴다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2853 7
834 <만물상> 홀인원 미사일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8 936 2
833 FA-50, 폴란드 국민 환호 속 '유럽 하늘 첫 비행' 새역사 쓰다! [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7 985 9
832 미사일 꽂은 곳에 또 꽂았다… 국산 '장사정포 킬러'의 놀라운 홀인원 [18]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6 2362 19
831 대피 시설만으로 50% 이상 피해 감소… 시급해진 核 민방위 체제 구축 [23]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4 2011 12
830 로켓 날아오자 쾅… 北신형전차, 우리 ‘흑표’에도 없는 요격무기가? [14]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1776 4
829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 부부, 103년 만에 서울현충원 합장 [10]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1020 18
828 장난감 같던 北 무인기, 이젠 장난 아니다 [27]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3 2841 14
827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확장억제 실질 강화 남은 골든타임은 1년 반” [16] BEM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2 1290 4
뉴스 [포토] 영화 '대가족' 화이팅 디시트렌드 11.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